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1

        81.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호위축병 피해지역에 대한 수량감소의 예측을 위하여, 보리호위축병(BaYMV)에 대한 저항성 품종과 이병성 품종간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증질 변이를 건전구와 이병구에서 비교 조사하였다. 1. 보리호위축병의 이병주는 BaYMV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병정도는 감수성 품종인 백동에서 9, 저항성 품종인 내한쌀보리에서 1정도 발병하였다. 2. 감수성 품종인 백동은 천립중을 제외한 간장, 수당립수, m2 당 수수 등의 수량구성요소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수량은 대조구의 20%수준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3. 보리호위축병 감염구에서 종자의 발아율은 감수성 품종과 저항성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정립률은 감수성 품종인 백동에서 설립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정립률과 조단백질 함량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보리호위축병은 간장, 수량, 정립률, 수수, 천립중, 1수립수 등의 피해와 부의 상관을, 조단백질 함량과는 정의 상관을 보여 보리호위축병에 이병이 되면 수량 및 품질에 크게 피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82.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북도의 진안, 장수, 정읍 등의 3개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는 지황에 바이러스 병징이 관찰되어 ELISA 방법으로 TMV의 감염 여부를 확인한 결과 3개 지역 모두에서 ELISA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N. glutinosa를 이용, 순수분리 및 증식한 이병주의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한 결과, 폭 18nm, 길이 300nm의 막대 모양의 바이러스가 관찰되었다. 또한 epoxy수지를 통해 이병조직의 세포질내에서 많은 바이러스 입자가 군집 또는 산재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TMV의 병징은 즙액 접종 4주 후부터 담배 잎의 본엽에 부분적으로 반점이 보이다가 4­6주 후에는 황화 현상과 괴사 현상이 나타났다. 이병주로부터 total RNA를 분리하여 RT­PCR을 수행한 결과 531bp DNA 증폭 산물을 얻었으며 genetyx win program을 이용하여 외피단백질의 염기수준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TMV­T, V, To 세 계통에서 각각 94.8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MV­P계통에서 67.3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수준에서는 TMV­T, V, To 세 계통에서 각각 97.6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MV­P계통에서 72.2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타 계통들간에는 TMV­152, F 계통에서 94.05%, TMV­C 계통에서 68.63% 유사도를 나타냈다.
        83.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4개년 조사 기간 중 보리호위축병 발병율은 6.6%-62.5%로 연차간 기상조건에 따라 큰 변이를 나타내었다. 2. 면역혈청학적 검정 결과 보리호위축병의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일부 품종은 BaMMV와의 혼합 감염이 발생하였으나 보리호위축병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생이 낮은 경향이었다. 3. 월동전 보리 초기 생육 기간의 기상 조건과 발병율의 변화 조사 결과 평균기온이 바이러스의 감염과 유의성 있는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월동기중에는 기상조건과 발병율과는 어떤 요인도 유의성 있는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5. 생육재생기 이후의 발병율은 최고기온과 유의성 있는 상관을 나타내어 병징 발현에는 최고기온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86.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추냉이에 모자이크 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주로부터 고추냉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고추냉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genomic RNA를 추출하여 전체 유전자 구조를 결정하였다. 유전자 전체길이는 6,298 염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4개 ORF로 구성 되어 있었다. ORF 1은 180KD 단백질, ORF 2는 130KD 단백질 , ORF 3은 30KD 단백질, ORF4는 18KD로 외피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ORF 유전자간에는 ORF4와 ORF 3 유전자간 130개의 염기, ORF 2와 ORF 3 유전자갈 20개 염기 그리고 ORF 1 과 ORF2 유전자간에는 40개의 염기로 overlaps되어 있었다 3'NCR부분은 238개 염기, 외피단백질은 537개 염기, 30KD 이동단백질은 825개 염기, 130KD 단백질은 1,896개 염기와 180k단백질의 2,958개의 염기로 구성되어 있었다. TMV-WTF전체 염기 서열의 유전자 상동성에서는 비교 유전자에서 미보고된 일본의 TMV-WSF와 러시아의 TMV-crucifer와 각각 98.6%와 82.4%로 매우 높았다.
        91.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전국42개 지역에서 토양전염성 맥류바이러스를 조사한 결과 강원도 영월, 전라북도 무주, 충청남도 공주, 보령, 서천 포장을 제외한 37개 포장에서 BaYMV, BaMMV 및 SbWMV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토양전염성 맥류바이러스 상습 발병지 10개 장소에 겉보리 10품종, 쌀보리 16품종, 맥주보리 6품종, 밀 2품종을 파종하고 저항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겉보리는 조강보리, 쌀보리는 내한쌀보리 및 논산과1-6품종이 비교적 여러지역에서 저항성 높은 품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본에서 분양 받은 15품종도 대부분이병성으로 나타났으나 특이하게 익산, 영광 및 예산지역에서 저항성 품종이 많았다. 지역간 품종에 따른 바이러스 혼합 감염을 조사한 결과 조사 10개 지역 모두 BaYMV, 및 BaMMV가 혼합 감염되어 있었고, BbWMV는 예산, 진주, 나주 및 익산지역에 혼합감염되어 있었다. 그러나 영광지역에서는 사천6호 품종을 제외하곤 BaYMV만이 발생하였다. 일본 분양 품종은 예산에서만 BaYMV가 감염되었고 나머지 지역에서 모두 BaMMV 및 BaYMV에 혼합 감염되 어 있었다.
        93.
        2001.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Soil borne wheat mosaic virus(SbWMV) in barley fields in Korea and to examine the host pathogenicity of SbWMV. By using the ELISA test, SbWMV was detected in the six regions : Suwon, Milyang, Jinju, Youngkwang, Iksan, and Chonju. SbWMV was isolated from the two strains, Albori strain from Jinju and Eunpamil strain from Milyang. SbWMV was collected from leaves showing mosaic, yellowing and necrosis stripes. SbWMV was inoculated mechanically on 1∼1.5 leaf stages with leaf-rubbing to identify the host pathogenicity of 36 Korean barley cultivars, a wheat cultivar, two rye cultivars, three Japanese barley cultivars and Chenopodium amaranticola. Viral sympoms of inoculated leaves appeared on moulted loaves about 4 to 6 weeks of inoculation. Baegdong and Tapgolbori, infected from Albori strain and Eunpamil strain infected from Samdobori showed much higher susceptibility than C. amaranticola and C. quinoa which showed ring spots and chlorotic spots respectively. Virus particles were observed by the electron microscope. They were rod-shapes, which are bipartite, of 142 nm or 281 nm in length with 20 nm diameter on infected leaves. Specific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SbWMV was set up using the RT-PCR. PCR fragments of SbWMV(0.5kb) were obtained by using the designed primers for SbWMV RNA 2.
        94.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mosaic virus (SMV) resistance of Korean recommended soybeans was evaluated naturally and by mechanical inoculation in Suwon. Based on the differential reaction of forty-four soybean genotypes tested to nine different SMV strains, soybeans were classified into twenty-four groups. Myeongjunamulkong and Ilpumgeom-jeongkong showed a high degree of resistance to nine SMV strains, having no symptom. The other cultivars produced various reactions according to inoculation of each SMV strain: symptomless, mosaic or systemic necrosis. Only five cultivars such as Kwangankong, Eunhakong, Tawonkong, Namhaekong, Sobaegnamulkong were totally susceptible to every strain. There was variation in disease incidence. Soybeans, having the highest levels of resistance to G5H and G7H in the greenhouse, showed the lowest levels of SMV incidence in the field of Suwon. Myeong-junamulkong, Ilpumgeomjeongkong, Soyangkong, Pungsannamulkong, Sodamkong, Jangmikong, Geomjeong-kong2, Pureunkong, Sinpaldalkong2, Duyoukong, and Geumgangkong were fairly resistant to SMV. And SMV incidence of Taekwangkong, Saealkong and Baegunkong was over 45% with symptom of bud necrosis. And soybeans, highly resistant to SMV in the field and the greenhouse, were mainly derived from Jangyeobkong and Hwang-keumkong resistant to G1-G7.
        95.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 재배포장에 정착하는 매개 진딧물 발생소장과 효율적인 살충제 선발을 통해 콩모자이크병 피해 경감 방법을 모색코자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기파종에서의 진딧물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과 8월 중순 2회였으나, 조기파종에서의 진딧물 발생최성기는 6월 중순으로 적기파종에 비해 진딧물 발생최성기가 약 10일정도 빨랐다. 2. 공시약제인 이미다클로프리드수화제, 벤즈유제, 아시트수화제 등은 모두 95% 이상의 진딧물 방제가를 보여 약효가 우수하였고 약해도 없어 효과적인 진딧물 방제 약제로 선발되었다. 3. 이미다클로프리드입제를 토양 혼입처리한 시험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 후 52일까지 진딧물 발생이 억제되었다. 4. 아시트 50% 수화제를 콩 생육단계 V4, V6, V4/V6에 1회 또는 2회 처리하였을 때,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SMV 발병률이 낮아 방제효과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V4/V6 시기 2회 처리구에서 SMV 발병률이 낮았다.
        96.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호위축병(BaYMV) 상습 발병지에서 쌀보리인 백동을 공시하여 건전주와 이병주의 농업형질 등을 비교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호위축병에 이병된 주는 건전주에 비하여 SPAD 값이 13.7정도 낮은 값을 보였으며, 출수는 10-11일정도 지연이 되었고, 건물중이 75%, 간장은 68%, 수수가 49% 감소하였다. 2. 이병주의 절간장 감소는 이삭을 제외한 상부로부터 제1-6절간에서 나타났으며, 그 중 제3-5절간장에서 감소율이 75-80%로서 가장 켰다. 3. 보리호위축병에 의하여 망장이 17-19%, 입수가 47%, 천립중이 60%, 주당 입중이 78% 감소하였으며, 종실에서는 폭과 두께에서 감소되었고, 종피색의 색도에서는 명도는 낮았으나 적색도는 높게 나타났다.
        97.
        1999.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rapid and sensitive assay for specific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barley yellow mosaic virus(BaYMV) was set up using th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A couple of primers was select to discriminate the viruses. PCR fragments of BaYMV(ca.0.9 kb) were obtained by using the method designed for BaYMV capsid protein. RT-PCR fragments were cloned with vector pT7 Blue and the resulting clones were sequenced. Capsid protein of BaYMV consisted of 297 amino acids and 891 nucleotides. The capsid protein sequence of BaYMV showed that 98% of nucleotides and 99% of amino acids homology.
        98.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ssay was used to detect SMV strains. A pair of oligonucleotide primers were designed to include the cylindrical inclusion (CI) coding region between 4,176 to 5,560 nt. Amplification from the total RNA extracted from infected plants with SMV yielded a 1,385 bp DNA fragment. RT-PCR was shown to be 103 times more sensitive than the ELISA assay and it could detect a virus in 10-6 dilution. Restriction enzyme analysis of RT- PCR products using EcoR I showed that SMV isolate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restriction fragments.
        99.
        199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isolate of barley yellow mosaic virus(BaYMV-HN) obtained from Haenam, Korea was compared with two BaYMV strains. BaYMV-Ⅱ-1 from Japan and BaYMV-G from Germany. The sequence of the 3'-terminal 3817nucleotides[excluding the poly (A) tail] of RNA 1 of BaYMV-HN was determined to start within a long open reading frame coding for a part of the NIa-VPg polymerase(26 amino acids). NIa-Pro polymerase (343 amino acids), NIb polymerase(528 amino acids) and the entire capsid protein(297 amino acids), which is followed by a noncoding region(NCR) of 235 nucelotides. In the partial ORFs, BaYMV-HN shows higher sequence homology with BaYMV-Ⅱ-1(99.5%) than BaYMV-G(92.7%). The 3' non-coding regions of BaYMV-HN(235nt) shows higher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with BaYMV-G(235nt)(99.6%) than BaYMV-Ⅱ-1(231nt)(97.0%). The 3' NIa-Pro protein sequence of BaYMV-HN shows higher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with BaYMV-Ⅱ-1(95.0%) than BaYMV-G(93.6%), but, NIb protein sequence of BaYMV-HN shows same all amino acid sequence. The capsid protein sequence of BaYMV-HN(297aa) shows same with BaYMV-Ⅱ-1, and shows higher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with BaYMV-UK (from United Kingdom)(97.3%) than BaYMV-G(96.9%) and G2(96.9%). Difference of capsid protein amino acid were 0-9 between the Japan, United Kingdom and Germany and were 2-6 between all Korean isolates. Many of the amino acid differences are located in the N-terminal regions of the capsid proteins from 1 to 74 amino acid position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