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0

        61.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당귀는 우리 나라는 참당귀 (Angelica gigas), 중국은 중국당귀 (A. sinensis) , 일본은 일당귀 (A.acutiloba)를 각각 같은 용도의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일당귀는 과거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재배되고 있으며, 중국당귀는 ‘97년 이후 종자를 도입하여 재배하였으나 실패하여 농가의 피해가 발생한다. 이들 종의 생산성과 중국당귀의 국내 적응성을 수원 (해발 50 m), 진부 (해발 500 m), 태백 (해발 700 m) 3개지역에서 시험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당귀, 일당귀는 3개 지역 모두 정상적으로 생육되고 수확이 되었다. 2. 중국당귀의 생존율은 테백 70.3%, 진부 45.2%, 수원 4%로 수원에서는 7월 이후 고온기에 고사되었다. 3. 중국당귀의 10a당 수량은 태백 160 kg, 진부 127 kg, 수원 8 kg으로 태백, 진부에서는 수확이 가능하였으나 수량이 극히 낮았으며, 수원에서는 생산이 불가능하였다. 4. 중국당귀는 해발 500 m 이하에서는 생존율이 극히 낮으며, 해발 700 m 이상의 높은 지역에서는 생존은 가능하나 생산성이 낮아 국내생산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62.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당귀의 품종과 수집종의 구분 수단으로 내추대성과 추대성 당귀의 구분과 수입 약재와 국산 약재를 건재로 혼용하여 사용하였을 때 기원 식물을 판별하기 위해 RAPD based primer를 선발하고자 PCR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의의 10-mer primer와 20-mer primer 등 총 72개의 primer를 사용하여 3개의 내추대성 특이적인 primer를 찾았는데, URP04 primer에서는 1.7 kb 부근에서 내추대성 특이적인 band가 나타났고, OPD11 primer에서는 1.2 kb 부근에 band가 없는 것이 내추대성으로 나타났으며, OPP09 primer에서는 1 kb 부근의 major band가 없고 1.2 kb와 0.8 kb부근에 band가 있는 만추당귀 특이적인 band pattern이 나타났다. 한편 OPC02 primer는 참당귀내에서 내추대성과 추대성 4집단 모든 sample에서 똑같은 band pattern을 보였던 primer로써, 이 primer를 사용하여 국내산 참당귀를 중국당귀, 일당귀와 판별할 수 있었고, OPD11과 OPP09 및 URP04 primer는 참당귀내에서 내추대성과 추대성을 구분 할 수 있었던 primer들로써 이들 primer로도 참당귀를 중국당귀, 일당귀와 판별할 수 있었다.
        63.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궁에서는 butylidene phthalide, butyl phthalide, senkyunolide, cnidilide + neocnidilide 및 ligustilide가 동정되었으며, 이들 성분의 70% 이상을 ligustilide와 senkyunolide가 차지하였다. Phthalide류 총량으로 볼 때 연길산 및 안국산의 중국재배 천궁은 한국재배종보다 약간 높은 경향이었으나, 길림산은 한국 재배종보다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성분의 함량도 낮아 품질이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국의 연길산 천궁은 ligustilide와 senkyunolide의 광분해생성물인 butylidene phthalide 및 butyl phthalide함량이 높아 유통기간과 보관상의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되어져 약재 수입시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당귀에서는 butylidene phthalide와 ligustilide가 동정 되었으며, 전체의 약 90%를 ligustilide가 차지하였다. 우리나라 재배종 당귀 중의 ligustilide 함량은 중국 연길산의 상품 및 하품보다 높았으나, 안국산 및 길림산보다는 낮았다. 그러나 길림산을 제외한 중국산 당귀는 ligustilide의 광분해산물로 생성되는 butylidene phthalide함량이 우리 나라 재배종에 비하여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천궁에서와 같이 중국산 약재의 유통과 보관상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64.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PD 분석을 통한 marker선별과 건조약재의 비교, 그리고 내부형태 특징을 통해 당귀3종(種)을 구별할 수 있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0개의 primer중 5개의 primer에서 당귀류 3품종을 모두 구별할 수 있는 특이적인 band가 나타났다. 2. 유연관계 분석에서 중국당귀와 일당귀가 참당귀보다 더 근연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3. 신선한 잎과 건조된 약재에서 RAPD 재현성이 확인되어 RAPD 분석법을 통해 당귀감별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뿌리 내부구조에서 중국당귀는 정상적인 2기사부와 2기목부에 덧붙여 일부 이상비대생장을 보였고, 일당귀나 참당귀의 도관절에 비하여 더 넓고 짧아 계통학적으로 훨씬 더 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5. 일당귀는 현저하게 두꺼운 코르크층이 발달한 반면 참당귀의 코르크층 아래에 5~7층의 후각세포층이 환상으로 발달하여 뚜렷한 대조를 이루었다.
        66.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재배 산약 제품의 가공 이용방법개발의 일환으로 산약, 당귀, 대추 등 혼합약재를 이용한 고형차 개발시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산약, 당귀, 대추의 각 약재별, 추출시간별, 약재 혼합비율별 총 추출수액, 당도, 엑스함량을 조사하고 과립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악, 당귀 및 대추의 각 약재를 130℃ 조건에서 8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 약재의 총 추출 수액, Brix당도 및 엑스함량 모두 대추가 가장 높았고, 당귀, 산약의 순으로 나타나 산약의 단독이용보다는 흔합약재의 이용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된다. 2. 혼합약재 이용시 130℃조건에서 추출시간을 8시간과 12시간으로 달리 하였을 때 총 추출 수액의 량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러나 Brix당도 및 엑스함량은 12시간 추출이 8시간 추출보다 각 1.17%, 1.80%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산약, 당귀, 대추 각 약재의 혼합비율별 총추출수액, Brix당도. 엑스함량을 조사한바 산약 : 당귀 : 대추가 30 : 40 : 30 (750g : 1,000g : 750g)의 비율로 혼합된 약재에서 가장 높았으며, 40 : 30 : 30 (1,000g : 750g : 750g)의 비율로 혼합된 약재가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4. 엑스 20%, 포도당 70%, 유당 10%로 배합한 것이 외관상 양호하였다. 5. 과립 굵기는 직경 1.5mm로 하는 것이 제조, 건조가 능률적이였고 제형이 우수 하였다.
        67.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당귀 반수체 육성의 기초차료를 얻고자 배양 소포자의 활력과 특성을 Flow cytometry로 관찰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포자 활력은 발육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여 배양 4일경에 4분자기 12.8%, 1핵성소포자기 49.3%, 2핵성소포자기 42.3% 및 성숙화분은 56.4%였다. 그리고 배양 20일 경에 는 소포자의 활력이 감소하여 배양중 배지개선과 계대배양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2. 발육시기에 따라 소포자 구조 peak가 다르게 조사되어 4 분자기는 원형을 보이다가 1~2핵성 소포자 부터 성속 화 분은 장타원형의 발달하는 특성을 띠었다. 3. 배양 소포자 중 살아서 생존한 소포자는 FDA 염색에 녹색 형광을 DAPI 염색에 청색형광을 발하여 활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8.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當歸) 추대억제(抽臺抑制) 재배법(栽培法)을 개발하기 위하여 종자를 조기에 파종, 육묘하여 본포에 이식한 후 당년가을에 수확한 뿌리의 부위별(部位別) 주성분(主成分)을 관행재배한 당귀와 비교하므로서 1년생 당귀의 추대억제효과와 약재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저 하였다. 1. 관행(慣行) 재배(栽培)한 2년생 당귀의 뿌리내 decursin 과 decursionol angelate의 함량을 합한 평균치는 6.47% 임에 비하여, 단기육묘(短期育苗)하여 수확한 1년생 뿌리 내에서의 함량은 4.82%로 낮은 경향이었다. 2. 약효성분(藥效成分)의 부위별(部位別) 함량은 세근(지근)과 피충부가 높은 반면 중심주에서는 낮은 경향이었다. 3. Decursin및 decursinol angelate의 구성비(構成比)는 1년생에서는 10 : 7.5, 2년생에서는 10 : 6의 비율로 2년생에서 는 decursinol angelate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2년생에서는 부위에 관계없이 두성분의 구성비가 60% 정도로 안정적인데 반해, 1년생에서는 세근과 지근에서 decursional angelate 구성비가 높은 경향이었다. 4. 조기(早期) 육묘재배(育苗栽培)한 1년생 당귀의 생약적(生藥的) 가치(價値)는 일정 면적(面積)에서의 수량(收量)이나 또는 단순한 성분함(成分含) 양면(量面)에서 무리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지만, 주성분인 decursin의 구조이성체인 decursinol angelate와의 구성비(構成比)에 따른 효능상의 문제는 추후 검토가 요망된다.
        69.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당귀(當歸)와 시호근부(柴胡根部) 혼합분말을 육계사료(肉鷄飼料)에 0. 0, 0. 4, 1. 0, 2. 0%씩 첨가하여 6주간 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귀와 시호근부 첨가구의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이 대조구보다 많았음을 볼때 기호성(嗜好性)은 좋게 평가되었다. 증체량(增體量)은 혼합제 1. 0% 첨가구에서 1,752g으로 대조구 보다 수당(首當) 130g 이상 높았다.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은 1. 0% 첨가구에서 1. 85로서 대조구의 1. 9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 05) 도체량(屠體量)은 1. 0% 첨가구(1,261g)에서 높았으나 도체율은 0. 4% 첨가구에서 69. 48%로 높았다. 가슴살고기량은 0. 4% 첨가구에서 233g으로 대조구보다도 20g이상 더 높았다. 다리고기는 0. 4% 첨가구에서 대조구의 353g보다 50g이상 높았다. 당귀와 시호근부 첨가수준이 높아질 수록 간장(肝臟)의 중량이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비장(脾臟)과 심장(心臟) 및 근위(筋胃)의 중량과 복강과 근위주위 축적지방량(蓄積脂肪量)은 0. 4% 복합첨가구에서 높았다. 혈청(血淸) 총단백질(總蛋白質)과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는 2. 0% 복합첨가구에서 높았으며 증체중이 높은 1. 0% 복합첨가구에서는 헐청 단백질과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 라이드 농도가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