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

        6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축력을 받고 있는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4점 굽힘 시험을 실시하였다. 조작변인으로 변위제어를 통한 단조하중과 반복하중이 있다. 통제변인으로는 축력 강도와 4점 굽힘 시험 등 조작변인 이외의 모든 변수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조작변인에 따른 변위-하중 그래프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변-하중 그래프의 초기 기울기와 최대하중의 변위는 거의 일치하였다. 하중 변화 양상도 동일하였다. 다만 최대하중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파괴 형상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62.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스트텐션 프리캐스트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보-기둥 접합부에서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긴장재가 접합부 내부를 관통하기 때문에, 기존의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 보-기둥 접합부와 다른 거동을 나타내며, 포스트텐션 PC 접합부의 정확한 해석 및 설계를 위해서는 먼저 긴장재의 부착특성 및 그에 따른 접합부 거동이 명확히 규명 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포스트텐션 PC 보-기둥 접합부에서 긴장재의 부착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보의 거동 및 파괴모드를 규명함으로써 이를 추후 보-기둥 접합부 모델링에 활용하고자 한다.
        6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상하단 철근의 영향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비틀림 강도를 평가하고자 단면의 상하단 철근의 R값을 변수로 비틀림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는 선행연구와 동일한 캔틸레버 형태로 총 2체를 제작하였으며, 1000kN의 액추에이터 2대 를 이용하여 가력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상하단 철근의 영향에 따라 비틀림 내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64.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기존 RC 보강방법인 철골프레임 적용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접합철물을 최소화하고 팽창형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H형강 프레임을 기존 RC 골조에 보강하고자 하였다. 철골프레임 적용 유․무를 변수로 RC 골조에 대한 반복가력실험을 실시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철골프레임을 적용한 RC 골조의 최대내력이 기존 RC 골조에 비해 약 1.4배 향상되었으며, 등가점성감쇠비 평가결과 또한 평균 2.4% 향상되어 에너지 소산능력이 개선되었다. 유한요소해석결과 해당 실험결과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6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In paper In this research a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y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strengthening efficiency of a hybrid material beam developed with the goal of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flexural stiffness and strength of aging RC structures. A composite beam consisted of two materials ; aluminum, GFRP.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consisted of testing 3 simply supported full-scale concrete beams. As test variables, the cross-sectional type of hybrid material beam(BE-2, SH-2). Test results show that the stiffness and load capacity of all specimens strengthened with hybrid material beam increased compared with unstrengthened specimens. A hybrid material beam of BE-2 was more efficient for stiffness increase than a un non-strengthened beam of U-B. A damage by power pin install reduce flexural load-carry capacity to 7∼10%. Specimens with high reinforcement raito had larg load-carry capacity than specimens with low reinforcement ratio and had small load-carry increase ratio compare with theoretical load-carry capacity of non-strengthen.
        66.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활용증대 방안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와 내구성 저하 시 보수․보강으로 사용되는 FRP (AFRP, CFRP) 판으로 보강된 순환골재 고강도콘크리트(40MPa, 60MPa) 보를 제작하여 순환골재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보강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의 표면매입보강에 따른 에폭시와 FRP 판의 부착력을 고려하지 않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전 FRP 보강판을 거푸집에 미리 설치하였으며, 순환골재 치환율(30%), 콘크리트 강도(40MPa, 60MPa), 이형철근(D10, D13), FRP 판의 종류(AFRP 판, CFRP 판)를 변수로 12개 실험체를 제작하여, FRP 판과 순환골재 치환율에 따른 휨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FRP 판으로 보강한 실험체는 무보강 실험체에 비해 최대 17%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FRP 판에 비해 CFRP 판의 보강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환골재 치환율에 따른 보강 성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의해 측정된 균열모멘트는 파괴계수를 이용한 결과 기준식과 비슷한 값을 나타났으며 휨 모멘트는 FRP 판을 보강한 일부 시험체가 KCI 2012와 ACI 440-2R에서 제시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7.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SIFCON으로 제작된 휨부재의 휨거동에 대한 실험적·해석적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우선, 12개의 SIFCON 보에 대한 휨실험을 실시하고 휨거동을 평가하였다. 실험변수로는 강섬유 종류, 인장철근 유·무, 단면의 높이를 고려하였다. Type-A 강섬유보다 뽐힘저항성이 우수한 Type-B 강섬유를 사용한 시험체는 전단파괴가 발생하지 않고 휨파괴 거동을 보였으며, 강섬유 형상비는 인장철근을 사용하지 않는 SIFCON 보의 거동에 큰 영향을 주었으나 인장철근을 갖는 SIFCON 보의 거동에 대해서는 그 영향이 매우 미미하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본연구에서는 SIFCON에 대한 휨강도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휨강도 예측값에 대한 실험값의 비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각각 1.02와 0.04로 나타나 휨강도 예측식은 SIFCON 보의 설계 및 성능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8.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저자 등에 의해 수행된 유연도법에 근거한 보-기둥 섬유요소에 수치해석적 방법으로부터 전단변형 효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된 정식화 방안과 단면에 대한 비탄성 전단응답 이력 구성관계식을 새로이 제안함으로써 전단 및 휨 - 전단파괴 양상을 나타내는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실험변수들이 전단거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 악하기 위하여 모두 종방향 철근의 항복전에 전단파괴가 일어나도록 설계된 총 6개의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를 검증 대상으로 저자 등에 의 해 새로이 수정된 구성관계식을 적용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RCAHEST)을 통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체에 대한 파괴모드 와 파괴시까지의 전반적인 거동 특성을 비교적 적절히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향후, 대형화‧복잡화 되어가고 있 는 전체 구조물에 대한 신뢰도 높은 해석을 수행하기 3차원 해석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9.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reinforcing a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building with a precast concrete panel, special connection between the PC member and the RC member is required to solve the time dependent deformation of the RC member and to receive the large shear forc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shear strength of upper connection between the existing RC beam-column and infilled PC wall panels in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Thus, the static shear loading tests were conducted on the 6 specimens with the plate connection. Shear failure was resulted from the weakest portion of interior PC panel, exterior RC, and the connection, when the PC portion which located at the center of specimen was pulled upward from the bottom. The experimental result was compared with analytical result from ACI 318M-14 Chapter 17 for the shear strength of post-installed anchor and PCI Handbook 7th edition 6.8 Structural Steel Corbel (PCI Design Handbook 7th edition, 2010) for the strength of cast-in H-beam. The analy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final failure at the same location. The failure loading of experiment showed larger than average 6% to that of the analysis.
        70.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reinforcing a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building with a precast concrete panel, special connection between the PC member and the RC member is required to solve the time dependent deformation of the RC member and to receive the large shear forc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shear strength of upper connection between the existing RC beam-column and infilled PC wall panels in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Thus, the static shear loading tests were conducted on the 6 specimens with the plate connection. Shear failure was resulted from the weakest portion of interior PC panel, exterior RC, and the connection, when the PC portion which located at the center of specimen was pulled upward from the bottom. The experimental result was compared with analytical result from ACI 318M-14 Chapter 17 for the shear strength of post-installed anchor and PCI Handbook 7th edition 6.8 Structural Steel Corbel (PCI Design Handbook 7th edition, 2010) for the strength of cast-in H-beam. The analy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final failure at the same location. The failure loading of experiment showed larger than average 6% to that of the analysis.
        71.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는 내화재료로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지만 화재가 지속됨에 따른 재료특성 변화 또는 성능저하의 위험을 갖는다. 이 연 구는 실물모형 철근 콘크리트 (RC) 보를 활용하여 비재하 화재 실험을 수행하여 화재노출 전후의 콘크리트 및 보강철근의 재료특성을 실험적 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화재실험에 사용된 보는 길이 4 m의 RC 보로서 KS F 2257 화재실험 규격에 따라 시험 체를 제작 및 화재실험을 수행하 였다. 화원의 가력은 ISO 834의 표준화재 곡선을 사용하였으며 보 가열부에서의 온도를 계측하고자 하면 및 측면에 열전대를 설치하였다. 실 험결과, 화재에 노출된 화재 코어 공시체의 경우 약 11 MPa로 약 66%의 강도저하가 발생하였다. 화재에 직접 노출된 철근의 경우 노출되지 않 은 철근에 비해 약 17%에 해당하는 75 MPa의 항복강도 저하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철근의 경우 콘크리트라는 내화피복에 의하여 보호 되어 약 4시간의 화재 실험에서도 온도는 한계온도의 최댓값인 649°C를 크게 상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72.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ile the period of high growth of Japanese economy, infrastructures were actively constructed. Now the structures are aged and its evaluation of integrity is one of significant topics to keep its serviceability and safety in Japan. Although the authors have been studied on tomographic techniques that are on the basis of elastic wave propagation for the evaluation, elastic wave difficultly propagate inside of structures if the structures are covered by stiff materials, e.g. steel reinforcement, and evaluation of integrity of the structures is difficult as consequence. Further, electromagnetic wave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inspection of concrete structures as well. However, dissipation rate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is generally high in metals, and it is also difficult to penetrate inside of the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neutron beam is known as a radioactive ray which permeability is high and it would be applicable for the inspection of inside of the concrete structures. Thus, in this study, permeability of neutron beams to concrete specimens is discussed as preliminary study for establishing the inspection technique of concrete structures with neutron beam.
        7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use of steel frame as an innovative method of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link beams. Also, the effect of diagonal reinforcement in link beam is evaluated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reinforcement.
        74.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UHPC 바닥판과 강재 거더를 이용하여 합성보를 구성할 때, UHPC 바닥판의 높은 강도와 강성으로 인하여 합성보 구성 시에 강재 거더의 상부 플랜지를 없앤 역T형 거더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강재 복부에 설치되는 전단연결재에 대한 거동, 역T형 강거더 합성보의 휨거동 특성 등은 실험 및 이론적으로 평가된 적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UHPC 압축강도, 전단연결재 간격 및 바닥판 두께 등을 변수로 하는 역T형 거더와 UHPC바닥판 합성보 16개의 휨거동 실험결과를 근간으로 하여 실험결과와 UHPC의 인장연화 거동을 고려한 재료모델 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역해석에 의한 인장연화곡선에서 UHPC의 인장강도는 6.57 MPa(120MPa의 경우) 및 9.57 MPa(150MPa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단연결재 간격이 좁을수록 실험결과와 해석결과가 명확하게 근접하는 겻으로 나타났으며, 바닥 판 두께가 두꺼우며 UHPC 압축강도가 작을수록 동일한 경향이나, 이 영향은 다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결과와 해석결과를 종합 적으로 비교하면, UHPC 합성보의 실험결과와 해석결과는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으므로 재료 실험으로부터 산정된 인장연화곡선은 UHPC의 실제 거동을 합리적으로 반영한다고 판단된다.
        76.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표는 학교 건물과 같은 저층 보-기둥 철근콘크리트 구조 건물에서 프리캐스트 벽패널을 사용한 새로운 내진보강 방법 을 개발하는데 있다. 1개의 무 보강 보-기둥 실험체와 U형 PC 패널로 보강한 2개의 보강 보-기둥 실험체에 대한 정적 이력 하중실험을 진행하 였다. 앵커 접합부 실험체는 전단 파괴될 것으로 해석되었고 철판 용접 접합부 실험체는 휨 파괴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험체의 종국 내력은 상부 접합부의 전단 내력과 PC 패널 절곡 부 휨 위험단면에서 휨 내력 중 약한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 실험체에서, 한쪽 RC기둥이 가 하중(미는 실험 하중)을 받아 PC 패널 부재를 밀게 된다면, 다른 쪽 내부 수직부재는 상부 전단 접합부로부터 부 하중(당기는 실험 하중)을 받게 되어있었 다. 가 하중을 받는 2개의 부재는 합성 휨 거동이 지배적이므로 합성단면의 휨 내력이 실험체의 최종 내력을 결정하게 되지만, 이 경우 최종 내 력에 대하여 상부 전단 접합부 강도의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부 하중(당기는 하중)을 받는 RC 기둥과 PC 패널 부재는 비 합성 거동이 지배적이고 실험체의 최종 내력은 상부 전단 접합부 전단내력의 크기에서 직접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CI 318M-11 Appendix-D 앵커 전단설계에 기초한 전단내력 그리고 실험에서 얻은 최대하중을 적용하여 마이다스 젠 탄성설계에 의하여 계산한 전단 외력 에 대한 비교 해석결과는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해석결과를 보여주었다.
        77.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표는 학교 건물과 같은 저층 보-기둥 철근콘크리트 구조 건물에서 프리캐스트 벽패널을 사용한 새로운 내진보강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1개의 무 보강 보-기둥 실험체와 U형 PC 벽패널로 보강한 2개의 보강 보-기둥 실험체에 대한 정적 이력 하중실험을 진행하였다. 앵커접합 PR1-UA 실험체와 철판접합 PR1-UP 실험체는 무 보강 실험체보다 평균 2.8배(평균 591.8 kN)의 강도 증가를 보여 주었다. 최대 변위비도 1.4%에서 2.7%사이 값을 보여주었다. RC 골조 우측 상단에서 좌측방향으로 가력 할 때 우측에 있는 RC 기둥과 보강 PC 패널의 수직 요소는 완전 합성상태로 가정하였고, 좌측에 있는 RC 기둥과 PC 패널은 완전 비 합성 거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해석한 결과 전체적인 휨 거동은 실험 결과와 대체적으로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78.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강섬유 대신 철근집합체를 사용하여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최대하중 이후 연성거동을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섬유와 철근집합체의 조합을 가진 직사각형 콘크리트 보에 대한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섬유의 혼입률은 0%, 0.7%, 1%, 1.5%, 2%이고, 연성거동을 유도하기 위한 종방향 철근 집합체의 철근비는 0.0036, 0.016, 0.028 그리고 0.036이다. 이러한 실험 요소의 조합으로 15개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보가 제작되었다. 강섬유 뿐만 아니라 종방향의 철근 집합체도 초고강도 콘크리트보의 연성거동을 유도하는데 효과를 가지고 있다. 강섬유 혼입률 0.7%와 철근비 0.028인 철근집합체를 사용할 경우 가장 경제적인 조합임을 볼 수 있다. 하중과 처짐관계, 콘크리트 응력의 변화 및 균열양상 등이 좁은 간격을 가진 작은 직경의 종방향 철근 집합체의 유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79.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y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hysteretic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haunched beams such as application with or without haunched. Test results showed that test specimens(FTH) was increased respectively the maximum load carrying capacity by positive 18%, negative 29% in comparison with the specimens(FTG). And the specimens(FTH) showed stable hysteretic behavior compared to the specimen(FTG)
        8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d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 regions using strengthening materials (CFRP sheet, AFRP sheet, embedded CFRP rod)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refore it was constructed and tested seven specimens retrofitting the beam-column joint regions using such retrofitting materials. Specimens, designed by retrofitting the beam-column joint regions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ere showed the stable failure mode and increase of load-carrying capacity due to the effect of crack control at the times of initial loading and confinement of retrofitting materials during testing. Specimens LBCJ-CRUS, designed by the retrofitting of CFRP Rod and CFRP Sheet in reinforecd beam-column joint regions were increased its maximum load carrying capacity by 1.54 times and its energy dissipation capacity by 2.36 times in comparison with standard specimen LBCJ for a displacement ductility of 4 and 7. And Specimens LBCJ-CS, LBCJ-AF series were increased its energy dissipation capacity each by 2.04~2.34, 1.63~3.02 times in comparison with standard specimen LBCJ for a displacement ductility of 7.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