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81.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시장이 세분화되고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진 현실에서 단순히 품질과 가격, 기능 등의 경쟁력만으로는 더 이상 비 교우위를 점할 수 없다.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유발시키기 위해 기존의 농식품과 구별되며 독창적이고 특별한 포장디자인 의 차별화 요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삶의 여유와 인간 본연의 가치가 확대되면서 친환경과 기능성 소재 등을 활용한 응용제품 산업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 고조와 더불어 신선농식품 포장 기능성 강화를 위한 닥섬유 친환경 포장디자인 개발에 따른 포장디자인에 관련한 선 행연구로서, 농식품 포장디자인 제작에 있어 영향을 주는 요소를 추출하여 요인을 분석하고 실제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자료조사를 통해 농식품 포장디자인에 관련한 국내·외 문헌과 학술전문지를 조사하고,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해 포장디자인 관련 항목을 추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를 활용하였으며, 전문가들의 직관을 동원하여 중요한 요소에 대한 의견을 수렴코자 델파이기법을 이용하여 세 차례의 라운드 조사를 통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추출된 포장디자인의 주요한 요소들로 49개의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근간으로 중요도에 따른 클러스터링을 통해 대표적 요인으로 신뢰성, 심미성, 경제성, 환경성, 기능성이 선정되었다. 또한10가지 디자인 요소의 중 요도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요소는 농식품 포장디자인 제작 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로 본 연구에서 추출된 디자인요소와 그 밖의 감성요소와의 관계성을 알아보고, 실제 포장디자인 적용 시 가이 드라인이 되는 포장디자인 제작 시스템구축을 하고자 한다.
        8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디자인적 사고는 오늘날 모든 분야에서 디자이너와 같은 사고가 필요하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디자인 경영’ 보다는 ‘경영 디자인’에 좀 더 가까운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례를 토대로 디자인적 사고가 오늘날 국내 비즈니스에 주는 영향과 효용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그리고 창조적 혁신을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써 디자인적 사고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현대카드, 서울아산병원, Haatz 등 국내 기업의 디자인적 사고 활용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리하면, 국내 조직에도 디자인적 사고의 주요 요인으로 꼽은 4가지, 고객 경험적 가치 부여, 고객 중심 접 근, 강한 리더십, 조직 환경 조성이 올바르게 적용된다면 목표를 위해 다양한 방향에서 새로운 마케팅 실시가 가능해지고 소비자의 니즈 이상의 경험과 관례적이었던 불합리함과 불편함이 개선되어 디자인적 사고가 충분히 성공적인 현대 경영 운 영에 가능성을 보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83.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the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of flower arrangement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after-school and aims to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through a questionnaire. For the study, analyzes of flower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through a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at about gardening activitie’s impact on children. In addition, analyzes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extracts the flower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to develop the flower arrangement program. Developed programs are proven by conducting surveys for theirs fitness as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 and children's anticipated preference for 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0 lecturer who directly teach the after-school classe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lower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of design and flower arrangement theory was connect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 by analyzing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at can be connected flower design, develop flower design after-school programs in 15 periods. Programs are five associated with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five about color that most associated with elementary curriculum and five about trends and lifestyle associated with flowers. Developed programs are limited to the possible level that applies to the elementary after-school classes about cost, time, and technology. Third, the programs are proven by teachers and after-school classes lecturer. According to survey results, the art is the most relevant to flower design and developed 15 programs were proven their suitability to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s.
        84.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에듀테인먼트는 미래교육과 소프트웨어 분야 외에도 많은 분야에서 언급,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에듀테 인먼트에 대한 개념이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 미래 교육환경 조성 및 에듀테인 먼트 디자인 산업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국내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에듀테인먼트 기반 디자인 관련 40편의 국내 학술논문들을 대상으로 7가지 분석 준거를 통해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준거 범주는 발행년도, 학술지, 연구목적, 연구대상, 디자인분류체 계, 주제어 분석, 에듀테인먼트 기반 디자인 구현유형 등 일곱가지 분석 준거에 따라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부터 에듀테인먼트에 대한 연구가 증가추세였다. 둘째, 다양한 학술지에서 다양 한 분야의 에듀테인먼트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다. 넷째, 연구목적상 개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주제어와 출현빈도수를 살펴보았을 때 스마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교육용 게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시·공간에 대한 구분이 희미해지고 가상현실과 체험현실을 이용한 시설기반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에듀테인먼트 기반 디자인 구현 유형 분석을 준거로 한 게임분야에 연 구가 몰려있었다. 전반적으로 에듀테인먼트 다자인은 더더욱 많은 발전이 요구되는 영역이다. 결론 및 향후 과제에서 에듀테인먼트에 관련된 많은 교육학적 이론과 연구 결과들이 관련 시설 및 설치물의 디자인이라 는 실제와 보다 더 유기적으로 연계되기 위한 융합적인 연구가 더 많이 요구된다.
        87.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농촌 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현상, 도농소득격차의 심화로 농촌의 부정적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농업 부가가치 및 농가 소득이 정체되는 것을 타파하기 위해 농업 6차 산업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농업 6차 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이에 대한 발전전략 연구를 위해서 농업 6차 산업의 개념과 의미를 정의하고 농촌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농촌산업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일본의 성공적인 6차 산업의 현황과 포장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한 후 농촌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6차 산업 발전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농업 6차 산업의 기대효과는 농업의 고부가가치화, 농가소득 증대,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6차 산업화와 농촌산업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농산물 생산뿐만 아니라 가공, 제조, 체험, 관광, 숙박, 농가레스토랑, 판매 등 모든 분야가 융.복합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상품판매를 위한 포장디자인은 농산물 소비량 증대와 농촌경제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88.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택 브랜드 디자인의 로고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안동지역 고택 브랜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자고 하였다. 현재 브랜드 디자인 환경에서의 고택 브랜드 디자인은 모던하고 플랫한 디자인을 통해 기존 브랜드 디자인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현 시점에서의 고택 브랜드 디자인을 파악하고 사용자 중심으로 활용성을 높이는 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현 고택 브랜드의 디자인의 변화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고택 브랜드의 주요 특징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결론적으로 나아가 안동지역 고택 브랜드 디자인적 활용이 미미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디자인의 개발과 발전에 따라 상품 콘텐츠의 개발 또한 함께 이루어질 수 있어야함이다.
        89.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ecessity of universal design for forestry is increasing. Although several studies applied universal design in forest site, they had been only concentrated on the barrier-free design for the limited activities rather than overall utilization for considering all visitors from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the infirm to the baby and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inciple of the universal design within forest welfare service facilities by analysing how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perceive overall usag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area. This study figures out the mai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in forest welfare through analyzing usage of children and disabilities in Yumyeo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where is one of the popular type of forest welfare area. By doing focus interviews targeted on children and disabilities, the results are analyz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objectively. The result proves that universal design in forest welfare area contains four principles; convenience, safety, diversity and amenity. Also it confirmed that disabilities need better internal space facilities and priority care. Through those characters of universal design, forest area will be able to cover more various type of users as forest welfare area.
        9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적으로 에너지나 자원의 절약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점에서 건축물의 재생은 환경, 생태적 측면의 접근뿐만 아니라, 기존의 자원이나 자산의 보존·재생에 의한 문화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재생 건축물의 사례 연구를 통해 기존 용도의 변경여부, 기존 건축물 내·외부 보존 정도 및 방식, 공간 형태 및 프로그램 변경 등 다각도의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건축물 리모델링의 계획 방향 설정 시 참고 가능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도변화는 기존 건물의 원용도를 새로운 용도로 변경하는 ‘전용형’이 6사례(75%)로 나타났고, 나머지는 원용도를 이어서 사용하는 ‘계속형’이었다. 전용형의 경우 원용도는 창고, 가압장, 공원 관리사무소로 다양하지만 모두 공공적 성격의 문화공간으로 변경되었다. 둘째, 공간변화의 유형과 공간 리모델링 시 원형의 보존 및 개조 수준을 조사한 결과, 외관은 부분개조를 하되 사례별로 원형의 형태, 재질, 색상 등의 보존 정도가 달랐다. 내부 역시 부분개조가 대부분이었고, 구조적, 기능적 보강이 필요한 부분에만 새로 보수를 하고 기둥, 벽면, 천장 등의 원형을 최대한 디자인에 반영하는 형식이었다. 셋째, 재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가치요소 중 경제적 가치는 모든 사례에서 나타난 반면, 역사성과 기능적 가치는 사례별로 차이를 보였다.
        91.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n association research for design-improvement and model-development of exhibition shops at rural tourism communities, is to secure objective data by analyzing customers' awareness-tendency of and demand for agricultural-specialty exhibition shops. Survey-questions for finding out consumers' awareness-tendency and demand were determined through brainstorming of a professional council, 30 rural communities of which visit-rate by consumers is considerably high were selected for the recruit of 200 consumers. For investigation and analysis,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arried out at the scene with the application of frequency analysis and summarization of their opinions, which revealed that they have a strong will to visit the rural tourism communities for the purchase of agricultural specialties along with the experience of learning-program and on-the-scene direct dealing and that their viewpoint on the direct dealing at the scene was very positive. Also it was confirmed hat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urchase of agricultural specialties by on-the-scene direct dealing, their pleasure at the purchase, their satisfaction with services and their intention for re-purchase of them were very high whil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xhibition shops was very low. With on-the-scene survey, the consumers' opinions could be listened to in depth. Almost all of them sai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trip to those rural tourism communities was considerably high since they could go to those communities themselves to relieve the stress from their modern life, to experience healing and to see the goods on the scene. Their satisfaction also wa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y have enough trust in purchase along with feeling the warm-heartedness of rural residents. As to their awareness of exhibition shops, they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on-the-scene direct dealing at rural communities while they, thinking that the space in those exhibition shops was not sufficiently wide, demanded for more systematic counters in more accessible and affordable exhibition shops so that they might be more satisfied with the exhibition shops. Their demand for the necessity of exhibition shops selling agricultural specialties was found to be over 80%, which indicates that the necessity is very high. As to the suitability of function, they have the opinion that the business at those shops had better be focused on sales since they have th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when they take a trip to the rural communities, while there was another opinion: since agricultural products are seasonal items they should be exhibited and sold at the same time. More than 90% of the respondents had a positive viewpoint on direct dealing of agricultural specialties on the scene, which showed that their response to it was very high. They preferred the permanent shops equipped with roll-around table-booth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y want systematic exhibition shops in rural communities because they frequent those communities for on-the-scene direct purchase. The preferred type and opinion resulting from estimation of consumers' demands have been reflected for development of practical designs. The structure of variable principles has been designed so that the types of display-case and table-booth might be cre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positive data as a design model which can be utilized at rural communities and will be commercialized for the verification of its validity.
        93.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각 건설사별 모델하우스에서 제시하는 실내 디자인을 종합 분석하여 국내 중소형 아파트 실내 디자인의 현황 및 트렌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사례에서 나타난 실내 디자인 스타일은 미니멀 스타일(5 사례), 모던과 내추럴 스타일(각 4사례)이였다. 둘째, 바닥, 벽, 천장은 사용한 소재와 색상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의 사례에서 내추럴 오크(oak) 계통 목재 사용이 많았다. 벽은 화이트 민무늬 벽지를 기본으로 하되, 포인트가 될 수 있는 아트월을 사용하였다. 천장은 화이트 민무늬 벽지를 기본으로 하며, 모든 사례에서 단순한 사각형태의 우물천장이 나타났다. 욕실은 대부분 같은 색상과 재질의 타일을 바닥과 벽에 함께 사용해 일체감을 주되, 포인트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색상과 패턴의 데코타일을 사용하였다. 셋째, 조명은 모든 사례에서 기본적인 사각 형태의 실링 라이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거실에는 플로어 스탠드와 테이블 스탠드를, 침실은 테이블 스탠드와 침대 하단이나 헤드 상단 부분에 간접조명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였다. 넷째, 소품의 경우 B, E G 등의 사례처럼 공간의 전체 색상, 톤 등과 유사한 색상, 재질의 소품을 배치해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C, D, G 등의 사례와 같이 공간에 포인트가 될 수 있는 원색이나 상반된 재질, 형태의 소품을 배치함으로써 생동감을 주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9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인지하는 것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에 앞서 기업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디자인 요소의 실험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구 기업 중에서도 디자인 중심적 기업 경영을 하고 있는 D기업을 실증분석대상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ZMET 기법은 현재 기업의 마케팅 분석에 있어서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의 잠재의식을 알아보는 기법으로서 효율성이 입증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ZMET 기법을 응용하여 소비자의 잠재된 니즈 분석을 통한 디자인 상품화 과정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ZMET를 응용한 은유기법을 통해서 상품화나 기업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소비자의 형태 이미지나 색채 심리 등으로 도출되어 지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실험 방법인 은유 기업은 소비자의 잠재된 생각을 통해서 기업디자인 전략 수립에 많은 도움과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96.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세계 국제공항의 정보그래픽의 동향과 사인시스템에 대한 디자인의 현황과 특징을 명확히 분석하여, 디자인교육과 현장 디자이너에게 기초자료의 제공과 공유가 본 연구의 목적이다. 따라서 5년 동안 조사 자료의 검증을 통해 분석대상을 유출한 결과, 각 국가별 디자인 특징과 특색이 강한 19곳의 국제공항을 선정하였다, 특히, 유니버설디자인(UD)의 관점에서 유도안내 사인시스템의 분석대상을 타이프페이스, 컬러, 픽토그램, 심벌, 숫자/기호로 정보그래픽의 구성요소를 한정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각국 국제공항의 타이프페이스의 특징은 아시아권 공항에서는 고딕체와 산세리프체, 미국, 유럽권에서는 산세리프체를 적용하였다. 특히, 미국의 뉴아크국제공항과 네덜란드의 스키폴공항, 스위스의 제네바공항은 색상코드시스템을 개발하여, 공항 안에서 읽기 정보의 간판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하였다.
        9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increase of visitors to rural tourism villages, the direct selling at sites is getting vitalized. Accordingly, their display store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selected 30 domestic rural tourism villages as study objects for the attitude survey of 200 farming suppliers and the site examination for the designs of those display stores in order to analyze their status and classify the types of necessity. Such operation status as sale item, sale method, method of supply and demand, major customer, sales scale, manager, opening hour, and operation cost were examined, to identity and for design factors the pattern, material quality and color were investigated. For the attitude of farming suppliers, the tactics of sales, the reason for being positive or negative, the functionality and the features of display stores were examined through brainstorming. IBM SPSS Statistics 20 Program was employed for Frequency, which indicated that village chiefs and store managers with the sales scale of 1 to 20 million won are dealing with female customers in their 40's and 50's and that those stores are open at the time of experience or year round without any operation expense. Permanent type and Fixed type were found to be the design factors of the display-case type with the material and the color of wood and orange respectivel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nalysis of farming suppliers' attitude showed the followings: the need of display stores is quite high, structure type and permanent type have high fitness and from the viewpoint of display-on-table type as a standard moving type was very convenient. The analysis of significant items at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display stores revealed that their locations, quality conservation, sanitation, users' convenience, designs and promotion are very important. The result of status analysis revealed that though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the types of display stores depending on the visiting season of tourists their installing is not desirable. Three types have been analyzed: Type 1 is a structure type only in the villages with continuous visitors, Type 2 a moving-table type only in the villages with temporary visitors and Type 3 is a fixed display-case type.
        100.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브랜드 노출의 다양한 상황에서 브랜드 시각요소에 대한 연구는 것은 마케터나 디자이너에게 매우 실질적이고 실행에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브랜드 연구의 다양한 확산에 따라 브랜드의 시각요소에 대한 연구 브랜드 시각요소의 디자인 특성에 따른 디자인 반응연구인, Schechter의 연구, Henderson & Cote의 연구, Henderson & Cote, Leong & Schmitt의 연구, 한상만 & 최주리의 연구 내용의 분석을 하였다. 각 연구에서 도출 된 반응차원과 연구 의 성과에 대한 분석으로 디자인 제작 시 반영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