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1

        84.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roasted and bamboo salt) manufactured in Chonbuk province were analyzed their chemical compositions and minerals including heavy metals for safety evaluation. Average content of each eomponent as the lowest and the highest were as follows-pH; 6.80 (refined) to 10.35 (bamboo), water content; 0.13% (bamboo) to 10.7% (sun-dried), sodium chloride; 96.6% (roasted) to 84.3% (sun-dried), 504; 0.59% (bamboo) to 3.0% (sun-dried), water insoluble matters; 0.001% (refined) to 1.98% (bamboo), acid inoluble matters; $lt;0.001% (refined) to 0.21% (bamboo), calcium; 0.038% (refined) to 0.213% (sun-dried), magnesium; 0.111% (refined) to 1.078% (sun-dried), lead; 0.45 ppm (refined) to 1.15 ppm (bamboo). Cadminium, arsenic and mercury were not detected in all salt. As the analytical results, all salts were differtent in their chemical compositions and safe in view of heavy metals.
        4,000원
        86.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od goods traded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Cho Sun era included Insam (Jinseng), rice, beans, honey, perilla oil, starch, adlay, walnuts, pine nuts, jujubes, hazelnuts, and dired chestnuts as exports ; and pepper as imports. The number of Japanese envoies that visited regularly was one thousand five hundred people a year. The receptions that were held for them during the middle period equaled those of the first term of the Cho Sun era, but these receptions were only held in Pu-san. The expense of daily meals was broken down into 8 grades ranging from \129,300 to 2133. The daily meals included Jo-ban (breakfast), Jo-seok-ban (breakfast and dinner), and Ju-jeom-shim (lunch) for the Japanese who visited regularly. During the course of a year, the total amount spent on daily meals was put at a billion won. The banquet style meals included Ha-seon-da-rye (a welcome tea party), Ha-seon-yeon (a welcome banquet), No-cha-yeon (a banquet that was held on the street), and Ye-dan-da-rye (a drink banquet that was held when silk was offered as a gift). It also included Byeol-yeon (a banquet out of the dordinary), Sang-seon-yeon (a farewell banquet), and Myong-il-yeon (a banquet that was held on a national holiday). The banquet style meals were composed of Ceon-tack (to set a table for dinner), Sang-hwa (a flower that was put on the food), Kwan-hwa (to offer a flower when a banquet was held), Ju-9-jan (the ninth wine glass), Dae-seon (meat), music, and Jung-bae-rye (a banquet that was held again after a banquet). The Cho Sun government held banquets forty five times for the Japanese, the food expense for the banquets was put at two hundred and thirty million won.
        5,400원
        87.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od goods traded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first term of the Cho Sun era included Omija (fruit of the Maximowiczia chinensis), Jat (pine nuts), Insam (Jinseng), rice, and beans as exports ; and pepper, sugar, and medicinal stuffs as imports. The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was a result of Japanese envoies' visiting. The official number of Japanese envoies who had exchanges with Koreans were two thousand people a year. Once the Japanese entered Korea, they did not need to pay for their living expenses for the length of their visit because the Cho Sun government bore the whole expense. The Cho Sun government gave formal receptions to them, which included daily meals as well as banquet style meals. The daily meals included Jo-ban (breakfast), Jo-seok-ban (breakfast and dinner), and Ju-jeom-sim (lunch). Meals were served four times a day. The banquet style meals included Sam-po-yeon (a banquet that was held in Sam-po), Kyong-joong-young-jeon-yeon (a farewell banquet, and a welcome banquet that was held in Seoul), Jyu-bong-bae (to offer a guest a drink by day), No-yeon (a banquet that was held on the street), Kwol-nae-yeon (a banquet that was held within the Royal Court). It also included Ye-jo-yeon (a banquet that was held in Ye-jo), and Myong-il-yeon (a banquet that was held on a national holiday). The banquet style meals were composed of Ceon-tack (to set a table for dinner), Sang-hwa (a flower that was put on the food), Kwan-hwa (to offer a flower when a banquet was held), Ju-5-jan (the fifth wine glass), Dae-seon (meat), and music.
        6,100원
        88.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suming that the solar activity and the solar cycle phenomena may be manifestations of global torsional MHD oscillations, we compute the Alfven wave travel times along the field lines in the five models of magnetic field described in the following text. For all these models, we compute standard deviation and it's ratio to mean Alfvenic wave travel times. The last two models yield the smallest relative bandwidth for the frequencies of the MHD oscillations. However, the last model is the only admissible one which can sustain global Alfvenic oscillations with well defined frequency for the fundamental mode
        89.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 필자는 예이츠의 초기시에 나타난 신화를 가면으로 보고, 그가 왜 초기시에서 신화의 인물들을 자신의 가면으로 사용하는지를 라깡의 ‘구술치료’를 원용하여 밝혀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아일랜드 신화가 투영된 시들을 분석하였다. 예이츠의 신화 사용에서 주목할 점은 그가 신화를 변용하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곧 시인이 신화를 변용함으로써 자신의 어떤 의도를 거기에 투영하였다는 것이다. 초기시에 나오는 신화의 인물들은 세 부류로 나뉘어진다: Fergus and King Goll, Aengus and Oisin, and Cuchulain. 퍼거스와 골왕의 신화는 젊은 시인의 시적 추구의 한 모습을 나타내며, 앵거스와 어신의 신화는 모드 곤과의 사랑의 드라마를 투영한 것이며, 쿠훌린은 시인이 바라는 이상적인 영웅상을 그린 것이다. 예이츠는 이러한 신화의 이야기를 통해 현실에서 바라지만 쉽게 이룰 수 없는 욕망들을 투영하고자 한 것이다. ‘Unity of being’은 예이츠가 평생동안 추구한 화두이다. 초기시에 나타난 신화의 인물들도 모두 이 주제로 통합될 수 있다. 시인은 이상적인 자아와 실제의 자아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였다. 식민지 조국에 대한 갈등, 이루어지지 않는 사랑에 대한 갈등을 겪어야 했다. 현실에서의 좌절을 극복하고 결핍을 채우기 위해 시인이 택한 것은 가면이었다. 이를 통해 시인은 자신의 바라는 바를 충족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시인이 바라는 가면을 쓴다고 할지라도, 실제의 자아와 이상적인 자아와의 틈은 영원히 채워질 수 없다. 끊임없이 다다르려고 할 뿐 쉽게 이를 수 없는 예이츠의 장미와 같다. 그러나 이러한 욕망과 결핍의 드라마 또는 비극성이 시인에게는 오히려 창조의 힘이 된다. 그렇기에 시인이 택하는 가면은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었을지라도, 최선의 해결책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예이츠의 초기시에 등장하는 가면들은 보다 나은 reality 또는 unity of being에 이르고자 하는 시인의 시적 추구의 도구인 것이다.
        6,900원
        90.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examine the observations of large-scale magnetic fields in the Universe. We begin at the largest scale with clusters of galaxies and work our way down through galaxies and finally to the Milky Way. on which we concentrate in detail. We examine the observations of the Galactic magnetic field, and their interpretation, under the philosophy that the Galactic magnetic field is like that in other spiral galaxies. We use pulsar data. diffuse Galactic synchrotron emission, and starlight polarization data to discuss the Galaxy's global magnetic configuration and the uniform (Bu), random (Br), and total (Bt) components of the field strength. We find disagreement among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various data sets and argue that the pulsar data are not the best indicator for large-scale Galactic field. Near the Solar circle, we find that the azimuthal average of Bt is 4.2 μG and we adopt Bu ~2.2 and Br ~3.6 μG. Bt is higher in spiral arms, reaching ~5.9 μG. Bt is higher for smaller RGal, reaching ~8.0 μG for RGal = 4.0 kpc. The pattern of field lines is not concentric circles but spirals. The inclination of the magnetic spiral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Galaxy's spiral arms if our sample, which refers primarily to the interarm region near the Sun, is representative. However, it is not inconceivable that the local field lines follow the Galaxy's spiral pattern, as is observed in external galaxies.
        3,000원
        91.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hod for the sun curing dehydration of pig excreta by using vinyl house was described. We determined effects of the dehydrated pig excreta on the yields of whole crop corn and proximate chemical composition of whole crop corn. Pig excreta were dehydrate
        4,000원
        92.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시대의 조리서를 중심으로 선의 종류와 사용된 재료 및 조리법의 변화, 조리용구, 계량단위, 조리용어, 등을 분석 고찰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선의 종류는 18가지였다. 그 중 채소류 12가지, 어류 3가지, 육류 1가지, 두류가공품 1가지였다. 2. 선에 사용된 주재료는 다음과 같다. 육류 : 양 채소류 : 배추(배추속대), 동아, 호박, 가지, 오이. 어류 : 민어 두류가공품 : 두부 3. 선에 사용된 부재료는 다음과 같다. 수 조육류 : 쇠고기, 쇠머리, 제육, 영계. 어패류 : 해삼. 전복. 채소류 : 배추(배추속대), 무우, 당근, 오이, 시금치, 미나리. 버섯류 : 표고, 석이, 목이, 느타리. 기타 : 녹두녹말, 밀가루. 4. 선에 사용된 양념류는 다음과 같다. 생강, 마늘, 파, 고추, 초장, 참기름, 꿀, 소금, 소다, 겨자즙, 간장, 기름, 후추, 조미료. 5. 선에 사용된 고명류는 다음과 같다. 잣, 계란, 실고추, 붉은 고추. 6. 선을 만들 때 사용된 재료의 계량단위는 20가지였다. 그 중 용량단위 9가지, 수량단위 6가지, 기타 5가지였다. 7. 선을 만들 때 사용된 기구는 12가지였다. 그 중 많이 사용한 기구는 채반, 채, 솥 등이었다. 8. 선을 만드는데 이용된 조리용어는 18가지였다. 그 중 가열용어 6가지, 써는 용어 12가지였다. 결론적으로 선은 식물성식품을 주재료로 하여, 찜과 같은 방법으로 조리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선은 배추, 동아, 호박, 가지, 오이 등의 채소와 소의 양, 민어, 두부 등을 주재료로 하여 수 조육류, 어패류, 버섯류 등 여러 부재료를 양념하여, 주재료의 속에 넣고, 육수에 끓이거나 중탕하여 그릇에 담고, 잣, 계란, 실고추, 붉은 고추로 고명을 얹은 음식이다.
        4,000원
        93.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시제조 중 invertase의 활성 변화를 조사하고 정제된 invertase의 효소적 특성에 관하여 실험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invertase의 활성은 증가하여 건조 10일째 최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 건시에서 invertase를 250 mM potassium phosphate(pH 7.4)로 추출하여 (NH4)2SO4염석, DEAE-cellulose 및 sephadex G-200 column chromatography의 과정으로 정제한 결과 정제도는 조효소액보다 약 27배 증가되었으며 회수율은 약 11%였다. 최적 pH는 sucrose, raffinose에 대하여 각각 5.0과 6.0으로 나타났으며 최적온도는 40℃였다. 열과 pH 안정성은 50℃까지 그리고 pH 5 부근에서 안정하였다. Sucrose에 대한 Km값은 2.5 mM이었으며, 정제된 invertase는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상에서 하나의 band를 나타내었다.
        4,000원
        94.
        202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work, preliminary launch opportunities from NARO Space Center to the Sun-Earth Lagrange point are analyzed. Among five different Sun-Earth Lagrange points, L1 and L2 points are selected as suitable candidates for, respectively, solar and astrophysics missions. With high fidelity dynamics models, the L1 and L2 point targeting problem is formulated regarding the location of NARO Space Center and relevant Target Interface Point (TIP) for each different launch date is derived including launch injection energy per unit mass (C3), Right ascension of the injection orbit Apoapsis Vector (RAV) and Declination of the injection orbit Apoapsis Vector (DAV). Potential launch periods to achieve L1 and L2 transfer trajectory are also investigated regarding coasting characteristics from NARO Space Center. The magnitude of the Lagrange Orbit Insertion (LOI) burn, as well as the Orbit Maintenance (OM) maneuver to maintain more than one year of mission orbit around the Lagrange points, is also derived as an example. Even the current work has been made under many assumptions as there are no specific mission goals currently defined yet, so results from the current work could be a good starting point to extend diversities of future Korean deep-space missions.
        95.
        202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work, the problem of resonance caused by some gravitational potentials due to Mercury and a third body, namely the Sun, together with some non-gravitational perturbations, specifically coronal mass ejections and solar wind in addition to radiation pressure, are investigated. Some simplifying assumptions without loss of accuracy are employed. The considered force model is constructed. Then the Delaunay canonical set is introduced. The Hamiltonian of the problem is obtained then it is expressed in terms of the Deluanay canonical set. The Hamiltonian is re-ordered to adopt it to the perturbation technique used to solve the problem. The Lie transform method is surveyed. The Hamiltonian is doubly averaged. The resonance capture is investigated. Finally, some numerical simulations are illustrated and are analyzed. Many resonant inclinations are revealed.
        96.
        202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손중산(孙中山) 선생은 중국 근대 민주혁명의 선구자로서 민주혁명에 그의 일생을 받쳤다. 그는 중국 근대화 시기 민주혁명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중국과 서양의 문화와 정치제도를 결합하여 그만의 독특한 정치사상을 형성하고 이를 집대성하여 삼민주의(三民主义)를 창안하였다. 손중산(孙中山)의 정치사상은 삼민주의(三民主义)에서 비롯되었으며, 삼민주의(三民主义)는 다년간의 민주혁명운동의 과정에서 그의 혁명강령이 된다. 손중산은 이러한 사상적 배경하에 서양의 삼권분립체제를 한 단계 발전시킨 오권분립체제의 민주공화제도를 중국에 도입하고자 했다. 이것이 바로 손중산이 주장한 오권헌정(五权宪政)이다. 이는 헌정(宪政)을 민주정치의 기초로 삼고 국민이 정치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확대하여 진정한 민주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것이었다.
        97.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로드샵이 많이 있는 명동쇼핑거리, 강남쇼핑거리, 이대쇼핑거리를 방문한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자 외선차단제 중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 선쿠션 제품에 대해 연령과 결혼여부에 따른 선택속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제품 구입 시 고려요인 6개 (‘사용감’, ‘자외선차단지수’, ‘용기디자인’, ‘편리성’, ‘브랜드’, ‘가격’)를 선정하여 각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조사결과, 연령별로 ‘자외선차단지수’와 ‘용기디자인’, ‘브랜드’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용기디자인’ 항목에서는 2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대와 40대로 갈수록 평균값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6개 요인 전체와 비교해봤을 때 높은 평균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최근 뜨거운 열풍을 불러일으키는 아이돌의 이미지와 신뢰도를 구축한 인기 캐릭터를 선큐션 용기에 접목한 캐릭터 콜라보레이션이 젊은 세대뿐 아니라 청장년층에게도 어릴 적 추억을 떠올리고 세대를 이어주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업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능성 중심의 제품개발에서 소비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올 수 있는 용기디자인 중심의 제품개발에도 힘써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자외선차단지수’와 ‘가격’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기 연구결과를 통해 연령과 결혼여부에 따른 고객의 선호도와 요구 성능을 반영한 제품개발 및 디자인 구상과 이에 따른 실질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98.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지리산의 선계로서의 표상이 조선시대에 어떻게 강화되었는지 그 구체적인 방식을 천착하고, 그 속에 투영되어 있는 사대부 문인들의 의도와 욕망을 추적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오랫동안 지리산 관련 정보가 집적되어 있어 지리산의 표상과 표상화 방식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인, 역 대 지리산 遊山記를 주된 분석텍스트로 삼아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지리산의 선계 표상이 嶺南士林의 종장과 그 후학 들로 대표되는 지리산 유산객들에 의해 강화되었음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지리산이 仙界의 方丈山인 근거가 매우 희박함에도 불구하고, 영남사림은 이를 오랫동안 의심 없이 받아들여 의미화함으로써 지리산을 선계로 표상화하는 토대 를 마련하였다. 여기에는 三神山의 구도 속에서 지리산의 독보적 위치를 드러내 려 했던 영남사림의 의도와 욕망이 강하게 작용하였다. 더하여 선현들과의 동일 시를 통해 자기 유람의 의미를 찾으려 했던 공통의 의식과 은일과 탈속을 지향했던 욕망 또한 함께 작용하였다. 다만 방장산으로 자리매김 된 지리산은 최치원을 비롯한 儒仙을 현재에 소환하 여 지속적으로 만나고 靑鶴을 끌어들여 靑鶴洞을 실재화하는 방식을 통해 구체적 인 생명력을 갖게 된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또 다른 주체는 바로 신흥사 와 쌍계사 등 지리산 주요 사찰에 기거했던 스님들이었다. 이들은 금강산을 불국 토로 만들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리산의 선계화 작업에 참여하였다. 스님들을 통해 강화된 청학동을 비롯한 洞天에서의 살아 있는 장소체험은 삼 신산(방장산)을 관념 속 실재가 아니라 현실에 실존하는 선계로 만드는 데 기여 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리산은 실제로 신선이 살고 있어 구체적인 선계 체험이 가능한 살아 있는 장소로 바뀌게 된다. 이는 다른 삼신산으로 거론되는 금강산이나 한라산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점으로, 조식 이하 영남사림들이 지 리산을 선계로 표상화한 결과이자 그 의미라 할 만하다.
        100.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 필자는 一齋 李恒(1499~1576)과 思庵 朴淳(1523∼1589)의 理氣論 내용 및 특징을 비교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들의 철학이 호남학파로서의 성립 가능성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선전기의 리기론의 전개와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의 리기론은 주로 太極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에서 이견이 생겼고, 이를 중심으로 학파가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一齋의 태극론과 리기론을 연구하였다. 일재의 리기론 또한 그의 태극론에 기초하며, 周濂溪의 「태극도설」의 요지를 충실하게 따르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특히 일재가 주장한 리기의 不離不雜과 ‘一而二, 二而一’은 栗谷 李珥(1536~1584)의 리기론과 같은 맥락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思菴의 태극론과 리기론을 검토하였다. 사암은 기본적으로 화담의 기철학에 기초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암은 율곡과의 논변에서 태극 이전에 太虛라는 원초적 기가 있다고 보았다. 사암과 율곡의 논쟁의 핵심은 ‘太極生兩儀’의 해석에 있음을 알아보았다. 여기서 사암은 태극으로부터 음과 양이 생겨난다고 해석하였고, 율곡은 음과 양이 태극 속에 내재해 있으면서 태극의 작용에 따라서 그것이 현상으로 드러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상의 과정에서 일재와 사암을 중심으로 하는 호남학파의 성립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율곡의 성리학과 호남학파는 상호 연관성과 함께 차별성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조선성리학의 깊이와 외연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