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61.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ubfamily Cryptolechiinae Meyrick 1883 (Depressariidae sensu Heikkila et al., 2014) is reviewed from Korea. The Cryptolechiinae comprising nearly two hundred species worldwide (Wang, 2006), is characterized by forewing broadly lanceolate, the male genitalia without gnathos and female genitalia with well-developed lamella antevaginalis. In the Korea fauna, only four species of two allied genera, Acryptolechia and Cryptolechia, were recognized with two new species. A full bibliography, diagnosis and descriptions for all known species including new species are provided with illustration. Keys to species are also given.
        62.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년대 초반부터 온라인게임의 과금방식이 부분유료화로 정착됨에 따라, 새로운 수익모델로서 게임사업자가 이용자들에게 직접 유료 아이템을 판매하는 방식이 등장했다. 그리고 수익을 늘리기 위해 아이템을 확률형으로 제작하여 판매하는 방식을 고안하였다. 2010년을 전후로 발매된 모바일게임들도 동일한 방식을 채택하였다. 확률형 아이템은 구매하여 사용하기 전까지는 결과를 알 수 없고 우연에 따라 그 결과가 도출된다. 그 특성상 과소비⋅과몰입⋅사행성 요소를 배 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규제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이러한 지적에 따라 업계에서 자율규제를 시도하였으나 일부 업체들을 제외하고는 가시적 성과를 내지 못했고, 결국 2015년 3월 9일에 정우택 의원 포함 10인의 국회의원들이 게임산업법을 개정하여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을 공개하도록 하는 안을 발의하였다. 그러나 개정안에는 ① 확률을 게임물내용정보에 편입시키는 문제, ② 적용대상의 불명확성 문제, ③ 부칙으로 인한 개정안의 실효성 문제가 있다. 본고는 업계의 자율규제안도 가시적 성과를 보이지 못했고, 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고자 제출된 개정안도 법학적⋅법정책적 한계를 보인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에 대안이자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으로서 현행 게임물 등급분류제도를 통한 규제 및 새로운 법문언을 간략히 제시한다.
        6,300원
        6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se the weight to power ratio of the representative truck in S. Korea. So far, S. Korea has been using the unit lb/hp, and the construction machines were not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trucks.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commend the use of ISO system of units, and to analyze the weight to power ratios of the representative trucks in S. Korea, including the dump trucks, concrete mixer trucks, and asphalt and concrete diffusers. RESULTS: From this study, the 85 percentile value of the weight to power ratio of the trucks in S. Korea’s was found to be 103.6 kg/kw. CONCLUSIONS : The performance standard for the representative truck has to be increased upward, considering the travel pattern of the dump trucks, concrete mixers, and asphalt and concrete diffuser trucks, travel distances, narrow area (work zone) of operation, and the saving in construction budget for climbing lane. Based on this study, the weight to power ratio of the representative truck in S. Korea could possibly be revised to 100~110 kg/kW.
        4,000원
        65.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lanthopper subfamily Achilinae (Metcalf, 1938) from Korea is taxonomically revised. Six genera and seven species are recorded among Korean fauna. Among them, one genus, Phenelia Kirkaldy, and two species, Phenelia striatella (Matsumura, 1914) and Deferunda qiana Chen and He (2010) are new to Korea. The male genital structures of all these species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plus an identification key to the tribe, genus, and species is provided.
        4,000원
        66.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Glischrochilus Reitter, 1873 is characterized by reddish or yellowish markings on their elytra. This genus is belonging to family Nitidulidae Latreille,1802. Five species in this genus: Glischrochilus (Librodor) ipsoides (Reitter, 1879), Glischrochilus (Librodor) japonicus (Motschulsky, 1858), Glischrochilus (Librodor) pantherinus (Reitter, 1879), Glischrochilus (Librodor) parvipustulatus (Kolbe, 1886), Glischrochilus (Librodor) rufiventris (Reitter, 1879) have been recorded in Korea upto now. Additionally, a new recorded species, G. christophi, are recognized from korea. As the results,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adults of totally five species with one newly recorded species in Korea were reviewed herein. A key to Korean species of genus Glischrochilus is also provided.
        6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Eumetoecus Loginova is revised. The genus is considered as Palearctic group and consist of four species in the world. This genus is newly recorded from Korea with a new species Eumetoecus sp. nov. which was collected from Suaeda japonica Makino (Chenopodiaceae). The new species is described, and a key to species and short biological notes are provided.
        6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of plate boundaries and their conception revision according to the pattern of students' reasoning. Participants were twenty-two 10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draw the three types of plate boundaries and to explain their drawings. Nin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asoning activity. To this e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during which key questions were asked for the students to individually answer. The key questions used in the reasoning activity were created, by utilizing questions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alternative conceptions of plate boundar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based on established criteria. Students who attempted a variety of reasoning strategies such as causal reasoning, using an analogy, abductive reasoning, data reconstruction and concept combination, revised their alternative conception to a scientific conception after the reasoning activity. On the other hand, some students could not revise their alternative conceptions because they only conducted an incomplete reasoning strategy.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y were unable to use other reasoning strategies, either.
        4,600원
        69.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kill of argumentation is problematic for EFL students who are linguistically and rhetorically deficient in expressing academically appropriate forms in English. In fact, many EFL students struggle to write highly elaborate argum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EFL students’ skills for argumentation improved after receiving peer feedback. We also investigated which elements of argumentation were related to the quality of argumentative writing. To this end, we used the Toulmin model of argumentation. We collected 34 EFL students’ first drafts and revisions as well as reviewers’ written feedback, and analyzed their drafts and revisions with a rang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e found that peer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upon overall writing quality. Peer feedback made meaningful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rgumentative strategies they employ. It seems apparent that peer response prompted the students to reflect on whether the logic of their argumentation made sense to the readers.
        5,700원
        70.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30년 사이 전국문자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발전을 가져왔다. 특히 전국문자의 영역분류 연구에 있어서 많은 연구자들이 전국 5계 문자의 개별적 특징을 인식하였다는데 대해서는 별다른 이의가 없다. 주지하다시피 전국문자 영역분류 연구의 중심은 古璽印의 연구이다. 전세기 50년대 李學勤 선생은 『戰國題銘概述』에서 이에 대한 초보적 연구를 시행하였고, 80년대 이후 출토되는 전국 문자 자료가 증가됨에 따라 전국문자 연구는 매우 활발히 이루어졌다. 羅福頤선생의 『古璽彙編』, 『古璽文編』가 연속적으로 출판됨으로써 많은 학자들의 古璽印 연구를 도왔고, 吳振武・湯餘惠・何琳儀・曹錦炎・林素清・施謝捷등의 여러 학자들이 뒤를 이어 『古璽彙編』과 『古璽文編』를 중심으로하고 새롭게 출토되는 문자를 결합하여 璽印 연구 영역에서 더욱 깊고 정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당시 출토 문물과 문헌의 한계로 인해 개별적인 璽印의 자체(字體) 특징에 대해 명확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고 이로 인해 어떤 국가의 자체로 귀속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문제로 남게 되었다. 예를 들어 『古璽彙編』의 3983를 보면 그 새겨진 글은 비교적 쉽게 읽어낼 수 있으나 문자의 분석에 오류로 인해 어떤 국가의 문자로 귀속할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문제로 남겨져 있다. 본고는 『古璽彙編』 3983에 수록된 “空桐勶”를 증명하기 위해 최근 발견된 새로운 秦文字자료를 이용하여 “勶”자에 대해 새롭게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전과 후대의 해서 중의 “勶”자는 모두 “力”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영향을 받아서 학자들은 모두 『古璽彙編』 3983 중의 “勶”자도 “力”이라고 보고 있 다. 본문은 대량의 秦簡과 漢簡, 秦印, 漢印, 帛書 등의 자료를 토대로 전국문자 중 의 “勶”자는, “刀”의 요소이지 “力”이 아님을 증명하였다. 『古璽彙編』 3983의 국가별 귀속에 대해서 가장 명확하게 증명한 학자는 施謝 捷이다. 본문은 대량의 秦文字를 비교 연구한 결과 施선생이 이를 秦印에 분류한 것이 정확한 의견이었음을 알 수 있다.
        4,000원
        7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주요 항만에 규정되어 있는 정박지와 관련한 운영 세칙은 항만마다 정박지 운영 기준이나 정박지 선박수용능력에 대한 단위가 단일화 되어있지 않으며, 동일한 사안에 대해 다른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박지를 운영하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당사자들에게 큰 혼란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항만의 정박지 운영 세칙을 검토하여 세칙명, 단위 및 용어의 단일화방안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정박지 운영상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국 주요 항만의 정박지 현황 검토를 통하여 향후 세칙 개정시 정박지 명칭 부여 원칙, 정박지 선박수용능력 단위 및 정박지의 수용가능한 선박 척수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안하였다.
        4,000원
        7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analyzes the available working time at work-zone on the Expressway in accordance to the new capacity manual. METHODS: Sensitivity analysis on variables were conducted to calculate the adjusted capacity at work-zone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RESULTS : The main factors which affect available working time at the work-zone were its capacity, number of lanes, terrain and lane width. Other factors have minimal effect on the available working time. Based on the analysis, a calendar of lane closures was suggested. CONCLUSIONS : A series of studies concluded that the capacity at work-zone in the new capacity manual reduced to 76-82% of the existing manual. As such, the available working time decreased. Furtherm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available working time needs to be considered when making a plan to rehabilitate the distressed pavement.
        4,000원
        74.
        2014.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ue bug genus Paromius from Korea is revised taxonomically. It comprises the following three species: P. exiguus (Distant, 1883), P. jejunus (Distant, 1883) and P. gracilis (Rambur, 1839). Among them, P. jejunus (Distant, 1883)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pest bug injurious to rice culture, known as P. exiguus (Distant,1883), has been recorded erroneously by the previous authors from Korea due to the misidentification, which is rectified here with the support of morphological evidence. All the species of this genus are classified with proper redescriptions, and an identification key to species is provided with illustrations.
        4,000원
        75.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역량들을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 미래 사회의 변화된 상황에 맞추어 학교 교육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재조정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개혁의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게 된 것이 핵심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핵심역량 중심의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한 선결 요건으로 선행연구에서 다양하게 논의되어온 핵심역량 대범주를 재구조화하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됨직한 각 영역별 핵심역량 구성요소를 논의하였다. 문헌분석, 전문가 심층면담, 델파이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핵심역량 대범주 3가지를 (1) 인성 역량, (2) 지적 역량, (3) 사회적 역량으로 구성하고, 각 핵심역량 대범주별로 의미와 특징을 제시하였다. 각 대범주별로 어떤 핵심역량을 선정하고 가르칠 것인지는 교과 및 교사수준에서 전문성을 발휘하여 결정하도록 맡겨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한 핵심역량 대범주들을 중심으로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주목할 점을 제안하였다.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는 인성 역량을 포함하여 핵심역량의 3개 대범주들을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하며, 핵심역량을 모든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최소 수준의 목표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 주제와 목표 등에 따라 각 대범주별 핵심역량 구성요소와 구성요소들 간의 연계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4,000원
        7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1년 형법개정법률안(이하 ‘개정법률안’이라 한다)은 기본권보장에 관한 헌법정신의 구현이라는 개정의 기본방향을 구현하기 위해 상습범과 누범(제35조) 규정을 삭제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이들로부터 사회를 보호할 수 있는 특별한 처분이 필요하므로, 형법총칙에 보안처분을 도입하기로 현재 치료감호법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치료감호처분과 보호관찰처분 이외에 보호수용처분을 새로이 규정하기로 하였다. 개정법률안은 보안처분의 비례성의 원칙을 규정하고, 강도를 제외한 재산범죄를 보호수용 대상범죄에서 제외하고, 보호수용의 집행유예와 보호수용자에 대한 정기적 가출소 심사 등을 규정하였다. 보호수용처분이 구 사회보호법상의 보호감호처분에 비해 인권침해의 가능성이 적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호수용처분의 도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첫째, 보호감호제도가 폐지된지 10년도 채 지나지 않아 이와 유사한 보호수용처분을 도입하려는 실질적 이유는 최근 발생한 흉악범죄를 계기로 범죄인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는 여론을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보호수용처분을 도입해야 할 정도로 이전에 비해 범죄상황이 악회되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 근거가 부족하다. 둘째, 현행형법 제42조는 유기징역의 상한을 30년, 50년으로 이전에 비해 2배 가중하였고, 개정법률안도 이러한 입장을 따르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보호수용이라는 자유박탈적 보안처분을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 있다. 셋째, 개정법률안에는 보호수용시설의 인적, 물적 구성, 구조, 교화와 사회복귀를 위한 프로그램 등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는 보호수용처분도 과거의 보호감호와 별 다르지 않게 운영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되면 이중처벌의 논란 속에 폐지된 보호감호제도가 다시 부활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넷째, 개정법률안은 형벌과 보호수용처분을 동시에 선고할 경우 대체주의를 택하지 않고 병과주의를 택하고 있는데, 이는 이중처벌이라는 비판을 받았던 보호감호제도와 동일한 잘못을 반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보호수용처분은 재범위험성을 요건으로 한다. 그런데 현재로서는 재범위험성 판단의 기초가 되는 범죄인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또한 재범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정확한 기준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6,600원
        77.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개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Ⅰ」 교과서를 대상으로 ‘介詞’에 대 한 서술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고찰하여 학교 문법에서의 개사에 대한 정의와 문법의미범주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介詞는 단독으로 문장성분을 이룰 수 없고 명사나 명사에 상당하는 단어나 구, 절의 앞이나 뒤에 놓여 介詞句(介詞構造)를 구성하여 중심서술어의 앞 또는 뒤에 서 수식하거나 보충해주는 부사어나 보어의 기능을 하며, 서술어와의 관계에 따라 時間, 場所, 原因, 方式(道具방식, 身分방식, 手段방식), 對象(處置대상, 人物대 상, 比較대상), 行爲者(共同행위자, 被動文행위자) 등을 나타내는 동사 혹은 접속 사와는 구별되는 虛詞 중 독립된 品詞라 할 수 있다. 개사의 정의와 문법의미 분류는 한문독해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문장 구조 관 계를 통한 의미파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문법용어에 치중하거나 자세히 분류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예시문은 명시적이고 규범적인 것을 제시하 여 해석을 위한 방편으로 삼아야지 문법학습을 위한 문법교수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7,700원
        78.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문에서 多義語의 의미항목 분별은 각 개념의미의 차이와 문맥을 통해 드러나 는 용법의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정확한 독해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학습 요소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고등학교 한문Ⅰ 5종 교과서를 검토해 본 바에 의하면, 모두 다의어를 중시하여 이를 학습 요소로 제시하고 있지만 다의어 한자 선정이 수의적인 경향이 있으며 다의어의 의미 항 목 용례로 제시된 것이 대부분 ‘언어생활 한자 어휘’여서 한문독해력 신장과는 일 정한 거리가 있었다. 이러한 실태의 주요 원인은 다의어 한자 선정에 대한 일정한 기준의 부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1) 異音異詞의 경우 2) 동일한 한자가 실사, 허사를 모두 표기하는 경우 3) 의미의 유연성이 희박한 경우 4) 빈도수가 높은 경우 등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근거로 하 여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내에서 다의어 한자를 선정하여 그 목록을 제시하고 다의어의 분별된 의미항목에 따른 한문 용례도 제시하였다.
        7,800원
        79.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ribe Archipini occurring mainly in the Holarctic, Afrotropical and Oriental Regions; scarcely represented in the Neotropical with more than 500 described species of 150 genera (Razowski, 2003). The tribe Archipini in Vietnam was studied by several authors. Kuznetsov (1992) described two new species, Homona superbana and Neocalyptis sodaliana, besides 28 known species were recorded, and he (1997) also recorded four species, Homona encausta (Meyrick), Neocalypis tricensa (Meyrick), Meridemis furtiva Diakonoff and Lumaria probolias (Meyrick). In a study on Tortricidae fauna from Vietnam (2000), 43 of 208 Tortricidae species belong to the tribe Archipini were annotated. Based on the collection of the Berlin Museum, Razowski (2008a) reported seven known species and described 13 new species belong to four genera, Gnorismoneura Issiki & Stringer, 1932, Terthreutis Meyrick, 1912, Synochoneura Obraztsov, 1955, and Terricula Falkovitsh, 1965, he also reported ten known species and described five new species belong to three genera, Choristoneura Lederer, 1859, Homona Walker, 1863 and Meridemis Diakonoff, 1976 (2008b). In the year of 2009, he described one new genus, Chirapsina Razowski, 15 new species, besides 37 known species were recorded (2009a), he (2009b) also described five new species and four known species from Vietnam. In the present study, we focused on Archipini fauna in the northern part of Vietnam, a total of 19 species belong to 13 genera are recorded. Among them, five species Adoxophyes tetraphracta Meyrick, Meridemis bathymorpha Diakonoff, Pademis corylana Fabricius, Terthreutis bulligera Meyrick, and Ulodemis hyalura Diakonoff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80.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중등학교 교육과정은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 육과정’ 등이 혼재된 상태로 준비 또는 진행 되고 있어 현장의 선생님들은 교수․ 학습 및 평 가 등에 있어 혼란을 겪고 있다. 규준참조평가(norm-referenced evaluation)는 ‘학생이 무엇을 얼마만큼 알고 있는가?’ 보다는 상대적 서열에 관 심을 두는 평가 형태이다. 준거참조평가(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는 학 습자 또는 개인이 정해진 준거 혹은 목표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 형태이다. 따라서 준거참조평가(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내용에서 성취기준을 마련하고, 성취수준을 기술해야 한다. 이는 교육과정 변화에 따라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해야 하는가를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 이다. 평가문항(도구)의 제작은 성취기준에 의해 개발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는 국가 수준의 평가 기준 및 성취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일환으로 ‘예시평가문항’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2009 개정 교육과정 한문과 교과서 개발은 금년에 중학교가 완료되었다. 이 또한 아직 학교 현장에는 적용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2009 개정 교육과정 한문Ⅰ 교과 서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예시평가문항’을 만들 고 ‘예시평가도구’를 제시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평가 기준’만을 제시할 경우, 실제 이러한 평가기준에 따라 어떤 평가 문항을 만들어야 하는가에 대하여 현장의 선생님들은 많은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이 때문에 ‘성취 기준’에 따른 예시 평가문항(도구)의 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Ⅰ’교과서가 부재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항을 개발한다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예시 평 가 문항은 현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에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따라 두 가지 대안을 마련하였다. 하나는 가장 공인된 ‘7차 교육과정 수능시험 문항’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 평가 기준’에 맞는 문항을 찾아 제시하는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2009 교육과정의 새로운 유형의 문항은 개발하는 것이다. 이 글은 20개의 ‘예시 평가문항’을 2009 개정 교육과정 대영역인 ‘독해’, ‘문화’, ‘한문지식’으로 구분하고 문항에 대한 질적 평가를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문항의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6,4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