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6

        81.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the filed test procedure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rack structure for additional Speed-Up test on Test-Bed Section(KP 100∼128km Osong starting point). The behavior of track system corresponding the speed up of train will be identified by the analysis of the measured data.
        82.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y comparing the computed displacement with the stress and displacement determined by entering side numbers 3, 5, and 7 into the tunnel lining inverse analysis program, the optimal number of monitoring points is determined. Fr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can be inferred that the number of monitoring points needs to be at least 5 points,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monitoring in practice and the loss-and-damage rate of tunnel monitoring.
        83.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ilroad concrete track is continuously supporting structure for repeated impact loads. Fine cracks which occurred in the early stage of the train operation, gradually expanded depending on the tonnage increases, and the function of the slab track is reduced. And, occurrence of track irregularity, worsening of ride comfort and interfere with the safe operation of trains would be follows. Therefor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initial crack is very important, railroad maintenance overhaul organizations detected twice a year or more the cracks and paint it, displays the location and severity, the type of cracks, width and length by creating a developed view. Each year much maintenance works is required for checking the crack of concrete trackbed and sleepers.
        84.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거에는 생애주기에 기반 유지관리 계획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검측자료의 축적은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검측 자료를 이용한 구성품의 수명예측 및 보수보강 시나리오 선정 등 유지관리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사용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축적된 검측 데이터로부터 궤도 구성품의 건전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하고 잔존수명을 예측하여 효율적 유지관리를 실현할 수 있는 기법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검측된 레일 마모데이터를 이용한 불확실성 기반 궤도성능 예측모델 개봘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85.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deterioration of railway track was determined each element facilities which have consisted in Track, track, roadbed, bridge and tunnel and were evaluated deterioration of railway track it using AHP and DEA methods. In compared to track defect factor that currently used method in conventional track line, was similar with AHP and DEA methods. It is determined that AHP and DEA method for track deterioration can be evaluated quantitatively the condition assessment of the track line.
        8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대레일은 궤도와 교량의 상호작용에 의해 부가축력 및 변위가 발생되고 이는 장대레일의 좌굴 및 파단 등의 안정성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UIC Code 774-3R 및 철도설계지침 등의 국내외 설계기준에서는 레일의 부가축력에 대한 해석절차와 검토규정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하중분리해석은 하중 재하 단계에 따른 궤도 종방향 저항력의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며 또한 비선형 거동을 보이는 궤도에 중첩의 원리를 허용함에 따라 과다한 레일 응력이 산출되어 비경제적 설계를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슬래브 궤도에 탄성 방진장치가 설치된 플로팅 슬래브 궤도 에 대하여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의 Model Change기법을 이용한 하중 단계별 종방향 저항력 변화 및 궤도의 비선형성을 고려하는 완전한 해석방법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해석법에 따른 플로팅 슬래브 궤도의 거동 변화를 비교하고 UIC Code 774-3R에서 제시한 레일의 최대 부가 허용응력과의 비교를 통한 플로팅 슬래브의 최대 길이를 산정하였다.
        8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열차운행에 따라 철도레일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높은 하중은 레일에 결함을 발생시키게 되며 결함이 진전될 경우 궁극적으로 레일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레일의 파손은 많은 유지보수 비용을 유발시키며 나아가 열차탈선이라는 안전문제와 직결되어 있어 레일의 결함을 조기에 검출할 수 있는 효율적인 비파괴 검사법(NDT)이 필요하다. 특히, 레일과 같이 길이가 매우 긴 연속체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검사하기 위해서는 고속탐상을 통한 시간단축이 실용화를 위한 주요 요구조건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접촉으로 고속탐상이 가능한 비파괴 검사기술인 누설자속탐상 (Magnetic Flux Leakage, MFL) 기술의 기반으로 철도레일 결함 탐상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검증은 다양한 위치와 크기를 갖는 5가지 종류의 결함레일 시편에 자체 제작한 MFL 센서를 적용하여 결함검출 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시험결과 수직 및 대각선 방향의 국부손상에 대해 자속누설 신호가 잘 검출 되었으며 이를 통해 누설자속탐상 기술의 철도레일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를 통해, 철도레일 단면에 최적화된 센서부 제작 및 고속탐상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가 이루어진다면 철도레일 국부결함 검출을 위한 매우 효과적인 비파괴 검사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8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갈궤도의 강도증진 및 유지보수비 절감을 위한 급속경화궤도는 자갈궤도에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시공되며 양생되는 과정에서 온도변화에 의한 인장응력이 발생한다. 콘크리트층의 인장응력은 주변 온도변화에 의해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온도응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교통하중에 의한 인장응력이 짧은 시간동안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허용휨인장응력은 콘크리트의 피로강도로 산정해야한다. 현재 콘크리트포장 및 매스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온도응력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급속경화궤도 시공과정 및 특이성을 고려한 온도응력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급속경화궤도 충진층-지면 사이의 마찰력과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온도응력간의 경향을 파악하고, 급속경화궤도 충진층의 허용휨인장응력을 산정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8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면진시스템은 최근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지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알려져 있으나, 철도교량에 적용은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플로팅궤도와 면진장치를 이용하여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를 지진 격리하는 방안과 이와 관련된 구조해석 검토 결과를 제시하였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구조적 검토는 지진 시 궤도 및 교량 구조물의 안전성과 플로팅 궤도 시스템을 적용하였을 때 궤도구조체와 교량상부 간의 신축량 차이로 인한 안정성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해석에 적용된 면진장치는 강성 및 감쇠 조절이 용이한 마찰형 장치로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수평형과 플로팅궤도를 지지하는 수평·수직조합형을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91.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iscusses on the durability of developed high-performance shotcrete for Bobsleigh track construction in 2018 Pyongchang winter Olympic Game, concentrating on strength development, rapid chloride permeability, surface scaling, freeze-thaw resistance, and dry shrinkage
        92.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fter test track was constructed in 2009, maintenance works have performed for 14 months to check the stability of station for bimodal tram. Consequently, station’s main body, infrastructure system as gate and ticket machine, passenger safety system, service information and guidance system, and operation management system have no problems except for minor problems such as main body’s acrylic products falling.
        93.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ilway construction is divided into trackbed and railway. The railway is divided into the gravel ballast and the concrete ballast track structures. In recent years, concrete ballast track construction is increasing for Durability and Maintenance. But During construction or operation for characteristics of concrete, defects of sleepers and concrete ballast track may arise. Some of the defects was analyzed that the main pattern and this study will be introduced in that pattern.
        9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est-bed site in Honam High Speed Railway is under construction for developing infra system core technology and speed-up test over 400km/h. High Speed Railway Infra System’s development are composed of comprehensive research developments which are comprising infra system such as railraod infrastructure, environmental noise reduction, catenary, train control and etc. For high speed-up, the review of track alignment, structural and running safety are required. In this paper, speed-up patterns of train by TPS and structural safety according to load variation are evaluated.
        9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ramway embedded track is the concrete slab track in which rail is embedded for transit and walking over the pavement. The multi-directional continuous supported embedded track system by liquid polyurethane has high performance in reducing sound and vibration, the advantage of maintenance abroad. Domestic newly-developed embedded track was installed in Osong-test site after laboratory test and yard test. In this paper, newly –developed Polycork ERS rail fastening system was tested and the embedded track system was tested in the field
        96.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2004, 300km/h speed of high-speed rail was introduced in Korea. In recent years, policies and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with the goal of increased speed higher than 400km/h. HEMU-430X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during the test, and technology-related infrastructure is under development. In addition, studies are underway for improving the speed of 500km/h or more. In more than 400km/h, track irregularity due to bearing force of track is increasing rapidly. In this study, applicability for the track structure with steel sleeper, to investigate alternatives that can reduce bearing force of track and maintenance costs.
        97.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dynamic behaviors of track roadbed with various loading frequency with real train loading using a full scale testing as MTS system. The dynamic behaviors of track roadbed system was increased linear regression with increased loading frequency at less than 35Hz, but was decreased at wheel load,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over 35Hz. It was found that critical loading frequency was about 35Hz, and that velocity level of train speed was evaluated about 320km/h~340km/h.
        98.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cording as tracks are twisted on running, wheel loads applied to outer rail are increased on curved track. Canting on tracks considering the balance cant allows to have permissible cant deficiency. The test bed area of Ho-Nam high railway is planed for 400km/h Speedup test, cant deficiency is expected to generate centrifugal load in the curve. Therefore, Korean design criteria recommend to increase maximum 20% of wheel load. This study shows that normalized wheel load variations are analyzed its stationary in inner and outer rail when centrifugal forces in outer rail of a curve are caused by curve radius, cant, velocity. Vertical wheel loads are reviewed on the behaviors of each structural elem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velocity.
        99.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궤도틀림은 열차의 주행안전 및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소음 진동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현장에서 발생하는 궤도의 틀림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를 저감할 수 있도록 차량운행 조건과 선로선형 및 궤도구조를 설계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 국내에서 EM-120에 의해 검측된 틀림 데이터는 매우 불규칙적인 형태를 나타내며 데이터 분석 시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궤도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검측된 틀림데이터의 효율적인 처리 기법을 개발하고, 정제된 데이터를 이용해 선로를 구성하고 있는 이음매, 도상, 노반, 체결구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레일 궤도 틀림의 진전 정도를 정량화 하였다. 또한 축적된 검측 데이터로부터 궤도의 건전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하고 잔존수명을 예측하여 효율적 유지관리를 실현하기 위하여 검측 데이터의 확률론적 수명 산정 기법 개발 및 데이터를 이용한 구간 특성에 따른 궤도틀림 표준편차의 틀림 진전 정도에 대한 통계 및 확률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100.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external forcing on track of typhoon, TWRF(Typhoon WRF) based ensembl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in the case of Typhoon Morako which is the 8th typhoon at Northwest Pacific region in 2009. The two forcing are tropical SST and topography induced thermal and mechanical forcing,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numerical experiment for five-day forecast, the effect of mechanical forcing is about two times stronger than thermal forcing on the track error of the typhoon. More case study for other typhoon will be done as a next paper.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