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101.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 유전자원 특성평가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남부지역 들깨 196점을 수집 분석한결과 성숙일수는 104∼136일로 넓게 분포하였으며, 111∼130일이 96%로 대부분 이었고, 110일 이하와 131일 이상은 각 2% 이었는데, 111일 미만의 조숙종인 전남 나주.보성, 전북 고창 수집종의 3계통을 선발하였다. 경장은 71-157 cm로 수집종 간에 차이가 많았으며, 111∼130 cm가 41%로 가장 많았고,90 cm 미만 7%, 151 cm이상은 4%순 이었으며, 장경종인 전남 담양 수집종 등 7계통을 선발하였다. 5 cm 이상의 화방군수는 52∼291개로 수집종 간에 차이가 컸으며, 100-180개가 57.1%로 가장 많았고, 100개 미만과 221개 이 상은 각 13.3%이었는데, 전북 진안과 남원 수집종이 각각 291과 302개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당 삭수는 23∼56개 이었으며 ,26∼45개가 49.5%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장은 6∼20 cm로 분포하였고, 8∼14 cm가 62.8%로 가장 많았다 1,000립중은 2.4∼5.7 g으로 차이가 컸으며 ,3.1∼4.0g이 66.8%로 가장 많았고, 4.1∼5.0 g은 12.8% 이었다. 2.9 g이 하는 19.4%이었으며 ,5.1 g 이상은 전북 남원과 경남 창녕의 수집 종으로 1.0% 이었다.
        102.
        200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land-use and population change in rural area by new expressway. Chungbu expressway constructed in 1987, going through the south area of Kyunggi province from Seoul, was selected as a case expressway, and also 2 cities and 18 subdivisions of county in its surrounding area, as a case study area. To analyze the change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land-use maps of 1986 and 1996 were collected, including the census data for the years in cities and counties yearbooks. Remote sensing technology was applied to classify the land-use maps with six types of land us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as also used for spatial analysis, such as the land-use and accessibility changes. A 5 km buffer zone from interchange of the expressway showed about two times increase of urbanized built-up area than a 5 km buffer zone from the expressway. Accessibility from Seoul and cities was improved in most areas, which is accessing to Seoul through existing Youngdong expressway. Ten rural areas showed increased population with accessibility of average 52 minutes to Seoul and 19 minutes to cities, while eight areas showed decreased population with average 73 minutes to Seoul and 35 minutes to cities. This shows that the threshold value, which is time distance to Seoul and cities for population increase or decrease, one and half hours, respectively. Urbanized area was increased in most areas, even in population decrease areas, so this indicates that there are thinning rural areas, increasing urbanized area while decreasing population.
        104.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에 적합한 품종의 효율적인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9품종을 공시하여 생육 및 수량조사, 유전분산, 환경 분산, 유전력, 상관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수성이며 꽃대발생수가 적어서 품질이 우수한 Sunwol 택사 품종이 남부지방에 가장 적합한 품종으로 나타났었다. 2. Sunwol 품종의 모든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대부분의 형질에서 높았다. 3.형질 상호간의 상관에서 건근 수량은 초장, 엽수와는 정의상관으로 유의성이 높았고 꽃대 발생수, 묘상의 초장, 묘상의 엽수와는 부의상관으로 나타났다. 4. 건근 수량과 상관이 높았던 형질들은 유전력 추정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106.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황칠나무 주요 자생지인 남부도서지역의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적정 파종기를 구명하여 자생지 보호와 농가의 재배면적 확대 그리고 관상가치가 높은 실생 파종묘의 재배법을 체계적으로 확립 하고자 본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황칠나무의 종자를 포트에 파종할 경우 3월 중순 파종이 출현율이 높고, 초기생육이 양호하여 알맞은 파종기로 판단된다. 2. 노지에 황칠나무 종자를 직파할 경우 4월 상순 파종이 종자의 출현율이 높고, 생육이 양호하여 알맞은 파종기로 생각된다. 3. 황칠나무의 적정 파종방법으로는 포트파종이 노지 파종보다 발아율이 높고, 묘목의 수고와 경직경이 커서 초기생육이 양호하여 알맞은 파종방법으로 생각된다.
        107.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for keeping qualities of postharvested greenhouse produce the antimiocrobial actions of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extract , which showed remarkable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microorganism causing the postharvest decay of greenhouse produce, were investigate. In the inhibitory experiment of enzymes related to energy production metabolism hexokinase activities decreased to 73% and 68% by treating with Polygonum cuspidatum Sieb. et.Zucc. extract and Eugenia caryophyllata Thumnberg extract in comparison with control, respectively. Direct visualization of microbial cells by using bo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howed that microbial cell membrane was destroyed by treating with the dilute extract solution. this change of celluloar membrane permeability could be identified in the experiment that 0-nitrophenyl--D-galactopyrano-side(ONPG), the artificial substrate of -galactosidase, was hydrolyzed in the presence of the extract, indicating that the membrane was perturbed. The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most antimicrobialo substances isolated from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extract and Eugenia caryophyllata Thunberg extract were carried out by using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9GC/MSD), which were identified as eugenol. As a result, the functionality of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extract and Eugenia caryophyllata Thunberg extract as antimicrobial agents for keeping qualities of postharvested greenhouse produce may be recommended.
        108.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서남부지역은 금강, 만경강, 동진강, 영산강 및 이들 하구 담수호와 관련하여 용수수급에 있어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금강하구호는 저수용량이 작기 때문에 많은 양을 바다로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현재 건설중인 새만금호는 비교적 저수용량에 비하여 유입량이 적은 편이다. 그리고 영광, 영암의 경우와 같이 영산강 하류 지역은 용수수요량은 많고 공급량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용수수급의 불균형을 해결하고, 수자원의 이용 효
        109.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南部地方)에 적합(適合)한 양파의 품종(品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공시(供試)한 품종(品種)들에 대한 생육특성(生育特性), 구(球)의 특성(特性), 수량성등(收量性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량성(收量性)이 높아서 선발(選拔)된 조생종(早生種) 양파는 패충조생, 극동황, 창녕청황극조생, 단오큰애기, 금정조생황이었고, 이 중(中)에서도 가장 수량성(收量性)이 높은 품종(品種)은 창녕청황극조생, 금정조생 황 이었다. 2. 조생종(早生種)의 수량성(收量性)과 가장 관계가 깊은 형질(形質)은 초장(草長), 엽초장(葉哨長), 구고(球高), 구경(球莖), 구중(球重)이었다. 3. 수량성(收量性)이 높아서 선발(選拔)된 만생종(晩生種) 양파는 창녕대고, 정풍황, 천주구형황, 천주대고, 서울대고였 고, 이 중(中에)서도 가장 수량성(收量性)이 높은 품종(品種)은 천주대고였다. 4. 만생종(晩生種)의 수량성(收量性)과 가장 관계가 깊은 형질(形質)은 초장(草長), 엽초경(葉哨莖), 구경(球莖), 구중(球重)이었다.
        110.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주요 자생지인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시 생육을 촉진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피복의 재료별로 멀칭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멀칭에 의한 토양 수분함량과 지온은 무멀칭가 짚피복에 비하여 투명 P.E 멀칭과 검정 P.E 멀칭이 높은 경향이었다. 황칠나무의 재배시 Pot 육묘한 2~3년생의 묘목을 이식재배 할 경우, 투명 P.E 벌칭재배는 묘목의 활착율을 높이고, 월동기간 지표의 보온으로 지온이 상승하여 추기 생장이 촉진되어 알맞은 멀칭재료로 생각된다. 그러나 Pot 육묘한 묘목의 투명 P.E 멀칭재배시 잡초의 발생이 증가됨으로 멀칭이 반드시 재초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노동력의 부족으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검정 P.E 멀칭재배는 잡초의 발생이 억제되어 투명 P.E 멀칭재배보다 잡초의 발생량이 감소되므로 권장할 만한 멀칭재로로 생각된다.
        111.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rstigates growing seedling of onion for 91 farmhouses at Muan, Hampyeong and Sinan which are major areas of production from Jan. to Apr., 1994 to enhance the research effect of onion and then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Over 60% of the farmhouses have cultured onion continuously over 11years. Early mature variety cultured is over 9 varieties and among them Kinkyu variety is cultured most frequently. Late mature variety is over 13 and Changyongdaego, Bonganwhang and Chunjudaego varieties are cultured most. Most of the farmhouses used seeds less than 6 dl at small area less than 40m2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early variety ,they purchased it at seed stores with 15,000-20,000 won/dl and sowed them with broadcasting method. Amount of fertilizer level of onion seed is ranged from nonfertilizer level to 16.8g/m and most of the farmhouses employ molding after seeding with straw and compost and they did not use thinning. Irrigation is performed by 1-4 times before sprouting of onion seed and most of the farmhouses transplant long nursery plant over 46 days hand weeding is used.
        112.
        199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수원과 밀양에서 이앙과 직파재배를 실시하였고 벼의 생육상태와 수량성을 평가하였고 토지 및 노동생산성을 비교하였다. 이앙재배에 비하여 파종작업이 36일이나 늦었던 직파재배는 모든 생육단계가 조금씩 지연되었고 특히 냉해가 심하였던 수원지방에서 출수는 약15일이나 늦어졌다. 직파재배의 현미수량은 이앙재배보다 8.2%(수원)와 0.11%(밀 양)씩 감소되었으나 소요 영농시간은 34%(수원), 54%(밀양)씩 적어졌고, 10a당 쌀 생산비는 19%(수원), 29%(밀양)절감되었다. 시간당 쌀 생산량(노동생산성)은 이앙재배에 비하여 직파경우 37%(수원), 113%(밀양)증가되었다. 따라서 직파재배가 이앙보다 단위면적당 쌀의 수량은 약간 감소되는 편이었지만 영농시간과 투입비용을 크게 감소시켰다. 아울러 단위량의 쌀을 생산할 경우에도 직파가 생산비와 영농시간을 절감시켜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직파재배법는, 온도조건이 유리한 남부지역이 중부지역보다 적합하였고 수량의 감소를 줄이려면 저온에서 발아가 빠른 품종을 선택하여야 할것이다.
        113.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해지역의 덕봉납석광상은 모암이 안산암질응회암과 안산암으로 구성된 백악기말기의 화산암류가 열수변질작용을 받아서 형성되었으며, 딕카이트와 엽납석이 주구성광물이다. 이 연구에서는 산출하는 광물의 특성과 모암의 열수변질작용을 규명하고, 광물과 열수용액 간의 반응관계를 통하여 광상의 성인을 밝히고자 한다. 암석 내의 화학적 특성을 보면 열수변질작용동안 알칼리원소와 실리카는 유동성을 보이나 알루미나는 비교적 유동성이 작다. 모암으로부터 실리카의 용탈과 알루미나의 부화로 인하여 납석광체가 형성되고, 외곽부로 이동된 실리카의 재침전이 규화대를 생성시켰음을 볼 수 있다. 딕카이트와 엽납석과 밀접히 수반되는 다량의 미정질의 석영은 실리카의 활동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Argillic 변질대에서는 열수용액의 실리카의 용해도가 증가하였고, 규화대에서는 온도와 pH가 저하되면서 그 용해도가 저하되었다. Argillic 변질대로부터 빠져나간 Si는 광상의 가장자리에 침전하여 규화대를 형성시켰다. 딕카이트가 다양한 범위의 결정도를 보여주는 것은 계내의 부분적인 상안정성의 변화를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 계산된 열역학 값에 따르면, Al2O3-SiO2-H2O 계에서 엽납석-딕카이트 (카오리나이트)-다이아스포아-석영이 500 바에서 공존가능한 온도는 약 300 ℃이다. 광물조합과 기존실헙자료를 종합하면 주요 열수변질 시기의 온도는 최소한 270-300 ℃이며 XCO2는 0.025 미만으로 추정된다. 광물의 산상과 화학적 변화양상에 따르면 Al의 활동도는 광상의 상부에, 그리고 Si의 활동도는 하부와 연변부에서 높음을 보여준다. 덕봉광상에서 흔히 관찰되는 비평형 상관계는 열역학적 변수와 용액운반특성의 국부적인 변화로 인하여 화학적으로 비평형인 상들이 여러 단계에 걸쳐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114.
        199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남 밀양 일대의 화산암에는 열수변질대가 상당히 넓게 발달하고 있으며, 여러 개의 점토광상이 분포한다. 납석광상은 주로 안산암질 응회암에서 배태된다. 납석광석의 주구성광물은 엽납석과 딕카이트이며, 그외에 일라이트, 토수다이트, 듀모티에라이트, 석영 등의 규산염광물들이 소량 수반되며, 디이아스포아, 황철석, 웨이브라이트 등이 산출된다. 본 지역의 엽잡석은 단지 2M 다형만 산출된다. 엽납석은 약 750˚C에서 OH가 빠져나감에 따라서 d001 간격이 증간한다. 할로이사이트는 튜브형태로 나타난다. 웨이브라이트는 열수변질작용 말기의 낮은 온도에서 틈을 따라 침천된 것이다. 본 지역의 5개의 변질대로 구분되는데, 주광체로부터 멀어질수록 엽납석-딕카이트대, 실리카대, 일라이트대, 할로이사이트대, 녹니석-알바이트대로 대상분포를 보인다. 점토광물은 모암으로부터 Si와 알카리이온의 용탈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광물조합과 엽납석 다형 및 기존의 열역학적 자료를 밀양광산의 형성온도는 270∼350˚C 내외인 것으로 추정된다.
        115.
        198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시험은 남부지역에 있어서 파종기 이동이 콩의 건물생산능력 및 생리, 생태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적정 파종 한계기를 제시하고자 '82년∼'84년도 3개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만파할수록 개화일수, 성숙기 개화기간 등은 크게 단축되었고 품종가 차이도 인정되었으며 엽후는 만파에 의하여 두꺼워지는 반면, 엽면적은 감소하였고, CGR은 활엽기를 전후하여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7월 9일 파종기는 타 파종기의 50% 내외의 작물생자율을 나타내었다. 2 건물중은 만파할수록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100 입중을 제외한 다른 수량구성요소는 5월 10일과 5월 30일간에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3. 10a당 수량은 5월 10일 파종구 225kg, 5월 30일 239kg, 6월 19일 188kg, 7월 9일은 101kg으로 5월 30일 파종구의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품종간에는 단엽콩이 파종기 이동에 의한 수량변이폭이 가장 작았다.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