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2

        61.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n-native flora of the Ulleung island,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South Korea, was surveyed as 54 taxa with 16 families, 35 genera, 53 species and 1 variety.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spects of the island, the flora of the island showed more closely related with Korean Peninsular than Japan. Poaceace (28%) and Asteraceae (24%) represents more than 50% of the non-native flora in Ulleung island, meaning that they have an advantage of seed dispersal and adaptation to new environments. Ulleung island is comparatively small island of vulnerable to the attack of invasive alien plants but presently, it has the least number of non-native plants than other areas in South Korea. Therefore, we need to take much interest in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non-native plant in the future.
        63.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an identifying system for Iris species distributed in Korean market from complete analysing of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hree native Iris species and one cultivar bred from the native Iris plant. RAPD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among 4 Irises was possible. According to the RAPD analysi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mong 4 Irises used in this study, Iris laevigata 'Veriegata', Iris laevigata and Iris setosa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since they had many similarities even though the habitat of Iris laevigata in Korean peninsular is restricted mainly in the south and Iris setosa is naturally inhabited in the northern part of Kangwondo. The value for the dissimilarity index of Iris laevigata and Iris laevigata ‘Veriegata’ was 6.757. The value for the dissimilarity index of Iris laevigata and Iris dichotoma was 95.000, so that they were genetically the farthest among them since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wo species are separated far if the value of the dissimilarity index is close to 100.
        65.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정서와 친숙한 우수한 자생식물 중 아파트 베란다 화단에 활용 가능한 초종선발을 목적으로 화분형으로 식재하여 생육과 관상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산호수, 애란, 바위취, 풍란은 베란다 용기화단에 식재 시 생육이 안정되고 관상가치가 높아 실내식물로 이용하기 적합한 식물로 판단되었다. 바위솔, 좀비비추, 무늬둥굴레, 나도풍란, 우산나물은 생육이 조금 불안정하였으나 베란다 화단용 식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동의나물은 생육이 불량하여 실내식물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67.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물유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산화 화합물을 찾기 위하여 채취한 86종의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얻은 MeOH 추출물을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밤껍질 (RC50=5.8μg)과 느릅나무 (RC50=12μg)에서 대조구인 α-tocopherol(RC50=12μg) 과 BHA(RC50=14μg)에 비해 강한 활성을 보였고 그외 13종에서 도 비교적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표적인 식물병원균 중 6종의 균주를 사용하여 in vivo 방법으로 항미생물 활성을 검정한 결과 굴피나무, 비목나무, 산국, 소리쟁이, 가막사리, 아왜나무에서 90% 이상의 식물병원균의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다.
        68.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생식물 16종의 종자형질 특성 및 저온습윤 및 변온 처리에 의한 발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실험은 수행되었다. 종에 따라 종자의 길이, 넓이, 폭은 각각 1.1∼8.9, 0.7∼7.5, 0.4∼l.7mm의 범위였으며 천립중은 0.1∼8.8g의 범위였다. 무처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은 종에 있어 냉이와 익모초는 암조건에서 각각 16, 36%이었으며 장구채와 각시취는 명조건에서 각각 69, 81%이었다. 참취, 고려엉겅퀴, 곰취, 질경이, 청옥취는 저온습윤처리 명조건에서 각각 84, 29, 57, 78, 95%로 물엉겅퀴는 암조건에서 30%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변온처리에서 발아율이 높은 종에 있어 두릅나무와 벌개미취는 명조건에서 각각 2,57%로, 수리취는 암조건에서 52%로 가장 높았다.
        71.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자생 차나무의 채취 다엽에서 차의 품질관련 주요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질소 함량은 3.59~4.89%% 사이로 보성 대원사, 화순 쌍봉사, 순천 창천리, 하동 쌍계사, 강진 장원산업 다엽에서 함량이 많았다. 2. 다엽의 유기성분 함량중 tannin은 12.5%~18.3% 범위였으며, 영광 천마리, 함평 용암리, 여수 우두리 다엽이 12.5%, 12.7%, 12.8%로 함량이 적고, 구례 천은사, 강진 백련사, 나무 불회사 다엽이 18.3%, 16.7%, 16.4%로 함량이 많았다. 3. Caffeine은 2.21~3.11% 범위로 담양 양각리, 여수 우두리, 구례 화엄사 다엽이 2.21%, 2.23%, 2.23%로 적고, 광주삼애다원, 강진 장원산업, 순천 창천리다엽이 3.11%, 2.94%, 2.87%로 함량이 많았다. 4. Vit. C는 167.9g~223.5mg/100g 범위로 장성 오산리, 순천 송광사, 영광 천마리 다엽이 167.9mg/100g, 185.6mg/100g, 185.8mg/100g로 적고 광주 삼애다원, 강진 장원산업, 순천 창천리 다엽이 291.5mg/100g, 271.8mg/100g, 269.5mg/100g으로 함량이 많았다. 5. 엽록소는 187.4~332.7mg/100g 범위로, 평균 함량은 242.0mg/100g 이었다. 6. 아미노산은 1,888~2,500mg/100g으로 강진 장원산업이 2,500mg/100g으로 함량이 가장 높고, 순천 송광사가 1,888mg/100g으로 가장 낮았다. 7. 보성 대원사, 화순 쌍봉사, 순천 창천리, 하동 쌍계사, 강진 장원산업 채취 다엽이 전질소와 아미노산 함량이 많고, 탄닌 함량이 적어 품질이 양호하리라 생각된다.
        72.
        199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는 60여종의 약용식물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식물체의 부위 와 종류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얻었다. 1. 달맞이꽃종자, 컴프리잎, 지치뿌리에서 각각 총지방산함량의 9.1, 3,5, 7,2%의 GLA가 검출되었으며 달맞이 꽃종자가 컴프리잎이나 지치뿌리보다 GLA의 절대량이 많았다. 2. 들깨종자, 참깨종자, 호박종자등의 지방산이 양(量)과 불포화도면에서 좋은 자원임이 확인되었다. 3. 식물체의 잎, 줄기, 뿌리에서의 지방산조성은 종자의 경우에 비하여 18 : 3의 분포 비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18 : 0의 비율은 비교적 같게 나타났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