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9

        81.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디벤바키아, 벤자민고무나무, 그리고 아레카야자를 이용하여 화분의 지피물질에 따른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율을 측정하였다. 화분 지피물질로는 가는 자갈, 모래, 수태, 셀라지넬라를 이용하였다. 셀라지넬라 지피가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율이 가장 높았고, 모래 지피가 가장 낮았다. 가스 처리 2시간 후 셀라지넬라 지피의 포름알데히드 제거율은 모래에 비해 25% 높게 나타났다. 지피 방법과는 상관없이 식물 종류별로 포름알데히드 제거율을 비교하면 디벤바키아가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이 벤자민고무나무, 아레카야자 순이었다. 지피 방법별 초기 가스 농도의 절반에 도달하는 T50%은 자갈, 모래, 수태 그리고 셀라지넬라가 각각 88, 118, 81, 53(분)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피물질에 따라 오염된 공기가 근권부에 도달하는 양이 다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지피물질별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율은 셀라지넬라가 가장 우수하였다.
        82.
        2010.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 실내식물 92종에 대해 5그룹으로 분류하여 새집증후군의 대표적인 원인 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시간당 제거 효율을 조사하여 값을 표시하고 순위에 따라 배열하였다. - 양치류의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율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 다음이 허브류이었다. 또한 목본성과 초본성 관엽식물, 자생식물 및 난의 포름알데히드 제거효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실내식물 92종 중에 고비, 부처손, 넉줄고사리의 포름알데히드 제거효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 자생식물에서는 남천, 황칠나무, 백량금, 월계수, 마삭줄의 제거 효율이 우수였다. - 목본성 관엽식물 중에는 구아바, 관음죽, 메시코소철, 디지고데카, 인도고무나무 등이 우수하고, 초본성 관엽식물 중에는 접란, 디펜바키아, 틸란드시아, 안스리움, 싱고니움 등의 제거효율이 우수하였다. - 허브식물 중에서는 라벤더, 제라니움, 로즈마리 그리고 난류에서는 나도풍란, 덴파레, 호접란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였다.
        83.
        2010.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관목류 중에서 공기정화 능력이 우수한 식물을 선발하고자 톨루엔 제거 효과 측정 - 관목류 중에서는 소나무, 만병초 그리고 자금우의 톨루엔 제거 효율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호랑가시나무, 광나무, 녹나무 순이었으며, 돈나무와 산호수가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 소나무는 실내에서 기를 경우 햇빛이 부족해 기르기가 어렵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에서 일반 소비자가 톨루엔 제거를 위해 식물을 기를 경우에는 자금우, 만병초가 가장 우수하다. - 돈나무는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율이 매우 높은 반면, 톨루엔 제거 효율은 가장 낮았다. ○ 이끼류에 대한 톨루엔 제거 효과를 측정 - 이끼류는 새집증후군 원인물질인 톨루엔 제거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끼류의 종류별로는 톨루엔 제거 효율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 식물 상호간에 제거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단위엽면적당 톨루엔 제거 효율로 계산하는데 이끼류는 엽면적을 측정할 수 없어 이끼가 놓인 표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실질적으로 엽면적은 표면적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 - 엽면적으로 계산한 관목류와 표면적으로 계산한 이끼류를 서로 비교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끼류가 톨루엔 제거에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84.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립선별기에서 미숙립 선별능력을 높임으로써 도정효율 증진과 완전미율 향상을 꾀하고자 품종특성을 고려한 립선별기 선별체 최적 조건 구명 시험이 수행되었고, 다음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1. 립선별기의 선별능력은 현미립 두께에 절대적으로 의존되었는데, 조사된 시험재료의 현미 평균 두께는 1.79(농안)-2.16 mm(대립벼1호)의 분포를 보였다. 2. 품종별 차이는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현미의 평균 립두께가 2.08 mm이상일 경우 1.9 mm 선별체, 2.00-2.08 mm 범위일 경우 1.8 mm 선별체, 1.90-2.00 mm 범위일 경우 1.7mm 선별체, 그 이하일 경우 1.7 mm 이하의 선별체가 정립 손실을 최소화하면서(0.1%이내) 완전미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3. 백미 품위에 미치는 선별체 분리효과는 미숙립 비율이 높은 품종일수록 크게 발휘되었다. 4. 현미선별 체 눈 크기를 0.1 mm씩 증가시킬 경우 품종별로 현미선벌체 통과물중에 정상립이 포함되어 발생되는 정상립 손실율이 0.5% 수준까지는 현미선별체 눈금크기 증가에 따라 미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이 눈금 수준이상에서는 선별체 눈금 0.1 mm 증가에 따라 정상립의 손실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정상립 손실율 0.5% 수준의 눈금이나 그 보다 0.05~0.10 mm 아래 눈금의 선별체가 적당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85.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M10, NO2, and 1-hydroxypyrene(1-OHP) in urine at indoor environments which are 35 houses and 20 hospitals for using air cleaner and non-using air cleaner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Kyoung-gi province from April, 2003 to February, 2004. Moreover, we examined effect of improvement for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effect by concentration of 1-OHP also we investigated removal efficiency by air cleaner for PM10, NO2, and 1-OHP that were 28.5%, 27.4%, and 42.1%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 PM10, NO2, and 1-OHP were 19.02±18.14㎍/m3, 8.66±3.06ppb, and 0.19±0.18㎍/g creatinine when air cleaner was no worked. The concentration for PM10, NO2, and 1-OHP were 13.60±10.79㎍/m3, 6.29±2.71ppb, and 0.11±0.10㎍/g creatinine, respectively. I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refore, it is considered using the air cleaner to remove the partial pollutants in indoor environment and is positive effect for health.
        86.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test whether, under controlled laboratory conditions, hybrid SNCR/SCR process improves NOx removal efficiency in comparison with the SNCR only. The hybrid process is a combination of a redesigned existing SNCR with a new downstream SCR. NOx reduction experiments using a hybrid SNCR/SCR process have been conducted in simple NO/NH3/O2 gas mixtures. Total gas flow rate was kept constant 4 liter/min throughout the SNCR and SCR reactors, where initial NOx concentration was 500 ppm in the presence of 5% or 15% O2. Commercial catalysts, V2O5-WO3-SO4/TiO2, were used for SCR NOx reduction. The residence time and space velocity were around 1.67 seconds and 2,400 h-1 or 6000 h-1 in SNCR and SCR reactors, respectively. NOx reduction of the hybrid system was always higher than could be achieved by SNCR alone at a given value of NH3SLIP. Optimization of the hybrid system performance requires maximizing NOx removal in the SNCR process. An analysis based on the hybrid system performance in this lab-scale work indicates that a equipment with NOxi=500 ppm will achieve a total NOx removal of about 90 percent with NH3SLIP ≤ 5 ppm only if the SNCR NOx reduction is at least 60 percent. A hybrid SNCR/SCR process has shown about 26~37% more NOx reduction than a SNCR unit process in which a lower temperature of 850℃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87.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emoval efficiency for aromatic hydrocarbons using a high-temperature fiber filter on a laboratory scale. The main elemental compositions of a high-temperature fiber filter are aluminium and silica, which can act as the catalysts. Benzene, toluene and o-xylene among aromatic hydrocarbon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For 3㎝ thickness of fiber filter, these compounds were removed more than 90% at the face velocities of 3㎝/sec and 5㎝/sec above 450℃. For 4㎝ thickness of it,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hese compounds were almost 90% from 400℃ at the same face velocities, suggesting that it may be due to increasing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fiber filter and aromatic hydrocarbons. The pressure drop ranged from 22 to 48㎜H2O for 3㎝ thickness of fiber filter. However, for 4㎝ thickness of it, it was about two times(41-89㎜H2O) higher than that for 3㎝ fiber thickness.
        88.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의 정화방법으로써 토양증기 추출법을 이용할 경우, 이의 효율적 운용을 위하여 추출공 주변에 차단벽을 설치할 경우, 추출펌프유량의 크기 및 펌프가동의 형태 등이 제거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추출공 주위에 차단벽을 설치할 경우 및 추출펌프의 운용을 단속적으로 실시하였을 경우, 추출공 주변에 고농도의 가스분포를 밀집시킴으로 인해 고농도의 가스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제거율이
        89.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borato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 the mixing effects on organic removal efficiency to treat low-strength synthetic wastewater using modified anaerobic filter reactor combining anaerobic filter and 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Using the modified process the low-strength wastewater like municipal sewage could be treated with 85% T-COD removal efficiency at hydraulic retention time of 6 hours. At the constant organic loading of 0.5㎏ COD/㎥-day, the organic removal efficiency and effluent COD concentration are increased as influent COD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125 ㎎/ℓto 500 ㎎/ℓ. Mixing effects on organic removal efficiency are evident and optimum mixing speed is found as 50RPM. Placing the granular studge and media on which slime layer was pre-formed into the reactor seemed to be very effective in achieving short start-up period. Therefore the steady state was achived after 4 weeks and 1 week based on T-COD and S-COD, respectively.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