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1

        61.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포츠영재의 스포츠영재성을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선수와 지도자 212명을 대상으로 스포츠영재성 탐색을 위한 개방형설문과 스포츠영재성 구체화를 위한 심층면담을 시행하였다. 개방형설문 결과 스포츠영재의 스포츠영재성은 과제집착력, 신체지능, 경기지능으로 구조화되었다. 과제집착력은 훈련이나 경기에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이 목표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고 노력하는 특성으로 노력, 목표의식, 정신력, 운동열정으로 구조화되었다. 신체지능은 체력이나 운동기술, 체격조건, 운동발현과 조절 등 경기나 훈련에서 자기 신체를 자신의 의도대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으로 체력, 운동기술, 체격조건, motor 적합성으로 구조화되었다. 경기지능은 자신의 신체지능을 경기상황에 적용해 환경의 요구에 부합하는 최적의 해결책을 찾고 실행하는 능력으로 실천지능, 분석지능, 학습능력, 종목지능, 창의지능으로 구조화되었다. 영재나 영재성이 심리학의 중심 주제이고 국가적으로 영재에 대한 지원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포츠영재에 대한 관심이 측정과 평가의 수준에서 전개되고 있다. 향후 스포츠영재의 본질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이 스포츠심리학계에서 적극적으로 전개되기를 기대해본다. 스포츠영재에 대한 적절하고 타당한 관심이 스포츠영재에 대한 이해는 물론국가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영재사업의 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62.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전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문제 해결 과정 중에 보이는 오류의 유형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유형별 빈도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유전 문제 해결 과정 중 보인 오류의 유형에는 개념의 오류, 논리의 오류, 실행의 오류와 무응답의 오류로 4가지가 있었으며 개념의 오류에는 유전 개념의 오류, 확률 개념의 오류, 관련 기본지식 결여의 오류가 있었고, 논리의 오류에는 과일반화의 오류, 논점 일탈의 오류가 있었으며, 실행상의 오류에는 연산의 오류, 잘못된 해석의 오류, 조건 누락의 오류, 불완전한 종결의 오류, 표기상의 오류가 있었고 마지막으로 무응답의 오류가 있었다. 오류 유형 빈도에 있어서는 과학영재가 일반 학생보다 오류의 빈도가 1/3 수준이었으며, 개념의 오류, 논리의 오류, 실행의 오류 빈도에서는 두 그룹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무응답의 오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에게서 오류 유형 빈도수에 차이가 있음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 능력에 따라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이 다름을 뜻하며, 따라서 교수 방법 또한 달라져야 할 것이다.
        63.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미술영재 판별은 일반적으로 추천서와 실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올해 처음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한 영재 선별이 시도되었다. 이는 그 동안 반복과 연습의 결과로 길러진 영재성이 아닌 잠재적 영재성에 대한 인식 전환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예술 활동의 결과는 수치화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 미술 영재의 창의성과 영재판별에 대한 논의는 현장성과 실제성을 담보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미술 영재 판별 검사인 CDAT와 TTCT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판별 검사의 유의미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판별 검사 결과는 교사의 지속적인 관찰 및 수업 결과물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절차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미술 영재 판별 검사와 미술 영재 활동 결과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CDAT와 TTCT가 미술 영재를 선별하기 위한 도구로서 가치가 있음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미술영재 판별에 있어서 기존의 전통적 방식이 아닌 새로운 판별 방법을 모색해야 함을 의미한다
        64.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영재상담의 전반적인 상담 실태를 파악하고, 영재상담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영재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설문은 학생, 학부모, 교사에게 상담실태, 상담에 관한 인식과 요구, 그리고 영재의 영역별 특성에 따른 상담요구를 묻는 질문들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영재의 상담은 일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상담을 할 때와는 다른 차별화된 상담이 필요하며 특히, 영재상담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영재들에게 자신의 영재성에 대해 이해하도록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영재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재의 인지적․정의적 특성들을 인식하도록 하여 이를 긍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예방적이고 발달적인 상담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65.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applicable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For this study, we chose 60 gifted students attending U Institut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classified these students into two groups, then applied newly developed program to the 30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nd applied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o the 30 comparative group students. Below are the study result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much effective in increas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gifted students as compared to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eco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much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willingness to environmental act for gifted students as compared to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ird, the satisfaction of the gifted students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exhibits at the ecological museum was higher than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66.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w would environmental education be implemented for effectiveness today? Deep reflection on the way of teaching environment in classes to achieve effectiveness is required. If there exist differences in students' environmental perception depending on environment class pattern, its most effective way should be looked for.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ducing the students to have advisable attitude voluntary about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teaching them environmental knowledge. From such view,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s necessary for successful environmental classes. Students need to be set to share their principle, values, attitude about environment problems at environmental class through presentation which is important factor to make them have advisable environmental attitude. Therefore, environmental class need to be carried out student-led way. For that, a class model need to be designed which will be helpful for the students to arrange and elaborate their emitting thought about environment problems through disclosing their thoughts to share them with fellow students which will end up in their advisable environmental attitud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contributive to offering various environmental perception to students and grasping others' thinking about environment. Fifty-eight 10th graders at U Science High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at carried out from 2010 April to June by choosing total 10 environmental themes divided into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lied to the 30 test group students, and general environmental class applied to 28 control group students.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in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Second, in students' intentional environment action,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Third, in students'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class, the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collage making class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them in general environmental class.
        67.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day,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a matter we are all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us, such as the air we breathe, the water we drink, and the soil plants grow in, is critical for our survival. Currently there is a lot of interest in environmental education a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is is a result of the deep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Howeve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being conducted in schools is not yet at a satisfactory level. The practical issues, including an entrance exam-oriented atmosphere, student' and parents' lack of understanding, and teachers' lack of expertise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terfere with the stability of environmental curriculum in the schools. Accordingly, we need to devise an alternative environmental curriculum due to the fact that it hasn't been included as a regular subject in the curriculum of many national schools. This study, carried out from April to December 2009, was an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 state-trait anxiety of the 61 Gifted Student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est group consisted of 30 gifted students who did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run by Ulsan Science High School, in Ulsan Metropolitan City.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he rest of the students. The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was influential in increasing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the gifted students. Second,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was influential in decreasing the state anxiety of in gifted students. Third,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was influential in decreasing the trait anxiety of in gifted students. Fourth, the volunteer work at the place of ecology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not only the gifted students' view of environmental education, but also their overall character.
        68.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학급 400명과 영재학급 15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과학과 생명영역의 ‘곤충’에 관한 개념의 인식 및 오개념 형성 원인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의 ‘곤충’과 관련된 단원에서 ‘곤충’에 대한 개념을 추출하여 타당도 검사를 거친 후 18개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개념 검사지를 총 555명에게 투입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18개 문항 중 11개 문항에서 일반학급 학생들이 영재학급보다 유의하게 높은 오답율을 나타냈다. 일반학급 학생들의 ‘곤충’ 개념에 대한 오인 요인으로는 주로 잘못된 유추로 인한 성급한 일반화와 직관적 사고 등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간 오답율 비교에서는 ‘곤충’의 정의에 관한 2개 문항, 몸 구조에 관한 2개 문항, 한살이에 관한 1개 문항, 생활에 관한 3개 문항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여학생들이 ‘곤충’을 징그러워하거나 무서워하는 경향이 높아 그와 관련된 개념 습득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학년 간 비교에서는 ‘곤충’의 정의에 관한 1개 문항, 몸 구조에 관한 1개 문항, 한살이에 관한 2개 문항에서 5학년 학생들이 6학년 학생들보다 오답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6학년 과정에서 동물의 분류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기 때문에 학습 경험이 많은 6학년이 ‘곤충’에 대한 개념을 잘 알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는 ‘곤충’에 대한 오개념 교정을 위하여 인지갈등을 유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69.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선행학습 경험과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합격여부에 따른 가정환경의 차이와 선행학습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수학교과의 선행학습 경험 및 가정환경과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며 셋째, 수학영재교육원 선발대상자의 선행학습 경험과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한 의미의 수학영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선행학습의 경험으로 인해 상위 학년이나 학교 수준의 문제를 출제하여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한 과정의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심리적 가정환경이 수학교과의 선행학습 경험과 물리적 가정환경보다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와 인내심을 높일 수 있는 심리적 가정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셋째, 심리적 가정환경은 수학교과에 대한 인내심보다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학교과 특성상 끈기와 집착성을 가지고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끝까지 해결하려는 수학교과에 대한 인내심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70.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학 영재의 개념 정의와 과학 영재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고, 2003년부터 공교육 제도 내에서 과학영재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영재의 정의와 영재교육의 목적에 기초한 영재 판별 방법에 대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또한 교사의 역할이 과학영재교육에서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과학영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교육 체제, 교육에 참가하는 학생, 교육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전국에서 표집된 55명(여16, 남39)의 과학교사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과학영재들을 열정적으로 가르치고 있고, 공교육제도 내에서 과학영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사들은 과학영재들이 기초탐구능력과 문제해결력은 우수하지만, 창의성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은 문제해결력 신장에는 적절하지만, 창의성 계발에는 부적절하다고 평가하였다. 교사들은 무엇보다도 개인차를 고려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71.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발레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토대로 발레영재성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탐색된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발레영재성 요인의 탐색을 위해 발레 전문가 14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고, 탐색된 요인의 상대적중요도를 산출하기 위해 발레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계층분석(AHP)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영재성 요인 추출과 범주화를 위해서 귀납적 내용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계층분석은 EC-2000과 Microsoft Excell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발레영재성은 신체, 예술적 감성, 발레지능, 심리, 환경의 5개 일반영역으로 범주화 되었다. 또한, 각 일반영역에 대한 세부영역으로 신체는 체격, 체력, 협응으로, 예술적 감성은 느낌, 연기력, 음악성, 무대 예술적 기질로, 발레 지능은 이해력, 기억력, 창의력, 분석력으로, 심리는 동기, 성격, 정서로, 환경은 주요타자와 교육 관련 주제로 구성되었다. 발레영재성 구성 요인의 상대적중요도는 예술적감성(40.2%), 신체(25.3%), 발레 지능(17.5%), 심리(10.4%), 환경(6.6%) 순으로 산출되었고 각 일반영역에 포함된 하위요인의 상대적중요도는 예술적감성 요인의 경우 음악성, 느낌, 예술적 기질, 연기력 순으로, 신체 요인은 협응, 체격, 체력 순으로, 발레지능 요인은 이해력, 분석력, 창의력, 기억력 순으로, 심리 요인은 정서, 성격, 동기 순으로, 환경 요인은 교육, 주요타자 순으로 상대적중요도가 산출되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