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8

        81.
        201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otential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Tenebrio molitor. Macrophage cell response by outside stimulation leads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6 (IL-6), interleukin-1β (IL-1β), and trigger expression of genes which are affected by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resulting in formation of inflammatory factors like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In order to investigate anti-inflammatory agents,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O in RAW 264.7 cells were examined. T. Molitor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of NO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lso reduced the expression of iNOS, a COX-2 protein. As a result, the levels of protein such as PGE2, iNOS, COX-2 and MARKs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non-treated group in T. Molitor water extract (TDW) treated group. Also, antioxidant effect of T. Molitor were investigated using DPPH, ABTS+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s in cell-free system. Antioxidant activity of T. molitor was found low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while high in the ABTS+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s. These results show that TDW could be an effective anti-pro-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gent.
        8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카바(Piper methysticum, P. methysticum)는 비뇨생식기 질환, 류머티즘, 위장 장애, 호흡기 자극 및 폐 통증에 대해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바에서 분리된 flavokavain C (FKC)가 염증성 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핵요소-κB (NF-κB) 의존성 산화 질소(NO) 생산 및 산화 질소 합성 효소(iNOS)의 발현에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처리된 대식세포에서 항 염증 활성을 나타 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FKC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반응성 산소 종(ROS)의 축적을 억제하고, LPS로 유도된 NO 생성 및 각종 염증 관련 유전자(iNOS, IL-1β, IL-6)의 발현을 NF-κB 및 MAPKs (ERK 및 JNK)의 억제를 통해 농도 의존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FKC가 NF-κB 경로와 MAPKs 포 함한 염증 프로세스를 억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항 염증 및 항산화 효능 기반 기능성 화장 품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8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ooth vitality is reflected by the health of dental pulp. Schisandrin C is a natural compound extracted from the fruit of Schisandra chinensis which ha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The role of Schisandrin C on human dental pulp cells (HDPCs) has not been studied yet. This study examined the properties of Schisandrin C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compound, and whether its characteristics promote mitochondrial biogenesis in HDPCs. Methods and Results : HDPCs were extracted from fresh third molars and cultured. Reactive oxidative stress (ROS) and nitric oxide (NO) formation were analyzed by a Muse cell analyzer. Western blotting and gelatin zymography were used to identify the presence of anti-oxidants, as well as inflammatory and mitochondrial biogenesis. Confocal microscopy was used for the detection of mitochondrial activity. Schisandrin C inhibited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inflammatory molecules;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matrix metalloproteinase-2 and -9 (MMP-2/9), NO production, ROS formation and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MAPK) pathway through minimizing the nuclear factor kappa B (NF-kB) translocation. Schisandrin C increased the expression of superoxide dismutase (SOD) enzymes as well as heme oxygenase-1 (HO-1)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 (PGC-1a) through the phosphorylated-protein kinase B (p-AKT) and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2 (Nrf-2) pathways.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chisandrin C promoted mitochondrial biogenesi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isandrin C may be used as an anti-inflammatory compound to reduce oral inflammation such as pulpitis.
        84.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eranium Koreanum(GK), a species of the family Geranium is a perennial herb plants. W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in Lipopoly -saccaride induced RAW 264.7 cell of ethanol extracts from Geranium koreanum. Methods and Results : The dried whole plants 50g of G. koreanum was refluxed three times in 0.5 L 70% ethanol for 2hr. The RAW 264.7 cells for anti-inflammatory assay were obtained from the American Tissue Culture Collection(Manassas, VA), and it cultured in DME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FBS) in 5%, CO2 incubator. An anti-inflammatory of G. koreanum measured by Ntrite oxide(NO) production and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pro-inflammatory proteins such as COX-2 and iNOS, reductions in activation of NF-kB transcription factor. The results showed that G. koreanum was inhibited NO production and exhibited nontoxic in concentration 50~200㎍/㎖. Also, G. koreanum extracts indicate a significant reduction activation of NF-kB transcription factor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proteins such as COX-2 and iNOS. Conclusion :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G. koreanum extracts expec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development possibility as nutraceuticals.
        85.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We studi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hododendron lapponicum (L.) Wahlenb. var. parvifolium (Adams) Herder extract (RLE). Methods and Results : The RLE was prepared using methanol. The antioxidant effects of RLE was evaluated for its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Subsequently, using the RAW 264.7 cells, the cell viability of RLE was evaluated with or without LPS (lipopolysaccharide), an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LE was also estimated by nitric oxide (NO) and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e extract showed antioxidant activity (DPPH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RC50 value of 57.67 ㎍/㎖. The reducing power of the extract was Abs 0.77 at 250 ㎍/ ㎖. The result indicated that RLE would have significantly high anti-oxidative effect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th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n 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The NO inhibition rate was 85.44% at 200 ㎍/㎖ RLE.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also decreased. In RLE 50 ㎍/㎖ concentration showed the highest decrease. Conclusion : This result suggest that RLE is a nove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foods and drugs that posses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Also, RLE can be developed as an inflammatory agents for cosmetic bases in the future.
        86.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We studi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piraea fritschiana Schneid extract (SFSE). Methods and Results : The SFSE was prepared using methanol and was evaluated for it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effect on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cell viability by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212.78 ㎍• gallic acid equivalent (GAE)/㎎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66.84 ㎍• quercetin equivalent (QE)/㎎. The extract showed antioxidant activity (DPPH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RC50 value of 76.61 ㎍/㎖. The reducing power of the extract was Abs 0.58 at 250 ㎍/㎖.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th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n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The NO inhibition rate was 90% at 200 ㎍/㎖ SFSE.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also decreased.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 that SFSE is a nove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foods and drugs that posses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87.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scribes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crosorium yendoi Yamada extracts. A. yendoi Yamada was extracted using 80% 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sequentially with n-hexane, ethyl acetate and butanol. To screen for anti-inflammatory agents effectively, we first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80% EtOH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A. yendoi Yamada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and cytokines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80% EtOH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A. yendoi Yamada on pro-inflammatory mediators (NO, iNOS, PGE2, and COX-2) in RAW 264.7 cells. In the sequential fractions of n-hexane and EtOAc inhibited the NO and PGE2 production and the protein level of iNOS and COX-2, and protein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and IL-6).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yendoi Yamada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flammatory factors and may be provided as possible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seaweed.
        88.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제품들에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 소재들의 효능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증거자료와 임상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천연물 소재의 과학적 연구는 국 민보건과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리순 추출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천연물 소재로서의 가능 성을 검토하였다.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대식세 포 RAW264.7에 LPS로 자극시켜 유도된 염증반응에서 보 리순 에탄올 추출물의 매개체 억제 효과를 수행하였고 oxazolone을 이용하여 hairless 마우스에 접촉성 피부염을 유도하여 보리순 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의 결과에서, LPS로 자극한 RAW264.7 세포에서 COX-II, iNOS와 같은 염증성 매개체뿐만 아니라 염증성 사이토카 인의 생성 및 발현이 보리순 에탄올 추출물에 의하여 현저 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보리순 에탄올 추출물의 억제효과는 IκB의 분해반응을 억제함으로써 NF-κB의 핵 으로 이동을 억제하여 신호전달체계를 불활성화시키는 것 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리순 에탄올 추출 물은 NF-κB의 상위 신호전달경로인 MAPKs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대식세포에서의 실험결과를 토 대로 hairless 마우스에 oxazolone으로 접촉성 피부염을 유 발시킨 모델에서 보리순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여 2주간 피부 병변을 관찰한 결과 염증반응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리순 추출물이 항염증 효능을 가진 천연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 연 구에 의하면, 보리 추출물에는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폴리 페놀류인 루테오린(luteolin), 사포나린(saponarin) 등이 풍 부하며,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페루릭산(ferulic acid), 루토 나린(lutonarin), 그리고 각종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하다 고 알려져 있다. 또한 superoxide와 hydroxyl 라디칼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2"-O-glycosylisovitexin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성분들에 의하여 보리순 추출물 의 항염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서 여러 매개체들의 과도한 발현이 그 질환의 원인임 을 생각해 볼 때 보리순 추출물은 항염증에 관련된 여러 제품들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보리순 추출물에서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화합물의 분리동정 및 생리활성평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89.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왕호장 열매 추출물(FSR)의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였다. 왕호장 열매 추출물은 RAW 264.7 macrophage 세포에서 염증 사이토카인(1L-1β, IL-6, TNF-α)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억제하고, 그 효과는 100 µg/mL 농도에서 51%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iNOS와 COX-2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모두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왕호장 열매 추출물은 항염증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9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항염증 및 미백 소재를 찾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6가지 한약재 추출물(유자, 상백피, 오미자, 율무, 당귀, 고삼)을 Streptococcus thermophilus에 의해 발효한 발효분말의 미백 및 항염증 효과를 피부섬유아세포에 대한 피부독성, 산화질소 생성, tyrosinase 활성, 멜라닌 형성의 저해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발효물은 37 ℃에서 2일 동안 Streptococcus thermophilus에 의해 발효한 후, 동결건조에 의해 발효분말을 제조하였다. 발효분말은 피부섬유아세포에 대해 500 μg/mL의 농도에서 cytopathic effect reduction 방법을 사용하면서 측정하였을 때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발효분말은 Griess reagent system을 사용하면서 산화질소 생성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발효분말은 tyrosinase 활성에 대한 저해 효과가 농도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발효분말은 배양액으로부터 멜라닌 생성에 대해 유의적인 저해를 나타내었다(p < 0.05). 그러므로 이러한 자료로부터 발효분말은 항염증 및 미백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품을 위한 효과적인 성분으로써 사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92.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까마귀쪽나무 잎과 열매 추출물의 항염증 활 성을 비교하고자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COX-2/PGE2와 iNOS/NO 및 염증성 cytokine 인 TNF-α, IL-1β, IL-6의 생성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 과, 동일한 농도 조건(10 ㎍/㎖)에서 까마귀쪽나무의 열매 추출 물이 잎 추출물에 비해 NO, PGE2, iNOS, 염증성 cytokine인 TNF-α, IL-1β, IL-6의 생성량 모두에서 억제 효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까마귀쪽나무가 보여주는 항염증 효과적 측 면과 안전성의 두가지 측면을 고려할 때, 까마귀쪽나무의 열매 추출물이 저농도에서 잎 추출물보다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거나 동등하며, 그 안전성이 크다고 판단됨으로 까마귀쪽나무의 열 매추출물이 항염증 효능을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개발 가 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93.
        2014.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적하수오 추출물의 추출용매별 항염증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 한 결과 열수 추출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 모두 100μg/mL에서 60%이상의 NO 생성 억제 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사이토 카인들에 대하여 적하수오 추출물은 TNF-α, IL-1β, IL-6, PGE2 생성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적하수오 추출물이 염증성 사이토 카인의 발현을 억제 하여 염증 발생을 억제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PMW는 100μg/mL의 농도에서 iNOS 단백질 발현량이 89%, COX-2는 54%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PME는 100μg/mL의 농도에서 iNOS 91%, COX-2는 57%의 단백질 발현 저해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결과로 보아 적하수오는 대식세포에서 NO, TNF-α, IL-1β, IL-6, PGE2 iNOS, COX-2 발현을 억제 하며, 특히 적하수오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저 농도에서부터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염증 소재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97.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소염, 항염 작용이 뛰어난 작물로 알려진 황금을 유산균인 Lactobacillus rhamnosus를이용해 발효를 통한 황금의 추출물에 대한 추출공정별 항염증 효과 증진을 측정하였다. 추출 공정으로는 일반열수추출(WE), 일반 70% 에탄올 추출(EE), L. rhamnosus 발효 열수 추출(FWE), L. rhamnosus 발효 70%에탄올 추출(FEE)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각각의 추출 공정별 수율 측정결과 발효 70% 에탄올 추출이 25.9%로최대 수율을 얻었으며, 발효 열수 추출, 일반 70% 에탄올 추출, 일반 열수 추출 순으로 높은 수율을 얻었다.추출 공정별 세포독성 측정에서 발효 황금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1.0 mg/mL일때 9.8%로 가장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일반 에탄올 추출의 경우 22.6%로 가장 높은 세포 독성을 가졌다. Hyaluronidase 저해 효과는 발효 황금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1.0 mg/mL에서 최대 46.8%의 hyaluronidase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NO 생성량 및 PGE2 생성량 측정도 1.0 mg/mL 농도의 발효 황금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36%의 최대 NO 생성량 감소 및 810 pg/mL의 낮은 PGE2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황금의 항염증 관련 효과를 위한 최적 추출 공정으로는 발효를 통한 황금의 70% 에탄올 추출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에 따라 항염증 관련 생리활성 물질이보다 더 많이 용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