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5

        102.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basic study to improve hooking ability of long line fishing gear, which is widely used around Jeju-do coast, the researcher performed hooking experiment of parrot fish by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7 kinds of model long line fishing gears, whose thickness of branch line are different and 8 kinds of model long line fishing gear, whose length of branch line are different, in indoor circular aquarium, which is installed for the model experiment of thickness and length of branch line that are various by fishing implement and improper. The hooking rate depending on thickness and length of branch line was calculated and the effect of thickness and length of branch line on hooking rate was analyzed. Its results are as follows. When branch line was thin and long, high hooking rate appeared. In the scope of value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ckness (Bt) of branch line and total hooking rate (Thr) can be shown as following formula as. In the scope of value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Bt) of branch line and total hooking rate (Bt) can be shown as Thr=-20.83Bt+26.04.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ickness of branch line and hooking rate was -0.718. Therefore it showed significance in 0.01 significance level.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length of branch line and hooking rate was 0.431. Therefore it showed significance in 0.01 significance level.
        4,000원
        105.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는 콘크리트 포장용 굵은 골재를 대상으로 화학적인 시험방법과 모르타르 봉 시험방법을 이용한 결과 알칼리-실리카 반응 유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 알칼리 - 실리카 반응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었고, ASTM C 1260을 이용한 결과 일부 골재에서 유해한 팽창이 발생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르타르 봉 시험방법인 KS F 2546과 ASTM C 1260을 이용하여 길이 팽창 유도기간의 환경조건이 알칼리 - 실리카 팽창 반응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KS F 2546의 경우 대상 골재 모두 반응성 없음으로 판정되었으나 ASTM C 1260에서는 일부 골재에서 잠재반응성 이상으로 판정되었다. 이는 외부로부터의 알칼리 이온의 공급, 온도 및 습도 차이에 의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ASTM C 1260에서 NaOH의 농도변화 실험을 통하여 NaOH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길이팽창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온도 및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길이팽창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10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변장비 B/D=5인 박스거더의 기본단면을 대상으로 브래킷부의 길이변화에 따른 동적 풍응답 특성을 풍동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박스거더의 단면형식은 단일박스, 2박스 및 3박스 단면의 3종류로 하였으며 - 5°~+5°의 영각범위에서 응답측정을 수행하였다. 풍동실험 결과로서 연직와류진동은 (+) 또는 (-)방향으로 영각이 증가 할수록 최대진폭이 증가하였으며 비틀림 와류진동의 경우는 브래킷의 길이 및 하부박스의 개수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응답변화를 보였다. 플러터 한계풍속은 전반적으로 영각이 (+)방향으로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브래킷길이가 증가할수록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한계풍속이 감소하였다.
        4,000원
        10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bubble pump with vertical pipe of different lengths. For the experimental facilities composed of electrical heater used for providing heat source to generate bubble, a vertical tube with Ø4mm diameter, length of 200mm, 300mm, 400mm and 500mm. Storage tank with capacity was of 40 L containing a heat exchanger. The separator and condenser of the air bubble pump were installed separatel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there were a few variations of values of temperatures according to vertical pipe lengths of the bubble pump. The mass flow rate was increased by 0.17g/s when it was short as 200㎜ long pipe. But when vertical pipe length was 500㎜, it reached the normal temperature quickly because the slug flow occurred in this case at initial stage.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500㎜ of the vertical pipe length was optimum for best performance of bubble pump.
        4,000원
        10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knit samples' mechanical properties on changes of skirt length of knit flared skirt, and to compare it to the knitting method of a seamless knitted flare skirt. So, I compared the appearance and 3-dimensional shape of a seamless knitted flare skirt with those of a fully cut knit flared skirt. For this study, 18 kinds of cut and sew or seamless knitted test garment were made. The data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knit samples' mechanical properties by the KES-FB system showed that elongation decreased as gauge increased and course direction was greatest among grain directions. The length change after wearing the knitted flare skirts appeared wholly equal to the seamless knitted, compared with the cut and sew. The change was biggest at 180°, 7G of the cut and sew. In grain direction, bias cut showed more than 1.2cm of length change. As the weight and thickness increased, the length changes become larger.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greatest contributive variables on the length changes were elongation, weight, and thickness.
        4,300원
        10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고속도로 연결로 중 감속차로의 길이는 자유교통류 상태에서 유출차량이 본선과 유출부 사이의 속도의 차이에 적응할 수 있는 제동거리로써 결정된다. 그러나 실제 도로의 운영상태에서는 항상 자유교통류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며 때로는 유출부에서 대기행렬이 형성되게 된다. 대기행렬은 그 이후 접근하는 유출차량이 감속차로 이전에서부터 감속을 해야 하는 상황을 발생시켜 본선 교통류에 영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일부 입체교차로에서는 감속차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대기행렬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본선 최하위 차로까지 점유하게 되어 소통 및 안전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하여 충격파 이론을 적용하여 본선 및 유출부의 교통량, 설계속도 등에 따른 유출부 감속차로에서의 대기행렬 길이를 산정하여 현행 감속차로의 길이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대기행렬이 본선 교통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감속차로의 수에 따른 대기행렬길이의 변화도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유출램프의 설계속도를 10km/h 상향시킴으로써 대기행렬의 길이는 10% 감소되며, 램프의 차로수를 1개에서 2개로 증가시키게 되면 50%의 대기행렬 감소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11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is to conduce the survey of three groups of college women living in different residential districts, Seoul, Gyeonggi-do and a district, each other,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wearing blue jeans, comparative investigate actual condition in each residential district of wearing blue jeans and cognition by change of crotch length and trend through comparison of cognition on dressed blue jeans with short crotch length. By which investigation,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ir condition and propose of blue jeans as may offer fit with short crotch length.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presented college women had hipbone blue jeans in order of 2~3 and more than 4 in all of residential districts, they purchased hipbone blue jeans with crotch length in order of for middle crotch(23 ㎝) and short crotch(21㎝) commonly in all of residential districts, and they care a lot for exposing back waist and hip of hipbone blue jeans without reference to residential district. They had a bad feeling for exposure, and as an alternative to deal with this, they answered mostly on ‘wearing hipbone underwear’ or ‘wearing long upper garmen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sidential districts in silhouette and exterior fitness of crotch length among important factors when wearing hipbone blue jeans.
        4,300원
        11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ed to compare the detection methods of Anisakis simplex in Sea fish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nd macroscopic inspection. We examined 18 Trichiurus lepturus, 11 Scomber japonicus, and 65 Todarodes pacificus collected from the retail markets in the areas of Uljin, Kyuonggi province and Seoul. As the result of examinations, we found that detection rate of Anisakis simplex by macroscopic observation was 89% in Trichiurus lepturus, 90.9% in Scomber japonicus, 32.3% in Todarodes pacificus. The detection rate of Anisakis simplex by PCR-RFLP was 77.7% in Trichiurus lepturus, 81.8% in Scomber japonicus, 26.1% in Todarodes pacificus. We could conclude that PCR-RFLP method of Anisakis simplex was more specific rather than macroscopic observation.
        4,000원
        112.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lope length and angle at the entrance to fishing pots on the size of captured shrimp was examined to determine the optimal design of pots for use in Hokkaido, Japa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optimize the design of shrimp pots to allow greater control over the size of captured individuals for the purposes of shrimp resource management. Tank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slope length and slope angle by analyzing the sizes of shrimp entering 10 model pots with combinations of five different slope lengths on slope angle of current shrimp pot, and five different angles on slope length of current shrimp pot.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slope length of the pot increased, the size of individuals which entered the pot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slope angle was elevated in each of the five different slope angle treatments, the size of individuals entering was also increased.
        4,000원
        115.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근시는 가장 흔한 시력문제이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원인과 예방에 대해서는 아직도 확실한 결론이 없는 상태이다. 다만 생리학적으로 근시는 눈의 굴절력과 안축장의 길이와 관계되며, 특히나 안축장의 길이가 크게 기여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안축장 길이와 굴절력의 일중 변동을 조사하여, 근시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굴절이상 상태(근시, 정시)에 따른 변동 패턴 및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20명의 실험 참가자(연령 21~30, 평균=25.25)가 자동굴절력계(SRW-5000, SHIN-NIPPON)를 이용하여 굴절력을 측정하였고, 매우 정확하고, 눈에 직접 닿지 않고 측정이 가능한 IOLMaster(Zeiss)를 이용하여 안축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 참가자는 정시군, 근시군(Stable Myopes), 진행 근시군(Progressing Myopes)의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측정은 오른쪽 눈을 대상으로 오전 8시, 12시 오후 5시에 걸쳐 하루 동안 이루어졌다. 결과: 20명의 참가자중 6명의 일중 안축장의 변동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4명은 진행 근시군에 속했으며, 2명은 정시군에 속하였다. 하지만 각 그룹간의 안축장 변동폭과 유형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러한 안축장의 변동은 개인별로 일정하지 않았다. 또한 굴절이상의 변동과 안축장의 변동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일중 안축장의 변동이 확인되었다. 특히 진행성 근시는 다른 굴절이상에 비해 변동폭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진행성 근시인 사람이 하루 중 시력 변동을 경험하는 하나의 요소로 여겨진다. 하지만 변동 유형과 정도는 굴절이상 상태, 즉 정시, 안정 근시(Stable Myopes) 및 진행성 근시(Progressing Myopes)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개인별로 다양한 유형의 변동을 보였다. 따라서 일중 안축장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생리학적 요소를 밝히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11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품종인 3년생 '홍로'와 도입 품종인 4년생 '갤럭시갈라' 사과를 대상으로 정아 고사 시 장과지 및 액아의 활용 가치를 알아보고자 결과지 길이 및 꽃눈 위치 따른 개화 및 과실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로'와 '갤럭시갈라' 모두 개화시, 만개기 및 낙화기는 20 cm 이상 결과지에서 5 cm 미만과 10~15cm 결과지보다 다소 늦었다. 화총당 꽃수도 때 정도 적었다. 과중, 종자수, 당산비 등 대부분의 과실 특성은 5 cm 미만과 10~15cm 20 cm 이상 결과지보다 높았지만, 당도와 산 함량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20 cm 이상 결과지의 정아와 액아 간 대부분의 과실 특성은 액아에서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홍로' 사과의 종자수, '갤럭시갈라'의 Hunter a값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두 품종 모두 과중과 종자 간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아 고사 시 장과지로 대체 활용할 수 있고 '갤럭시갈라'의 경우 액화아의 이용도 가능하였다.
        4,000원
        12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장미 삽수의 조제방법이 발근과 발근 후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재료로는 Rosa hybrida 'Red Sandra'와 'Little Marble' 두 품종을 사용하였다. 삽수 길이를 달리한 실험은 'Red Sandra'는 4, 7, 10cm, 'Little Marble'은 3, 5, 7cm 로 처리하였다. 소엽수를 달리한 실험은 삽수당 소엽 5매엽을 0, 2, 4, 또는 5매 남겼다. 삽수 채취부위를 달리한 실험은 꽃봉오리로부터 소엽 5매엽을 첫 마디로 하여 마디별 1~2, 3~4, 5~6, 7~8마디로 4처리하였다. 발근과 생장에 있어 삽수 길이는 두 품종 모두 7cm가 좋았다. 발근률에 있어 소엽을 5매 모두 남기고 1~2마디를 삽수로 이용시 두 품종 모두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