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3

        4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ng, Minhee. 2016. “A Corpus Analysis of Representation of Mothers in the South Korean Press: collocates of 엄마 (mom)”.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4(3). 157~189. This study analyses the main lexical collocates of 엄마 (eomma: mom) in the corpus of the South Korean newspapers from 1990 to 2015. The collocates are grouped to see what semantic themes can be found in constructing discourse on motherhood, Firstly, 엄마 collocates most frequently with 아이 (ai: child) accounting for average 10.44% of all occurrences of eomma, while only 1.38% of the instances of the English counterpart mom(s) occurs with the English equivalents of 아이 in the COCA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Secondly, there is a host of collocates referring to body parts and denoting physical closeness, conveying a sense of emotional intimacy and bond between a mother and a child. Thirdly, there are collocates denoting motherly love and care, juxtaposed with collocates denoting absence and suffering of mothers. Portraying mothers as a sacrificing caregiver while problematising their absence as a threat to children’s welfare positions women as having sole responsibility for child care. Lastly, there is a group of collocates related to education, reflecting the Korean zeal for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collocate 엄마표 (eommapyo: mom-made) reveals how the responsibility of childcare and education is reduced to the personal and individual issue, with mothers being construed as a main agent of facilitating children’s academic success.
        8,000원
        43.
        2016.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에 서로 대비되는 두 종류의 지리(지리학)가 공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출발한다. 오랫동안 지리의 위상을 유지해왔던 한국의 전통 지리로서 ‘풍수’와 현재 지리 하면 일상적으로 떠올리는 지리로서 ‘Geography’ (서구의 근⋅현대 지리)가 그것인데, 이들 두 지리 간의 차이나는 지점이 무엇인지 드러내 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 이전 정상적인 지리로 공유돼 왔던 풍수의 위상, 다음으로 풍수와 Geography 간의 인식론적 특징과 그러한 인식의 재현(representation) 상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인식론적 측면에서 풍수와 Geography는 생태중심주의와 인간중심주의라는 서로 대비되는 형이상학적 믿음이자 관점을 바탕에 깔고 있다 할 수 있다. 가령 풍수의 대전제인 인간-환경 간의 동기간(同氣間) 관계 설정은 Geography의 인간중심적 입장과는 구분되는 풍수의 생태중심적 특징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그리고 풍수와 Geography 할 것 없이 지리의 핵심적 요소인 인간, 자연 또는 인간과 자연 간의 관계 등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문제와 관련해 자연과 인간을 ‘동일시’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것으로 인식(‘유사인식’)하는 풍수적 전제와 이 둘을 성격이 다른 별개의 독립적 존재로 보고(이원론적 분할) 이들 간의 인과론적, 결정론적 관계에 관심 갖는 Geography를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식론적 바탕에서 차이를 갖는 풍수와 Geography의 재현 양식의 문제인데, 지리 영역에서의 주요한 재현 수단인 지도를 통해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풍수적 재현으로서 고지도에는 용맥의 흐름이나 명당 구성 등 풍수의 생태중심적 인식이 잘 드러나고 있다. 그에 반해 정확성, 사실성, 객관성을 지도 제작과 평가의 주요 기준으로 삼는 Geography의 인간중심적 입장은 근⋅현대 지도를 마치 자연을 비추는 거울과 같은 재현물로 접근하고 있다.
        6,900원
        44.
        2016.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日本語教育において、ビジネス日本語は知らない場面・語彙・文型が 多く、覚えて、練習するだけの場合が多いのではないか。より深い理解 を得るために、依頼表現に限定して、ブラウン&レヴィンソンのネガ ティブ・ポライトネスのストラテジーを利用して分析した。その結果、 10あるストラテジーのうち、4つのストラテジーがよく使われていること がわかった。FTAとの関連も調べたが特別な相関は見られなかった。多く の課題が残った分析となった。
        6,700원
        4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theoretical research to investigate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fashion photography. For this study, this article attempts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through Lacan’s gaze theory, and analyze the representational aspects of women configured by gendered characteristics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Structuraliz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based on that theory, the gaze, the image/screen, and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in the Lacan’s triangle diagram are replaced by the camera as the signifier of gaze, the representational image, and the seeing subject respectively.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the camera creates a male-oriented visual field and structures a relationship of gendered power between male gaze as the seeing subject and female eye as an object to be seen. Looking into the representational aspects of women in this visual representation system structuralized by male gaze, women are represented in a way that reflects male desire through masquerade to comply with the patriarchal gaze, or differences that emphasizes the uniqueness and autonomy of women released from a patriarchal discourse.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oretical basis for an analytic approach to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fashion photography which we accept as a fixed one through the ideology of naturalization.
        4,500원
        4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proposed novel continuous tone representational method based reaction-diffusion model. We extended previous related research of hedcut-style rendering by adding controllability to reaction-diffusion based texture generation method. These controls includes pattern size and pattern direction for various style rendering. Our method is comparable with stipping method which can generate artistic style rendering with continuous tone representation of input images. While stippling can show stable tonal results for low density points area, high density region which stipples redundant is suffer from non-linear brightness. On the contrary, our method shows stable tonal results for all brightness spans. We also present anisotropic diffusion for directional pattern generation which can applied to more various style rendering. In this contribution includes mathematical model and results of various style.
        4,000원
        4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사회, 문화유산이 녹아있는 서울의 문화적 가치를 재현함에 있어 장인의 기여가 현대에 와서는 크게 부각되지 않고 있다. 우리 사회의 많은 디자인에 장인의 감각과 능력이 눈에 보이지 않게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서울시가 주최한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서 개최된 서울정원박람회에서 새로운 정원디자인의 목표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장인들의 작업 속에 나타나는 전통문화의 해석과 공간적인 특성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서울 장인정원 설계는 전통적인 서울문화를 장인의 개념을 통해 상징적으로 함축하여 공간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정원에서는 사람으로서의 장인, 그들이 사용하였던 도구, 그들이 만든 공예품, 그들의 이미지를 자연으로 드러내는 4개의 장인 문화에 대한 층위개념을 설정하였다. 자연으로서 정원의 그라스와 꽃은 대비효과를 위해 큰 원형의 안과 밖에서 상호 관계 되도록 하였다. 장인의 상징적인 이미지와 자연과의 관계에서 공예품의 배경으로 그라스를 사용하고 시각적인 오브제로서 관목 파티션의 반복과 꽃을 사용하였다. 이 설계의 메타포는 강한 시각적 호기심을 끌 수 있는 독특한 해법이며 따라서 정원의 방문자에게 서울 장인 정원의 상징적인 의미를 제공하게 된다.
        4,000원
        48.
        201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roduces the Hierarchical Decomposition Mapping Diagram (HDMD) that represents the systematic architecture of axiomatic design. HDMD is composed of the contents of module symbol and the independence/dependence relationship between FRs (Functional Requirements) and DPs (Design Parameters). The examples presented in this paper show the strength of the diagrams in comparison with other studies of systematic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tools, such as hierarchical diagram, module-junction diagram and system flow diagram.
        4,000원
        4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alyzing asphalt mixture images can provide crucial information not only for generating advanced geometry structure in several numerical computations (i.e. FEM and/or DEM) codes, but also for numerically evaluating the material microstructure. It is well known that 3D X-Ray Computer Tomography (CT) can provide accurate and realistic microstructure information of asphalt mixtures; however, this technology still presents two limitations: 1) the equipment is very expensive and, therefore, only few pavement agencies can afford it, and 2) the software required to generate realistic image of asphalt mixture with three-phase structure (aggregate, asphalt binder and air-voids) is based on a global thresholding algorithm which cannot be easily accessed and edited by users and practitioners. In this paper, accurate and realistic 2D three-phase asphalt mixture images were generated using an advanced DIP analysis code (implemented on MATLABTM) and a common flatbed scanner, which can be easily purchased at relatively low price. The threshold algorithm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mputed results of Gmm (maximum specific gravity), Gmb (bulk specific gravity), VMA (voids in mineral aggregates) of given asphalt mixtures which can be experimentally obtained in a laboratory environment. 2D three-phase images of asphalt mixtures were derived from grey scale images (color intensity from 0 to 255) obtained from original RGB (Red-Green-Blue) scale images with a dual-threshold computation techniques (i.e. one step for computing air voids phase, T1, and a second step for computing asphalt binder (and/or mastic) phase, T2). An example of DIP analysis results is shown in Figure 1. Based on the computation results, quite accurate and good visual agreement was observed between RGB scale image and DIP analyzed imag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advanced DIP analysis technique can provide reliable geometry and microstructural information for several numerical simulations such as finite element method (FEM) and discrete element modeling (DEM). This research work represents a solid base for performing simple 2D microstructure analysis using 2- and 3-point correlation function and for developing the Moon Cannone Falchetto (MCF) model which will be introduced in the next annual KSRE conference.
        50.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gital technology that has brought about the information revolution acts as the causes of multi-faceted socio-cultural phenomena. The spread of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he popularity of the digital devices accelerate the phenomenon or the fusion of culture and technology, and such a phenomenon is no exception in the fashion design. Namely, the combination of fashion design and digital-based technology draws more and more attention; Not only the technology is simply applied to the fashion design, but also it is used as an emotional tool to enhance consumers' satisfaction, while some designs and marketing cases stimulating consumers' emotion are highlighted importantly.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and analyzing the contemporary fashion using the digital technology and thereupon, ass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representations of technology as well as their aesthetic values. To this end, the theory of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was applied to divid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technological expressions in the contemporary fashion into immateriality, non-boundary, multi-media and interaction, while the aesthetic values of the emotional technology immanent in the contemporary fashion were categorized into communication & participation, conceptual configuration, physical expansion and variable movement. This study analyzed uses of technology for human emotion and sensibility shown in not only collections but also communication media and exhibition spaces and thereby, suggested the direction for our fashion industry to fulfill consumers' changing needs and advance further.
        4,900원
        5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욕망의 생성 혹은 욕망함과 욕망의 승화와 정화 그리고 이로 인한 내면적 갈등의 시화(詩化)에 초점을 둔다. 오직 상상으로 가능한 예이츠의 비잔티움은 영원하고 완전한 성도이고 속세의 현실로부터 안전한 안식처이다. 예이츠의 정신적 영원성을 상징하는 황금새는 현실의 모든 세속적 속성들을 거부하는 인공적 피조물이다. 그러므로 이 조형물은 오직 시인의 비전속에서만 존재한다. 영적 순례와 환생의 열망이 강해질수록 시인의 안타까운 욕망은 전복되고 단절된다. 비잔티움은 오직 시인이 욕망을 실현한 이상향으로만 상상되고 가정된다. 결국 비잔티움의 재현은 그 곳으로의 정신적 항해의 실현이 불가능함을 인식하고 있음을 함의한다. 그래서 역설적으로 욕망이 충족되지 않는 상황만 계속 발생한다. 비잔티움의 미적 재현은 예이츠의 전복된 욕망을 의미할 뿐이다.
        4,900원
        5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히이니의 초기 시편들은 산업화 이전의 농촌에서의 유년시절의 기억,북아일랜드 전통의 회고, 또 이러한 기억들이 상기하는 영국의 식민통치에서 비롯된 분노와 불안, 그리고 식민통치가 남긴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문화적 유산에 대해서회고하는 작품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정서들이 표출될 때, 대부분의 경우 여과되지 않은 거친 감정과 선동적인 외침의 분출에서 벗어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구나 북아일랜드의 역사는 불안과 공포로 얼룩져있었고, 그 여파로 발생한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갈등은 북아일랜드 거주민들, 특히 종교적 소수자인 가톨릭들에 게 커다란 불안과 고통을 초래했었다. 그러나 히이니의 초기 시편들이 아일랜드 민족의 정치적, 종교적 세력의 처지를 대변하고 있으면서도 잔잔한 감동과 미학적 울림을 주는 것은, 날선 감정으로 일방적 역성에 치중하지도 선동적이거나 지사적 언사를 동원하지도 않으며, 그렇다고 맹목적 패배주의나 허무주의로 함몰되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연함과 숙연함만을 앞세워 애오라지 정도의 눈물이나 상심마저도 허락하지 않는다면 문학으로서의 감동은 희미할 수밖에 없다. 히이니의 초기 시의 매력은 여기에 있다.
        8,000원
        5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representation in memory constructed as an outcome of L2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effects of L2 proficiency, prior knowledge, and L1 reading skills on the construction of the representation. A total number of 128 Korean EFL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L2 reading comprehension was tested through verification measure and comprehension questions designed to assess different levels of understanding including the sentence-level, textbase understanding and the situation model, or the deeper level of understanding of what the text is about. Results showed that the representation the L2 readers constructed was characterized as consisting of rather loose textbase understanding and relatively weak, but varying degrees of, situational understanding. Only L2 proficiency, among the three factors,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s of understanding in the representation the L2 readers constructed.
        6,300원
        5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miotic, one of Julia Kristeva's most important propositions, refers extensively to the pre-Oedipal phase, which signifies the beautiful chaos that cannot be fully described by the discipline of the symbolic. The semiotic released in the symbolic expands the limit of the subject and society, exhibiting the revolutionary power, which provides possibilities of exits, and brings about changes. By de-constructing coercive order, this revolutionary power elicits the lawless ethics where no empowered law exists. Kristeva regards art as atypical passage, through which the semiotic can come to the fore even in the symbolic. In contrast especially to literature that uses language as a medium, visual art can surpass the linguistic limitation because it is positioned as 'the thing going beyond a name even without a name' in the symbolic. Focusing on Jackson Pollock, Hans Haacke, and Robert Wilson, this paper examines the stereoscopic understanding of the semiotic, which Kristeva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emiotic. This paper also conducts analysis on Yayoi Kusama's work, which successfully achieves the representation of the semiotic. Art resuscitates the signification of creation and negation, diverging from identity by endlessly de-constructing history, concepts, ideologies, philosophy, and aesthetics, inherited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semiotic. Art has the power to subvert the symbolic value system and create a new equilibrium and harmony, thereby conducive to a socio-political revolution. Therefore, art can create a lawless space, which retains a dynamic potential to exclude socio-cultural contrivance.
        8,400원
        5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북쪽』에 나타난 히니의 신화적 재현에 대해 비판한 비평가 들에 답하기 위하여 그의 산문과 늪지시편을 정독하여 그의 신화적 방법을 검토한다. 그는 두 공동체의 신화들을 이데올로기적 담론으로 진단하여, 신화가 허구이지만 그들 의 심리와 현실에서 실제로 크게 작용하고 있으며 분규와 대립을 더 악화시키는 원인 이라고 진단하였다. 과거의 모더니스트들이 현실을 표현할 매개로 신화를 활용했듯이 히니는『늪지사람들』의 고대 덴마크의 희생제의를 상징으로 활용해 북아일랜드의 신화로 인한 폭력과 심리적 현실을 표현하려하였다. 그의 늪지시편들은 이러한 신화로 인한 현실과 이성 간의 “힘의 장”으로서의 갈등을 보여준다.
        7,000원
        56.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예이츠 시 속의 모드 곤, 마키에비치 백작 같은 여성민족주의자들의 모습을 다룬다. 영국의 지배에서 독립하기 위해 저항하는 민족주의자 모드곤은 예이츠가 사랑했고 수차 청혼하여 뜻을 이루지 못한 여인이다. 그녀는 예이츠의 시에서 중요한 인물이며, 본 논문은 아일랜드의 정치를 다른 시를 논한다. 또 한 명의 민족주의자 마키에비치 백작은 아일랜드 국회에 최초 여성 국회의원이 되었고, 그녀도 아일랜드 독립을 위해 투쟁했다. 예이츠는 그녀의 적극적인 정치 참여가 나타나는 시를 썼다.
        4,000원
        57.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강임술첩(漣江壬戌帖)》은 겸재 정선이 양천현령시절 제작한 화첩이다. 영조 18년(1742) 10월 보름날, 임술년을 맞아 경기도관찰사 홍경보가 경기 동부지역을 순시 중에 삭녕 우화정으로 경기도 관내 최고의 시인 연천현감 신유한과 최고의 화가 양천현령 정선을 불러들여 연천의 웅연까지 뱃놀이를 즐겼고, 정선은 이 이벤트를 〈우화등선(羽化登船)〉과 〈웅연계람(熊淵繫纜)〉두 점으로 그렸다. 그림의 제목대로 삭녕 우화정에서 배를 타고 출발하는 장면과 웅연에 도착하여 닻을 내리는 장면을 각각 담은 것이다. 이 모임은 같은 임술년(1082)에 가졌던 북송대 문인 소동파(蘇東坡)의 일화에서 비롯되었다. 660년 전의 고사(故事)를 추모하여 재연한 행사였던 셈이다. 이를 밝힌 홍경보의 서문과 신유한의 글 ‘의적벽부(擬赤壁賦)’ 일부, 그리고 정선의 발문(跋文)을 합하여 꾸민 서화첩이 《연강임술첩》이다. 기존에 알려져 있던 화첩본 이외에 새로이 2011년 11월 필자가 참여한 동산방화랑 기획전에 또 다른 《연강임술첩》이 공개되었다. 정선이 화첩의 발문에 밝힌 대로 세 화첩 가운데 두 번째가 출현한 셈이다.《연강임술첩》의 〈우화등선〉(도6)과 〈웅연계람〉(도7) 두 폭은 소동파 적벽부 관련 고사도이자 실경산수화이면서, 동시에 경기도관찰사의 선유 행사를 담은 기록화이다. 옆으로 긴 화면을 적절히 소화한 대가다운 구성방식을 보여준다. 고운 비단에 비교적 강한 먹을 쓰고 옅은 담채와 먹의 농담으로 늦가을의 정취가 살짝 감돌게 그렸다. 강변의 절벽과 암봉(岩峯)은 북종화풍인 농묵의 부벽준(斧劈皴)을, 먼 토산과 근경언덕은 피마준(披麻皴)과 태점(苔點)의 남종산수화풍을 구사했다. 남북종화풍을 조화시켜 임진강변의 풍광을 그렇게 담아낸 것이다. 겸재가 통상 현장사생을 거의 하지 않았듯이, 아마 두 점도 관아에 돌아와 기억으로 이미지를 재구성했을 것으로 본다. 실경그림과 실경현장을 비교하기 난감할 정도로 이상화 시켜 놓았다. ‘의취(意趣)를 살리며 외형 닮기에 소홀히 했다’는 당대 문인 이하곤(李夏坤)의 지적을 실감케 하는 진경작품이다. 그리고 좌우로 긴 풍경에 행사장면과 그 주변 등장인물이나 경물들을 소홀히 다루지 않고, 기록화적 성격까지 적절히 살려놓은 명작이다.
        6,400원
        5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순원은 전후소설 『나무들 비탈에 서다』에서 파멸과 몰락의 시기가 회복과 구원을 향한 과도기라는 점을 강조하는 전통적 묵시록의 개념과 비전을 수용했다. 그는 이 소설에서 민족동란이 야기시킨 파괴와 살상의 비극을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선지자 예레미야의 표상과 예레미야 신탁의 묵시록적 알레고리로 나타냈다. 전후의 민족공동체를 비탈에 선 나무로 의인화한 이 소설에서는 예레미야서의 포도나무 비유를 통해 심판과 구원의 양면성이 제시되고 있다. 황순원이 죄로 인한 고난과 고난으로부터의 구원이라는 묵시록의 양면적 의미에 주목한 것은 동족상잔의 전쟁으로 인해 고난에 처한 민족공동체에게 회복과 구원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는 이 소설에서 자기희생적 태도가 타인의 구원뿐만 아니라 자신의 구원과도 직결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공동체의 회복과 구원 가능성을 타인을 위한 자기희생에서 찾고자 했다.
        5,400원
        59.
        201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특정한 공간에서 같은 소재를 선택하여 재현한 TV다큐멘터리가 시대 변화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96년도 제작·방영 된 <에스키모와의 100일>과 2008년도 방송된 <북극의 눈물>의 서 사구조와 시퀀스 및 담화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10여년의 간격 을 두고 제작된 두 다큐멘터리는 ‘공간 재현’에 있어서 여러 가지 차이 를 보이고 있다. 먼저 두 프로그램에서 보여주는 담론의 특성은 매우 다르다. <에스키모와의 100일>은 긍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반면에 <북극의 눈물>은 북극 공간에서 살아가는 에스키 모인들의 삶을 매우 비관적으로 바라본다. 그리고 방송 기술의 발전에 따른 영상 재현방식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에스키모와의 100일> 과 달리 <북극의 눈물>은 16:9의 와이드 화면에 담길 고화질 화면구 성과 고품질 음향으로 재현되어 시청자들에게 임장감 있는 영상미학을 선보였다. 또한 두 작품의 세계관은 큰 차이를 보인다. 전자는 북극 공 간의 문제를 ‘자체 지역에 한정’하여 이야기하지만, 후자는 북극 공간 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전 지구적 시각’으로 바라본다. 즉 북극 의 문제를 전 인류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세계주의적 이데올로기를 강 화하고 있다. 이처럼 북극 공간이 희망적 공간에서 비관적 공간으로 재 현되고, 이야기 구성이 개인적 에피소드에서 전 지구적 차원의 문제로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결국 시대의 변화가 사회 현상을 바라 보는 담론과 이데올로기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8,600원
        60.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s gender images represented in the works of women artists from the Middle East, where male chauvinism is recognized to be more predominant than elsewhere. The artists included in this study such as Mona Hatoum, Shirin Neshat, Lida Abdul and Sigalit Landau are Post-Feminist generation of artists who were born in the Middle East but spent significant amount of time in the West. In addition, they were trained as artists under the influences of the Western Feminist Art. This particular group of female artists pays much attention to the ontological question of their identities rather than male/female inequality, and each artist represents men and women in the ways that can hardly be found in the works by women artists in the West. These artists not only connect gender identities to the socio-political geography of the Middle East but also deconstruct Western stereotypes of men and women from Arab world. The paper focuses on the way these women artists incorporate male/female vs. culture/nature dichotomies into their works to subvert the premises on which Western Feminism has been based and not only to cast light on women's freedom and their ontological conflicts but also to emphasize social suppression inflicted upon men. In such process, these artists resist stereotypical images of Middle Eastern men and women widely circulated in the mainstream media of the West.
        6,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