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81.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urchase of women for commercial kimchi. Survey was carried out by questionnaire method that is target on 322 female over 20 age in Seoul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that the way they get kimchi of women answered that they make it by themselves(63.3%). The reason of purchasing is they do not have enough time to make it at their home(43.8%) and its good taste(56.8%) result in their purchase. In the degree of preference about package material, prefer polyethylene(39.6%). Also respondents prefer purchasing poggi kimchi(63.4%) among other different types of kimchi. The promotion facts of purchasing commercial kimchi shows a high score in cold chain system package and specific kimchi development.
        4,000원
        82.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valuation variables of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 especially focused on cold noodle restaurants(CNR). The data were analyzed about customer’s expectation of food service quality, service quality was improved by employee’s service in restaurant and employee education in the focus on CNR. The survey was carried out 423 customers and 50 employee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All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PSS version 10.0). The consumer’s evaluation score of service qua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consumer’s characteristics. The well planned service at CNR must be developed according to consumer variables such as sex and age group. The evaluation score of service qua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asonal variation and consumer’s menu selection. The evaluation score of service qualities in CN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ustomer variables with employees variables. All of the evaluation points of service quality in employe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ustomers. This result was show that well-trained employees were important factors in consumer satisfaction. Through the employee education program, consumer oriented service mind mort be to developed in employees and employees’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service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customer using CNR.
        4,000원
        8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and perception on the effect of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 (CR-MG). Reason for like and dislike, intake frequency and variables 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CR-MG were also investigated.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315 adults who were residing at Seoul·Kyeonggi and Kangwon area and analyzed by the SPSS 11.0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84.8% of the respondents consumed CR-MG,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nd occupation (p〈0.05). It also revealed that they consumed it knowing their effect,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y all general characteristics except for resident area and BMI, respectively. Kind of multi-grain (MG) mixed with cooked rice was high in the order of SoRiTae (80.1%) 〉 brown rice (73.4%) 〉 black rice (72.7%) 〉 waxy rice (61.0%), respectively. As for the mixing type of MG, 61.4%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non-mixed product rather than pre-mixed product. 2 or 3 kinds were preferred numbers of MG mixed with ric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p〈0.001) and marital status(p〈0.05), respectively. 59.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high nutritive value more than polished rice' as the major reason for like, whereas 31.3% answered 'greatly rough more than polished rice' as that for dislike, respectively. By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revealed that health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which affect the satisfaction of CR-MG.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n view of the high consump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the intake of CR-MG, following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 preference of CR-MG.
        4,000원
        84.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gone dens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rea. Data for food habits, exercise and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obtained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BQI(bone quality index)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by an Quantitative Ultrasound(QU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hight, weight BMI and osteopenia percentage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 were 173.3cm, 68.6kg, 22.7 and 24.2%; 161.4cm, 54.4kg, 20.9 and 55.5%, respectively. The BQI and Z-score of the subjects were 99.6, -0.3 in male student group, and 82.7, -1.1 in female student group, respectively. Height, weight, fat weight, fat mass and BMI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BQI in female group. BQI was positively affected by breakfast and frequence exercise in male student group. In female student group, frequency exercis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BQI.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desirable foo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bone density. They should have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nutritional education on optimum body weight, good eating habits, weight bearing exercise for higher bone density level.
        4,000원
        85.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od habits and food attitudes, and to assess student's nutrient consumpti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review of literatu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sections (food habits, food attitudes, and food consumptio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050 students enrolled in 34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yeongnam provinces. A final response rate was 88.2% (3,570) excluding responses that had significant missing data. Data of the food habits and food attitude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2-test, and t-test using SPSS WIN(ver.11.0). The student's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data was converted into nutrient consumption using conversion factor. Man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kipped breakfast and/or dinner. Approximately 29% of the students did not eat vegetables and fruits. Scor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19.1) towards foo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18.7)(p〈.001). Student's nutrient intakes we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self-reported food consumption data. The nutrient intakes were compared with DRIs(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for their age groups. The result of EAR(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cut-point method demonstrated 57.7% of middle school boys, 64.4% of middle school girls, 70.2% of high school boys, and 71.0% of high school girls did not meet EAR for Calcium. Additionally, it showed that 39.0% of middle school boys, 23.7% of middle school girls, 58.4% of high school boys, and 24.4% of high school girls did not consume EAR for Vitamin B1. 25.7% of middle school boys did not meet EAR for Vitamin B2, while 44.4% high school boys did not satisfy EAR for Vitamin B2.
        4,000원
        86.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채식, 비채식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골밀도를 측정하고 신체계측, 식습관, 운동 등의 요인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채식남학생은 33명(44.0%), 여학생은 34명(25.2%), 비채식군남학생 42명(56.0%), 여학생 101명(74.8%)이었으며 평균신장과 체중은 채식남학생 172.61cm, 62.42kg, 비채식남학생은175.38cm, 72.52kg, 채식여학생은 160.47cm, 55.76kg, 비채식여학생은 161.77cm, 56.34kg이었다. 2. 평균 BQI은 남학생군에서 채식군과 비채식군 각각 101.73, 107.43이었고, 여학생군에서는 각각 84.15, 89.64이었다. Z-score는 채식남학생 -0.16, 비채식남학생 0.15, 채식여학생은 -1.07, 비채식여학생은 -0.73이었고, T-score는 채식남학생 -0.28, 비채식남학생 0.03, 채식여학생 -1.07, 비채식여학생은 -0.77이었다. 3. 조사대상자의 골밀도 상태를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3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골밀도가 정상인 경우는 채식남학생 75.8%, 비채식남학생 83.3%, 채식여학생은 44.1%, 비채식여학생은 60.4%이었다. 골감소증은 채식남학생 24.2%, 비채식남학생 16.7%이었고, 여학생의 경우 각각 55.9, 37.6%로 채식군의 골감소증 비율이 높았다. 조사대상자에서 골다공증은 비채식여학생군에서 2명(2.0%)이었다. 4.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 영양보충제를 섭취하지 않는 비율은 채식남학생 66.7%, 비채식남학생 54.8%, 채식여학생 58.8%, 비채식여학생 44.6%이었고,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75.8%, 비채식남학생 50.0%이었고, 채식여학생은 44.1%, 비채식여학생 34.7%으로 채식군의 비율이 높았다. 육식과 채식을 혼합하여 섭취하는 비율은 비채식남학생 83.3%, 비채식여학생 87.1%이었으며, 아침을 매일 먹는 채식남학생은 78.8%, 비채식남학생은 33.3%, 채식여학생 47.1%, 비채식여학생 39.6%이었다. 또한 식사의 양은 과식한다는 응답이 채식남학생 24.2%, 비채식남학생 38.1%, 채식여학생은 29.4%, 비채식여학생 40.6%으로 비책식군의 과식율이 높았다. 5. 식품 섭취빈도는 두부 및 콩제품을 매일 섭취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54.6%, 비채식남학생 16.7%, 채식여학생은 38.2%, 비채식여학생이 16.8%이었다. 우유 및 유제품을 매일 섭취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6.1%, 비채식남학생 33.3%, 채식여학생 14.7%, 비채식여학생은 21.8%이었으며, 녹차, 커피 등 차를 마시지 않는다는 비율은 채식남학생 69.7%, 비채식남학생 28.6%, 채식여학생 29.4%, 비채식여학생 25.7%이었다. 인스턴트 식품을 매일 섭취한다는 응답율이 채식남학생 9.1%, 비채식남학생 21.4%, 채식여학생은 17.7%, 비채식여학생은 14.9%이었다. 6. 운동, 체중 조절 등에 대한 조사 결과 항상 운동을 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30.3%, 비채식남학생 28.6%, 채식여학생 14.7%, 비채식여학생 18.8%이었으며 운동시간은 1~2시간 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30.3%, 비채식남학생 38.1%, 채식여학생은 8.8%, 비채식여학생은 17.8%이었다. 체중에 만족하는 정도를 보면 채식남학생 57.6%, 비채식남학생 23.8%, 채식여학생은 23.5%, 비채식여학생은 15.8%가 만족한다고 하였다. 체중 조절 경험에서 경험이 있는 경우가 채식남학생 3.0%, 비채식남학생 31.0%, 채식여학생은 23.5%, 비채식여학생 31.7%이었다. 7. 골밀도 BQI값과와 몇가지 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때, 채식남학생은 영양보충제의 섭취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해조류의 섭취정도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비채식대학생의 경우 골밀도와 여러 요인과는 유의적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채식여학생은 식사규칙성에서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를, 식사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채식여학생군에서도 비채식남학생군과 같이 전반적으로 유의적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500원
        87.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consumer-centric food labeling system by investigating usage state, importance evaluation, problems and satisfaction, etc. on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by consumer. For usage state of checking the food label, 50.2% of respondents were replied ‘mostly check the label’, and they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education level(p<.05)’, and in case of married respondents, most were relied 'absolutely check the label', For the reason to check the food label, 61.8% of respondents were repli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stable or not', and they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age(p<.01), marital status(p<.01), and job(p<.01). For the item considered as important things on the label of the whole food, 49.8% of respondents were replied that 'expiration and manufacture date is important', and they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on age, marital status, job. For item considered as important things on the label of each food, it was indicated that they considered food company as important thing in case of snack, soft drink, edible oils, and noodles, and food company in case of ice cream, and expiration and manufacture date in case of milk product and meat product. For the problems on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the clauses 'Poor marking on food additives and materials contents' and 'untrue marking of nutrition contents'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age(p<0.05, p<0.001), and the clause 'untrue marking of nutrition contents' were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marital status(p<.01) and job(p<.01).
        4,000원
        88.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irstly a way of promoting health through increasing kimchi ingestion by means of analyzing the points to be improved on the state of taking kimchi, the traditional Korean food, the degree of kimchi likings and the problems of the kimchi on the market, and secondly the other way of having our favorite age-old kimchi quality improved as well as making kimchi inherited by means of collecting useful related materials via questionnaire survey intended for 316 housewives of 20~50 years old who lived in Seoul. In the degree of preferences, 92% of them liked kimchi, being considered that higher the age, higher the nostalgia with perception of traditional food. On the problems to be improved of the kimchi on the market, the most answers, 48.73%, said that the hygiene was worrying, indicating that the most overriding problem to be improved in the kimchi on the market was all-out sanitary management. On the thinking of kimchi, the feeling of that the kimchi was the most Korean-like was predominant.
        4,200원
        89.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의 두 평야 지역 4km{\times}4km에 대한 부지 고유의 지진 응답 특성 평가를 위하여 대상 지역내 총 350개의 시추 자료를 활용하였다. 국내 내륙 지역의 공내 탄성파 시험의 자료와 시주 자료를 이용하여 N-V_s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선정된 350 시추 위치에서의 깊이별 전단파 속도(Vs) 분포를 결정하여 등가선형 기법의 부지 응답 해석을 수행하였다. 현행 지반 분류 기준인 심도 30m까지의 평균 Vs (Vs30)는 대상 지역 내에서 250{\~}550 m/s의 분포를 보였고, 그에 따라 대부분의 부지가 지반 분류 C와 D로 분류되었다. 서울 평야 지역의 부지 고유 주기는 국내 지반 증폭 계수의 근간인 미국 서부 지역에 비해 매우 작은 0.1{\~}0.4초의 분포를 보였다. 비록 몇몇 부지에서 토사 층 내에 연약한 지층이 존재함에 따라 기저 고립 효과가 발생하여 현행 단주기 증폭 계수가 지반 운동을 과대평가하기도 하지만, 미국 서부 지역과의 지반 조건 차이로 인해 전반적으로 서울 평야 지역에서는 현행 국내 내진 설계 기준의 단주기(0.1{\~}0.5초) 증폭 계수(Fa)는 지반 운동을 과소평가하고 중장주기(0.4{\~}2.0초) 증폭 계수(Fv)는 지반 운동을 과대평가하고 있다
        4,600원
        90.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복사전달모델을 통하여 9.7μm오존 흡수대에 미치는 오존 및 열적(i.e., 지표 온도) 효과를 각각 조사하였다. 또한 오존주의보가 수도권 지역(37.2-37.7 N, 125.7-127.2 E)에 발령되었던 2003년 4일에 대한 위성(MODIS Aqua; ECT 13:30) 및 지상 오존(79개 관측소)의 동시 관측 자료를 기초로 지상 오존에 대한 원격탐사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구름 효과를 제거하고 오존 연직 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종관기상 자료도 사용하였다. 주어진 오존 농도(327~391 DU)에 대하여 산출된 9.6μm에서의 상향 복사휘도는 표면온도 Ts = 290 K에서 5.52~5.78Wm-2sr-1, 그리고 Ts = 325 K에서는 9.00~9,57Wm-2sr-1이었다. 따라서 오존 흡수 세기(i.e., 11μm와 9.7μm 밝기온도 간의 차; T11-9.7)를 이용한 오존 원격탐사 시에 세기 변화에 대한 순수한 오존 효과는0.26Wm-2sr-1/64 DU, 그리고 열적 효과는 0.31Wm-2sr-1/35 K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흡수 세기와 지상 관측 간에 유의적인 상관을 보이는 경우에 대하여 적외선 위성 관측에서 지상 오존을 원격탐사하는 경험식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지상 오존 농도와 관측값과의 상관은 49~63%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미하였다. 경험식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지상 오존 대신에 대류권 오존 자료를 사용하고, 성층권 오존 변화도 고려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4,600원
        91.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festival/holiday foods among the housewives in their 20's, 30's, 40's, and 50's residing in Seoul. Out of 350 questionnaires, 282 respondents were resul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ellows: The most familial traditional holiday was Seollal on the New Year's Day(100%), and the most favored foods for respective traditional holidays are as fellows: tteokguk, rice paste soup, (98.23%) for Seollal on the New Year's Day; ogokbap, cooked rice mixed with five cereals (98.23%) for Daeboreum on the New Moon's Day of January 15; neuttitteok, zelkova ricecake, (20.64%) for Chopail on Buddha's Birthday; charyunbyeong cake (20.21%) for Dano on May 5; gyesamttang, chicken broth with ginseng, (89.72%) for Sambok, the hottest period of summer; songpyeon, pine cake, (96.45%) for Chuseok on August Moon Festival; patjuk, redbean stew, (98.94%) for Dongji on the winter solstice; and mandu, bun, (16.37%) for Seotdalgeumeum on the year-end day.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ate traditional festival foods in compliance with the traditional manners and customs and that they made such traditional foods at home. They added that they wanted to team more about various recipes of the traditional foods and pointed out that traditional holiday foods had to be modernized in some way.
        5,500원
        9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 강북지역 중 중구, 용산구, 성동구, 서대문구, 마포구의 5개구. 총면적 90.15 km2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도시지역에서 번성하는 귀화종인 서양등골나물(Ageratina altissima)군락 분포현황 및 특성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내 서양등골나물군락의 총 분포면적은 1,860,805m2이었으며 남산을 포함하고 있는 용산구(23.7%)와 중구(13.7%)에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현존식생유형별 분포현황을 살펴보면 서양등골나물군락은 아까시나무림 하부에 주로 분포하였으나 남산만은 소나무림에서 분포면적이 넓은 것이 특징이었다. 단위면적 당 분포비율은 전체지역에서는 잣나무림이 가장 높았으나 남산을 제외하면 아까시나무림과 조경수식재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수관피복율에 따른 분포경향은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수관피복률이 높아질수록 분포비율이 높았고 특히 수관피복률 50% 이상인 지역에서 분포 비율이 높았다. 경사향과의 관계에서는 전반적으로 서향에서 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서양등골나물군락은 수관형성이 양호한 서사면 아까시나무림의 하부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단층구조 소나무림으로의 식생관리지역에서는 서양등골나물군락이 확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후 서양등골나물군락의 생육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아까시나무림을 자생의 다층구조 낙엽활엽수군락으로 개선하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93.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lf completed survey of 250 housewivies living in the Seou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preferences of 20's, 50s housewives to Korean traditional cookies. The result is as follows. As to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86.0% answered they liked it. The frequency rate or eating Korean traditional cookies showed that 2 times a year reached the highest 45.6%. They usually purchase Korean cookies on the market rather than making them by themselves. The study showed that 50s housewives preferred Korean cookies are yakwa(74.3%), maejackwa(35.7%) and kangjung(34.3%) otherwise 20s housewives preferred Korean traditional cookies are yakwa(79.4%), hanging(60.0%) and yeat gangiung(39.4%) This survey study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4,300원
        94.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파트단지 내부녹지가 온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서울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등 한강 이남지역에 위치한 아파트단지중 36개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파트단지 내부온도는 Landsat ETM+영상 2scene을 분석하여 추정하였으며 온도변화 영 향요인으로는 토양피복유형과 건물밀도, 식생활력도로 구분하였다. 토양피복유형과 아파트단지내 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녹지율은 음(-)의 상관관계를, 불투수포장율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건폐율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투수포장지를 녹지면적과 불투수포장면적에 각각 합산한 값과 온도값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투수포장면적을 불투수포장면적에 합산하여 산출한 상관계수보다 녹지면적에 합산하는 것이 상관계수가 보다 높게 나타나 투수포장지역도 녹지지역과 함께 도시온도를 낮추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물밀도의 요소로 선정한 용적율은 온도값과 유의성이 없었으며 NDVl는 값이 높을수록 온도가 낮았다. 아파트단지내 온도분포모형 구축을 위해 투수+녹지율, 녹지율, 건폐율, NDVI값을 독립변수로, 대상지온도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두 시기 영상 모두 독립변수 중 투수+녹지율만이 회귀식에 채택되었으며 회귀식의 수정 결정 계수(R2)는 각각 41.4(2000년 9월)와 40.4(2001년 6월)이었다.
        4,000원
        9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 도시 비오톱(n=54)을 대상으로 서 식지 면적 에 따른 조류 종수를 파악하고자 2001년 가을과 2002년 봄에 실시하였다. 도시 비오톱을 대상으로 조사한 조류종수의 연구에서 비오톱 면적의 크기가 조류종수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되어진다. 전체 대상지에서 32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1㏊미만에서 는 13종, 1-10㏊에서 는 29종, 10㏊이상의 면적에서는 8종의 조류가 나타났다. 비오톱 면적 크기에 따른 조류종수의 증가에 관한 연구에서, 면적의 크기가1-10㏊인 대상지가 <1㏊ 이거나, > 10㏊인 대상지보다 더욱 많은 조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종-면적 축적 곡선에서 는 작은 면적의 서식지가 추가되어졌을때 종수의 증가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이에 도시 지역에서 조류 종수의 증가를 위해 필요한 최소면적은 1-10㏊가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수자원과 다양한 식생구조를 가진 비오톱에서 조류종의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의 조성은 작은 면적의 서식지도 조류종의 증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96.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at ; 1) to investigate the distinguished selection attributes on performance of Japanese chain restaura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 2) to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on performance for Japanese restaurant and customer's satisfaction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otal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12 were replied(89.14%). Selection attributes on performance for Japanese chain restaurant was divided into 7 factors. There are Factor1 'Store Image & Kindness', Factor2 'Sanitation & Taste', Factor3 'Approximation & Children's Menu', Factor4 'Delivery & Business Hours', Factor5 'Food Quantity & Korean Food', Factor6 'Service & Parking' Factor7 'Price & Publicity'. Monthly income, eating-out expense per once and type of compan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selection attributes for performance. Customer's total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lection attributes on performance. Factor7 'Price & Publicity' ha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s satisfaction. We expect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plan marketing strategies, and take improved customer's satisfaction for Japanese chain restaurants.
        4,200원
        9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태계보전지역인 둔촌동습지의 모니터링을 통한 생태적 복원 및 보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모니터링 기준으로는 항목, 방법, 시기, 횟수 등을 설정하였다. 모니터링 기준에 따라 조사한 결과 식물생태분야에서 대상지내 식물종은 총 39과 116종 19변종 1품종으로 총 132종류가 출현하였고 이중 자생종은 85종, 외래종은 47종이었다. 월별(4∼9월) 현존식생 모니터링 결과 습지성 초본식물군락 세력이 증가추세이었고 특히 고마리군락의 세력이 왕성해졌다. 아울러 기존 경작지를 중심으로 천이초기식물과 귀화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동물생태분야에서 야생조류는 34종 378개체, 양서류는 4종 5개체, 곤충류는 11목 52과 153종이 조사되었다. 무기환경분야에서는 지하수위. 수질.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이중 지하수위는 0.0∼89.0cm이었고 토양에서는 Ca++의 함량이 2.18∼13.73cmol/kg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대상지 생태적 복원구상을 습지생태계 복원구상. 용출지 복원구상. 산림생태계 복원구상으로 구분하여 기본방향과 각 공간별 세부계획을 제시하였다. 습지생태계 복원구상에서는 기존 습지지역의 보전과 경작지로 활용되던 습지지역의 복원구상을 수립하였으며, 용출지복원구상에서는 용출지 및 진입부의 복원을 수립하였고 산림생태계 복원구상에서는 건조성 산림 생태계와 습지성산림생태계의 복원 및 주연부지역의 야생조류 서식처 계획을 수립하였다.
        4,900원
        98.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시에서 설치하여 운영중인 대기질 측정소의 입자상물질을 대표하는 PM2.5, PM10, TSP와 황사기간 중 고용량고기포집기로 채취한 먼지성분을 분석, 평가하였다. 1990년도부터 2002년 11월까지 서울에서 관측된 황사일수는 2000년 이후 발생빈도가 증가하였으며 황사지속시간도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PM10/TSP 비율은 황사시 2000년, 2001년도에 각각 52.9%, 59.4%로 비황사시에 비해 PM10의 비율이 약 10% 정도 낮은 것으로 미루어 황사시 10 μm이상의 입경이 큰 입자 영향이 컸던 반면에 2002년 황사시에는 PM10의 영향이 오히려 크게 나타나 PM10이 TSP 중의 71.4%에 달하였다. 황사가 전체 먼지농도에 미치는 기여율은 2002년도에 PM2.5 11.9%, PM10 23.1%, TSP 19%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여 황사가 전체 면지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99.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농경지의 토지이용경향을 살펴보면 이들의 상당부분은 개발용지와 같은 도시적 용도 또는 고수익 형태의 시설경작지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농경지에서 시설경작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다른 경작지 유형에 비해 향후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시설경작지의 경관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을 넓은 공간과 시간의 관점에서 계획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의 시설경작지는 주로 서울의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면적은 19.83ha로 다른 농경지 유형에 비해 넓고 Shape Index 분석결과에 의하면 주변부가 상당히 단순한 패취이다. 또한 시설경작지 패취에 인접한 상위 3개의 토지이용을 분석하면 시설경작지 패취에 가장 많이 인접해 있는 유형은 교통시설지로 분석패취의 60%에 인접해 있었으며, 분석패취의 43%가 산림지에, 36%가 다른 유형의 농경지에, 그리고 33%가 주거지에 인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경작지 주변의 주된 토지이용이 교통시설지로 나타나는 것은 농작물 생산과 유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경관생태적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농경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시환경보전과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4,800원
        100.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혼례음식(폐백과 이바지 음식)의 인식상황과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혼례음식 발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폐백음식의 인식에 대해서는 '결혼 후 시댁에 인사를 드리는 것'이라는 응답이 55.2%, '옛날부터 내려오는 하나의 풍습'이 35.8%로 나타나 상당히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백음식에 대한 중요도 인식수준은 전체 응답자의 10.2%가 '매우 중요하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중요하다' 48.5%, '중요하지 않다'는 11.9%로 나타나 폐백음식의 중요성에 대하여 공감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주부의 연령별로 20대 집단에서 30대 이상의 집단에 비해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율이 높게 나타났다(p〈0.05). 둘째, 폐백음식 준비방법으로는 '가정에서 직접마련'한다와 '시장이나 떡집에서 마련'하겠다는 응답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으며, 연령별 교육수준별(p〈0.0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백음식 장만시 드는 비용으로는 '30-50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30만원'29%〉'50-100만원'18%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호하는 폐백음식으로는 '밤 대추고임'을 준비한다는 의견이 7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떡류'〉'육포'〉'술'〉'한과'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바지음식에 대한 의미로는 48.2%가 '신부측에서 마련한 음식을 시댁에 보내는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이바지 음식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반드시 준비해야한다'라는 의견이 15.5%, '형편에 맞추어 준비한다'는 78.7%, '준비할 필요가 없다'5.8%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이바지 음식의 필요성에대해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주부가 '필요하다'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고, 종교적으로도 불교를 믿는 주부보다 기독교를 믿는 주부들에게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다섯 번째, 혼례음식의 개선점으로 메뉴의 간소화〉 가격을 저렴하게 하는 문제〉 폐백음식 선택의 다양화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40대 주부집단에서 '메뉴의 간소화' 응답율이 높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우리나라의 모범이 되는 혼례음식의 계승을 위해서 꾸준한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과거와 다른 신식혼례를 치르면서도 폐백을 드리고 이바지 음식 보내는 풍습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혼례 풍습은 계속 이어질 것이기에 혼례음식이 가지고 있는 기복과 주술적인 의미를 되살리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누구나 손쉽게 장만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이 모색되어 전통을 살리면서 모범이 되는 혼례음식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나가야 하겠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