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

        6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business foodservice industry, evaluation of leftover food and customer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at direct operation and consignment foodservice businesses in Chungbuk were examined. This study has managerial implications in terms of improving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business operation of the foodservice industry.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ncluded 800 customers who use foodservices provided by 11 selected businesses including 6 direct operation and 5 consignment foodservice businesses. From these 800 customers, a total of 692 were used (direct operation foodservice (n=361) and consignment foodservice (n=331) busines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ain reasons for using the employee restaurants in types of direct operation and consignment foodservice business, ‘the close location’ had the high percentage. Approximately 41% of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foodservice in the employee restaurants. Second, leftover food from consignment foodservices was higher than that for direct operation foodservic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stomer satisfaction with five areas of foodservice between the two types of food service businesses: food, sanitation, feeding environment, mealing process and information and 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direct operation foodservic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signment foodservice.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foodservices, mealing proces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anitation, food, and information and service in the direct operation and consignment foodservice businesse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business foodservice was affected by the customers’ satisfaction in five areas of foodservices (e.g., food, sanitation, feeding environment, mealing process, information and service). Especially, ‘food’ and ‘information and service’ were important areas for determining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In addition,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quantity of leftover food in the direct operation and consignment foodservice business.
        4,000원
        6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년도 조사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충북지방에 분포하는 주요 수종에 대하여 평균 연륜생장량과 연륜생장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충북지역에서 조사된 고정표본점은 총 56개소로 다양한 수종이 분포하였으며 그 중 개체수 분포 비율이 높은 10개 수종에 대하여 총 800본의 연륜생장량이 조사된 목편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충북지방에서 평균 연륜생장량이 가장 높은 수종은 아까시나무(2.30mm/yr)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졸참나무(2.27mm/yr)>산벚나무(1.98mm/yr)>일본 잎갈나무(1.98mm/yr)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주요 수종들의 경우, 영급과 임분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연륜생장량은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4,000원
        63.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꽃매미는 중국에서 유입되어 최근 국내에서 월동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그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되면서 심각한 위생 및 농업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화학살충제에 대해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유기농의 증가에 따라 화학살충제의 처리가 곤란한 곳에서는 더욱 심각한 해충으로 인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포도나무에 대한 피해로는 나무를 흡즙하고, 그 배설물로 인한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포도의 상품성을 저하시킴으로써 농가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조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그 피해의 심각성 인식 및 방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꽃매미의 포도나무에 대한 피해를 포도원에서의 발생현황 및 흡즙피해 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포도원에서 꽃매미의 발생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충북지역 10개 시․군, 61개 읍․면, 228개 지점을 선정 그 분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08년 청주, 청원, 보은, 진천에서만 발견되었으나 09년 8월 현재 기준 청주, 청원, 보은, 진천, 괴산, 증평, 음성, 보은, 옥천 8개 시․군으로 확대되었다. 꽃매미의 흡즙에 의한 포도의 생육 피해를 조사하기 위해 포트에 심겨진 포도유묘를 100×60×45cm 케이스에 넣고 꽃매미 약충과 성충을 유묘당 3마리 또는 5마리씩 방사한 후 한 달 간격으로 포도나무의 생육상태를 조사 하였다. 그 결과 3마리/유묘 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초장이 36% 감소하였고, 5마리/유묘 처리시에는 무처리에 비해 초장이 44% 감소함으로써 흡즙에 의해 포도나무의 생육장애가 유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6.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tudents’ perception and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school foodservice in Chungbuk Province. A questionnaire survey of 900 students was conducted and 370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vail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atistical evalua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data utilizing the SAS V8.2 program. Importanc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scale were composed of 5-Likert sca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twenty three attribut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four dimensions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measured according to type of school, location of school, place for eating, type of foodservice system and type of foodservice operation. The importanc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formance score at all quality attributes except for the food appearance. The performance score of ‘waiting time’ and ‘atmosphere’ was less than 3 point out of 5 scale.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 for the quality dimensions of food, sanitation and service was 3.35, 3.19 and 3.10 point out of 5 scale, respectively. The satisfaction score for dimension of environment was 2.93 point out of 5 scale. The score for overall satisfaction was 3.27 point out of 5 scale. The satisfaction score for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 foodservices. The satisfaction score for commissary foodservice opera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ven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Using survey results as a base, the dieticians of school foodservice are required to meet the needs of the students and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4,000원
        67.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Z. -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충북지역의 박달산, 계명산, 보련산, 월악산, 천등산, 조령산, 국망산, 부용산, 두타산, 만뢰산, 미동산, 감악산, 시루봉, 십자봉, 용산봉 일대의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일대의 참나무림 식생은 A.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1. 상수리나무하위군락(Quercus acutissima subcommunity), A-2. 전형하위군락(Typical subcommunity), B.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C. 떡갈나무군락(Quercus dentat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생단위는 인위 및 해발과 같은 환경복합의 경도에 의해 배비되었으며, 종의 우점도에 근거한 집괴분석(군평균법)의 결과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4,000원
        7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features of addressee honorifics by observing sentence endings used by the Jeongam village that consists of major speech group speakers from Chungcheongbuk-do and minor speech group speakers from Hamgyeongbuk-do. Addressee honorifics in the Jeongam dialect are distinct with respect to social status or social conditions such as social positional relationships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the listener's native region, the occupation of the listener, intimacy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and so on. The speakers of the Jeongam dialect recognize different levels of addressee honorifics such as 'Yeye, Yaya, Eungeung' and like the Hamgyeongbuk-do dialect it is possible to divide them into sub-levels. It is also observed that imperative and request sentence endings, which are used in the Jeongam dialect are a mixture of the Chungbuk cJjalect and the Hamgyeongbuk-do dialect. This is understood as an overlapping phenomena of the two dialects due to the fact that Hamgyeongbuk-do dialect speakers outnumber Jeongam speakers where Chungbuk dialect speakers live. This indicates that features of the Chungbuk dialect and the Hamgyeongbuk-do dialect coexist in the Jeongam dialect through borrowing.
        6,900원
        72.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실제 야외지질조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대를 달리하는 다양한 암석과 지질구조를 가지고 있고 지리적으로 접근하기 편리한 음성분지의 남동부 두타산 일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음성분지의 야외지질 실습코스에는 13개의 관찰지점이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 각 관찰 지점별로 학생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야외학습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지형도나 수치 지형도를 이용하여 스스로 노선지질도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큰 구조나 서로 다른 암상과의 관계를 광역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항공사진을 첨가하였다. 또한 각 관찰 지점마다 노두 및 편광 현미경 사진을 제시하여 야외학습에서 경험할 수 있는 환경으로 설계하여 실제로 야외에서 겪게 되는 갈등 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구현된 야외지질조사자료는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 수강자를 대상으로 학생들의 태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정의적 측면에서 학생들이 야외학습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지구과학에 관한 구체적인 개념 형성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100원
        73.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y,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has been widely conducted among private kindergartens and in private English Education agencies. Although there are a great number of English teachers who are teaching English to young children, few research has been done about their working condi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orking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to determine the problems that they are facing in the education field, and to find out the possible solutions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Sixty-seven teachers answered the surve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done. This research found that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attracting children's attention when they teach English in the classroom, and in developing appropriate teaching techniques. It also found that their working conditions were not good enough to keep them doing this job. In spite of poor conditions, they are proud to be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wished to have a medical insurance, a secured income, and to be free from extra teaching activities, such as textbooks sales and collecting monthly fees. They would like to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new teaching techniques through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y also insist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face the current situation by giving them a chance to become certified teachers.
        5,700원
        75.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such as traditional holiday foods, rice cakes and beverages. The subjects were 598 elementary school students(male 310, female 288) in fifth or sixth grades. The most favorite traditional holiday food was rice cake soup(57.4%) and 92.4% of subjects wanted to keep the traditional holiday foods because of the traditional custom. The traditional beverages mainly drinking at home were sikhye(35.6%), misugalou(30.2%), green tea(18.5%), etc. Children's most favorite beverage was misugalou(90.5%) and they had no taste for ginseng tea(39.6%). Children did not know well about booggumi(64.1%), dootubdduk(63.3%), whajun(39.6%), etc. and liked gguldduk(94.2%) better than the others. They liked the rice cake because of its good taste(69.0%) and disliked it because of chocking(30.9%), not eating frequently(29.5%), hard and tough(18.2%), and so on. And they wanted to make the rice cake softer and sweeter like the cake and mostly ate it on the traditional holidays.
        4,300원
        76.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영월 남부 지역의 청림 일대와 충북 가창산 일대에는 중기 석탄기의 갑산층이 북북서 방향으로 길게 분포한다. 이 연구는 갑산층 내의 석회암의 구성 입자와 조직 및 지화학적 특징, 그리고 석회암의 부존 상태를 규제하는 지질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갑산층의 석회암은 대체로 담회색 내지 담갈색을 띠며, 세립질의 치밀한 조직을 갖는다. 석회암의 구성 입자는 해백합, 유공충, 방추충, 개형충, 복족류 등의 파편으로 이루어졌다. 부분적으로 재결정 작용을 받아 세립의 결정질 방해석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갑산층 석회암의 CaO, MgO, Al2O3, Fe2O3 및 SiO2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CaO 함량의 범위는 49.78 - 60.63%이며, MgO는0.74에서 4.63% 까지 변화한다. Al2O3와 Fe2O3는 각각 0.02∼0.55%, 0.02∼0.84% 까지 변화한다. 이들은 CaO의 함량이 비슷한 경우 이들의 값도 매우 비슷한 양상을 보여 준다. SiO2는 대부분이 1.55∼4.80% 범위 내에서 변화하나 일부 시료에서 6%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낸다. CaO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석회암은 크게 49.78∼56.26%(A군)와 59.36∼60.38%(B군)의 범위 내에 분포하는 2개의 군으로 구분된다. A군의 석회암은 CaO의 함량 변화에 따라 Al2O3, Fe2O3 및 SiO2는 매우 불규칙하게 변화하며, MgO는 대체로 거의 비슷한 값을 갖는다. B군의 석회암 경우 MgO, Al2O3, Fe2O3 및 SiO2는 매우 비슷한 값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여 준다. 연구 지역의 갑산층 석회석 자원의 부존 상태를 규제하는 지질구조 요소들은 적어도 다섯 번의 변형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첫 번째 변형작용은 등사습곡구조를 형성시켰으며, 연구 지역 전역에 걸쳐 발달된 층리면과 평행한 엽리는 축면엽리로서 축을 갖는 노두규모의 습곡구조와 그와 관련된 축면엽리, 파랑습곡구조, 파랑엽리, 교차선구조 등의 지질구조 요소를 형성하였다. 세 번째 변형작용 동안에는 압축응력축의 방향이 대체로 동서 방향으로 바뀌었으며, 노두규모의 습곡구조, 파랑습곡구조, 파랑엽리, 교차선구조 등의 지질구조 요소를 형성하였다. 네 번째 변형작용은 세 번째 변형작용과 동일한 응력환경하에서 거의 연속해서 일어난 것으로 여겨지며, 지질도 규모의 향사구조 및 배사구조를 형성하였다. 다섯 번째 변형작용은 네 단계의 변형작용 중에 형성된 지질구조 요소들을 절단하는 취성 단층운동으로 특징된다. 이 중에서 갑산층 석회암의 분포는 첫 번째 변형작용 중에 형성된 등사습곡과 네 번째 변형작용 중에 형성된 지질도 규모의 향사 및 배사구조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4,300원
        77.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 충북지역의 주부 590멍을 대상으로 시판김치의 사용실태를 설문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판김치의 구매는 30대에서 많았고 고졸의 경우에 많았다. 직업 유무, 월수입, 주거 및 가족형태는 시판김치 이용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를(P<0.05) 보여서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시판김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김치의 선호도는 배추김치가 73.2%로 높게 나타났고. 시판김치 구 매 장소는 주로 대형 슈퍼마켓을 이용하였으며. 1회 구매분량은 3포기를 구매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구매 이유는 편리하기 때문과 가사와 자녀로 시간이 부족하여 구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어떻게 담그는지 몰라서 구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제품 선택 동기는 주로 구매 경험에 의해서 시판김치를 구입하였다. 광고를 보고 구매하는 경우도 있었고 재료나 점원의 권유에 의해서 구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응답자들이 가장 많이 지적한 시판 김치의 개선점은 가격이었다.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밖에 위생면, 맛의 다양성, 분량과 용기의 개선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었다. 향후 시판김치 구매 여부에 대해서는 73.2%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앞으로도 시판김치를 구매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상품화 된 김치의 이용은 젊은 세대뿐만 아니라 교육수준의 향상에 의해 주부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식생활에도 반영되기 때문에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가격면, 위생면, 맛의 다양성, 분량과 용기 등에 있어서도 한 단계 개선된 고품질 김치의 생산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4,000원
        78.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genus and two species of fusulinids are collected and describ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limestone of the Gabsan Formation, Jecheon area, Chungbuk. The identified fusulinids are Profusulinella arta, Profusulinella wangyui and enable to establish the Profusulinella Zone. This zone is able to correlate with the lower part of Profusulinella Zone in Yeongweol coalfield, the Eostaffella subsolana subzone in Samcheog coalfield, the Profusulinella Zone in U.S.A., the Eostaffella subsolana subzone in China and the lower part of the Profusulinella Zone in Japan. The geologic age of the upper part of the limestone of the Gabsan Formation will be the Lower Moscovian. Though any fusulinids are not found from the lower part of the limestone of the Gabsan Formation, the geologic age of the lower part of the Gabsan Formation would be the Bashkirian. Because the lithostratigraphic sequence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Yobong Formation in Yeongweol coalfield.
        4,000원
        79.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cological study of food and nutrition was conducted among 198 children, 6 to 12 years old, of the Songmyun elementary school and Samson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remote villages of Chungchun-myun, Goisan-gun, Chung Buk Province between July 11 and 16, 1988.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regard to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3.3% of subjects skipped every morning; 15% often skipped; and the others never skipped. The most common reason for skipping a meal was lack of appetite. 6.6% of subjects often skipped an evening meal because of delayed meal preparation by a mother who returned home late. The survey found that 5.1% of subjects skipped a lunch at school. The reasons for skipping lunch were the mother’s being too busy to prepare a boxed lunch; a school bag too heavy to carry for a long distance to school; no adequate side-dishes for the boxed lunch. Growth patterns of those children having poor food habits, were reflected in lower figures in arm circumference and weight for height. The percentage of children having meals with their family on weekdays was 84.7% for breakfast; 85.6% for evening meal. About 7% of subjects had many dislikes and 74.1% had some dislikes in what they ate; 18.9% had good food preferences.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ppetite or food preferenc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r nutrient intake. Boiled rice was the predominant dietary staple, and principal sources of protein taken by subjects at home were soy beans and soy products. Regarding the boxed lunch prepared at home, most popular was one with only one kind of side-dish, including kimchee. 43.4% of the side-dishes were prepared with vegetables only. As for between meal snacks, milk and milk products, fruits and breads were popular among the subjects. The survey found that the children liked fruits, yogurt, corn, Chajang noodle; in contrast, lowest preference was for soup made with bones, curried meat with rice, and aromatic vegetables. The survey discovered a local dietary characteristics; 46.2% of the children customarily ate frog meat, an unconventional food.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