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

        81.
        200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owder characteristics on the thermal debinding behavior, PIM parts produced with powder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and particle shape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ir weight losses during thermal debind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ore channel in the compact increased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when coarse powders were used. However, the weight loss rates did not increase proportionally with the pore size. This suggests that the different powder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PIM parts do not affect the thermal debinding rate significantly. This is because the pore size is much larger than the mean free path of the decomposed gas molecules. Thus, the diffusion rates of the gases are not rate-controlling in thermal debinding. The controlling mechanism of the thermal debinding rate is the decomposition of the backbone binder in the PIM parts.
        82.
        200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a multi-action tooling system, which is usually used for the powder compaction process to fabricate the complex multilevel parts, crack formation is crucially detrimental and should be avoided. Among various process factors, tool shape is an important factor to prevent the crack formation during powder compaction process. In this work, the effects of different tool shap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experimental oberservation of pore distribution in real products an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residual stresse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based on non-uniform powder density in the compacted parts.
        83.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nO nanostructures with various shapes were synthesized under ambient pressure condition by a wet chemical reaction method. Nanorods of ZnO with hexagonal cross-section and their aggregates with radiate shape were synthesized. Precursor concentration affected considerably the shape evolution of ZnO nanorods. Low precursor concentration was proved to be more preferable to the growth of ZnO nanorods, which is attributed to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chemical reaction in the synthesis of ZnO from zinc compounds.
        4,000원
        84.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용 정치망에서 나타나는 급조시의 심한 망형상과, 그물의 파망 및 유실에 의한 조업부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의 근해어장용 양식 가두리시설에서 사용한 부가중량추의 이용방법을 도입하여 국내 정치망으로의 적용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운동장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 부가중량추의 무게가 1.3~5.2gf으로 증가할 때 장력은 기준형보다 약 10~25% 증가하였다. 부착위치에 따라서는 A-type과 B-type은 기준형과 비슷하였고, C-type과 D-type은 기준형보다 약 10~15% 증가하였다. 2. 부가중량추의 무게가 1.3~5.2gf으로 증가할 때 운동장 섶장의 기울기 변화량은 약 0~70˚, 비탈그물의 섶장은 약 0~64˚, 조하측인 제 2원통의 섶장은 약 0~46˚까지였고, 유속이 0.0~0.6m/s로 증가할 때 제1원통고 제2원통 까래의 깊이는 정조시 보다 약 50% 감소하였다. 3. 부가중량추의 부착위치에 따른 운동장 섶장의 깊이는 A-type은 기준형보다 약 25%, B-type은 약 10% 감소하였고, C-type은 기준형과 비슷하고, D-type은 약 15% 증가하였다. 비탈그물의 까래의 깊이는 A-type이 가장 깊었고, 다음으로 B-type, C-type, D-type 순이었다. 제2원통 까래의 깊이는 4종류의 실험망이 기준형 보다 약 10~15% 증가하였다. 유속이 0.0~0.6m/s로 증가할 때 비탈그물의 섶장의 기울기 변화량은 약 0~63˚, 제2원통 섶장의 기울기 변화량은 약 0~44˚이었다. 4. 부가중량추의 적정 무게는 약 2.6~3.6gf이었고, 적정 부착위치는 부가중량추와 연결부분인 그물자락사이 연결줄의 길이가 약 300mm인 C-type과 연결줄 없이 직접 부착한 D-type이었다.
        4,000원
        86.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제 정치망 어장에서의 조류에 따른 어구 형상 변형을 추정하고, 그 변형을 최소화시키며 어구의 기본 기능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수중 현상과 어구 내부용적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설계의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회류 수조에서 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흐름에 따른 대뜸의 멍줄에 작용하는 장력, 정치망 내의 유속변화와 그물형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1. 유속이 0.0m/s에서 0.6m/s로 증가 할 때에 유속 (v)에 따른 장력(R)의 실험식은 운동장 조상의 경우 R=19.58v1.98(r2=0.98) 원통 조상인 경우, R=26.90v1.72(r2=0.95)이었다. 2. 유속변화는 흐름이 망내부를 통과함에 따라 감소하여 운동장이 조상인 경우, 제1원통내부에서 0.1m/s일 때 약 70%, 0.2m/s일 때 60%, 0.3m/s일 때 약 50%, 0.4~0.6m/s에서는 약 40%정도로 초기유속에 비해 감소하였다. 원통이 조상측일 경우, 제2원통을 통과한 흐름은 초기 유속의 약 30~60%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제1원통에서는 약 20~30% 비탈그물에서는 약 10~20%정도 감소하였고, 운동장내에서 다시 유속이 증가하였다. 3. 운동장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 운동장그물의 기울기 변화량은 0~70˚까지, 비탈그물은 0~63˚까지 변화하였고, 조하측인 제2원통은 0~47˚까지 변화하였다. 유속이 증가함에 따른 까래그물의 깊이 변화는 초기 깊이에 보다 제1원통과 제2원통이 약 0~45%정도, 비탈그물이 약 0~37% 정도로 감소하였다. 4. 원통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 제2원통의 기울기 변화량은 약 0~70˚까지, 비탈그물은 약 0~55˚까지, 조하측인 운동장은 0~50˚까지 였다. 까래그물의 깊이 변화는 초기 깊이와 비교해서 제1원통은 약 0~35%, 제2원통은 약 0~20%, 비탈그물은 약 0~35%까지 감소하였으며, 유속이 0.5m/s이상에서 비탈그물이 원통 입구까지 부상하여, 원통 입구를 90%이상 막았다. 5. 어구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전개용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입구 및 운동장 부분에서는 힘출의 저조시 수심 위치에 중량추를 부착하고, 운동장 바깥쪽과 제1원통의 섶장과 까래그물 제2원통의 바깥쪽, 비탈그물의 까래에 부가 중량추를 부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87.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실제 정치망 어장에서의 조류변화에 따른 어구 변형을 추정하고, 그 변형을 최소화시키며 어구의 기본 기능을 유지시키는 데 필요한 수중형상과 어구 용적을 확보할 수 있는 설계의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해 회류 수조에서 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흐름에 따른 사개줄의 장력과 그물형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속이 0.0m/s에서 0.6m/s로 변화할 때에 유속(x)에 따른 장력(y)의 실험식은 y=1814.1x+115.12 이었다. 2. 수중형상에 있어서 운동장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에 운동장그물의 기울기는 0~79˚까지, 비탈 그물의 기울기는 0~56˚까지 변화하였고, 원통 까레 깊이 비는 제1원통 까래가 1.0~0.42까지, 제2원통 까래가 1.0~0.41까지 감소하였으며, 조하측인 원통그물의 기울기는 0~87˚까지 변화하였다. 3. 원통이 흐름의 조상측인 경우에 원통그물의 기울기는 0~60˚까지, 비탈그물의 기울기는 0~13˚까지 변화하였고, 원통 까래 깊이 비는 제1원통 까래가 1.0~0.27까지, 제2원통 까레가 1.0~0.15까지 감소하였으며, 유속이 0.3m/s일 때 비탈그물이 원통 입구까지 부상하고 0.5m/s일 때 원통 입구를 90% 이상 막았으며, 조하측인 운동장그물의 기울기는 0~58˚까지 변화하였다. 4. 각 부분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입구 및 운동장 부분에서는 힘줄의 저조시 수심 위치에 중량추를 부착하고, 운동장 바깥쪽에 이동식 부가 중량추를 부착하며, 원통에서는 제1원통의 섶장과 까래그물의 연결부에 중량추 및 이동식 부가 중량추를 부착하고, 비탈그물에 중량추를 부착하며, 제2원통에 이동식 부가 중량추를 부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8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자형의 중간격벽은 상자형의 단면변형을 구속하고 상부플랜지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양측의 웨브에 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자형의 내부공간이 중간격벽으로 차단될 경우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없으며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격게 된다. 상자형의 격벽이 개구부를 갖는 경우 개구부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어떠한 영향을 갖는지를 실험을 통하여 중간격벽의 강성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4,000원
        90.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교량 구조물의 손상위치 및 손상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제한된 모드형상을 사용한 손상지수 방법에 기초한 실용적이며 개선된 손상평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손상평가 알고리즘에서 손상전 후의 구조물로부터 획득한 모드 벡터의 민감도 비에 근거한 손상지수를 사용하여 손상위치의 파악 및 손상정도를 평가한다. 그러나 모드형상의 진폭이 거의 영의 값을 가지는 요소에 손상이 존재하면 모드벡터 민감도 비는 무한대의 값을 가지게 되며, 이는 손상평가를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의 모드형상과 비례하는 민감도 필터를 도입한 개선된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방법보다 손상위치와 손상정도 평가에 있어 상당한 정확도의 향상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단순보와 2경간 연속보에 대해 손상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기존의 방법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4,000원
        91.
        200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al ultraviolet color distribution and the shapes of the ultraviolet isophote for elliptical galaxies (M32, NGC 1399) and spiral bulges (of M31, M81) by using their archival UIT images. For M31, M81, and NGC 1399, the radial ultraviolet color distributions show a two-component trend; as the distance from the galactic center increase the color becomes redder in the inner region while it becomes bluer in the outer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color of M32 continues to become bluer with the increasing galactocentric distance. We also find, unlike the optical/IR images, significant variations of the position angle and the ellipticity in the ultraviolet isophotes of M31, M81, and NGC 1399 through the inner regions. For M32, the variation is significant in the outer region. Since these variation implies the triaxiality of their intrinsic shapes, we suggest that the early-type galaxies and spiral bulges with a radial color gradient in ultraviolet tend to have a triaxiality. On the other hand, the shape parameter characterized by the fourth order cosine Fourier coefficient of the isophote, a(4)/a, indicates that the systematic deviations of the ultraviolet isophotes of the four galaxies are smaller than ~0.2% in units of the semi-major axis. The latter result implies that the ultraviolet isophotes of the galaxies have a pure elliptical shape rather than the boxy or disky shapes. Therefore, there is no clear evidence of correlation between the radial ultra-violet color gradient and the boxy/disky shapes of isophotes.
        4,000원
        95.
        2000.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전연소합성(SHS)법을 이용하여 탄소섬유와 티타늄, 지르코늄, 니오븀, 규소, 붕소, 중석, 몰리브덴의 분말로부터 여러 가지 섬유상 탄화물의 합성을 시도하였다. 티타늄과 지르코늄은 예열없이, 그 이외의 경우는 전기로 또는 화학로를 사용하여 예열하여 반응을일으킨 결과, TiC, ZrC, NbC, SiC, B4C, WC, Mo2C 의 순수한 탄화물의 형성되었다. TiC, ZrC, NbC 및 B4C 탄화물의 형상은 속의 빈 섬유상이었고, SiC는 보다 작은 입자와 미세 휘스커로 이루어진 섬유상을 하고 있었고 WC와 Mo2C 는 비섬유상을 하고 있었다. 여러 가지 형상의 원인에 대하여 합리적 설명을 시도하였으며 정성적 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4,000원
        97.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orth-west sea area of Cheju Island is where originate two layer current in the summer season. The case of the fishing operations in this sea area is almost impossible for normal expansion of the net gear for shooting net, and is happened to be frequent occasions for rise of tension suddenly in purseline by changes of the net shapes in the operation. Therefore, the safety of the operations is often obstructed by the above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 model experiments on the purse seine in the circulating water tank was carried out in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changes of tension in the pruseline by deformation of purse seine in the sea area of two layer curren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In the case of the required time for pursing of 20 minutes in the no current set, the increasing curve for tension of purseline can be expressed as:Y=0.0004x3+0.0098x2+0.3000x(r=0.9989)where Y is tension(metric tons) of a purseline, x is required time(minutes) for pursing. And, the maximum value of tension in this time was an increase of 31.3 percent at 15 minutes, and was a decrease of 30.3 percent at 30 minutes than that of 20 minutes.When the bottom margin of net is held on the position in velocity of 0.5 knot at three-eighths of net in the bottom current to the net height, the maximum tension of the required time for pursing of 30 minutes in tight set and loose set were decrease of 29.5 percent and 28.7 percent respectively than that of 20 minutes.The work load during the required time for pursing of 20 minutes were calculated 5.79×106 kgf·m in no current set, 7.89×106 kgf·m in tight set and 5.15×106 kgf·m in loose set, therefore it was an increase of 22.3 percent in tight set, and was a decrease of 11.1 percent in loose set than that of the no current set. Where tight set and loose set is a range of the bottom current with velocity of 0.5 knot at three-eighths of net to the net height.
        4,000원
        99.
        1998.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응결합 알루미나(RBAO)-SiC 세라믹스를 AI금속분말/AI2O3/SiC 분말혼합체로부터 제조하였다. 하소알루미나와 용융알루미나를 알루미나 분말공급원으로 사용하였다. 출발원료는 단일구경(3mm)또는 혼합구경(3mm+5mm)의 ZrO2볼로 어트리션 밀링 하였다. 정수압 성형한 시편을 1100˚C까지 1.5˚C/mim로 1차소성한 다음, 1500˚C~1600˚C까지 5˚C/mim으로 2차소성하였다. 용융알루미나와의 분말혼합체가 하소알루미나와의 분말혼합체보다 분쇄가 더욱 잘 되었다. 또한 단일구가 혼합구보다 분쇄에 더욱 효율적이었다. AI2O3 형태에 따른 반응소결거동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