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7

        101.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dry shrinkage was evaluated by adding limestone powder according to the substitution ratio to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 The test method was carried out by KS F 2424,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rying shrinkage tends to increase slightly as the substitution ratio of the limestone fine powder increases.
        102.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versible cerebral vasoconstriction syndrome (RCVS) is a clinic-radiologic syndrome characterized by severe headache and reversible multifocal arterial constrictions that resolve within 3 months. RCVS can be either spontaneous or related to a trigger, such as vasoactive drugs. The authors present the case of a 53-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recurrent thunderclap headache. Initial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demonstrated segmental vasoconstriction of bilateral anterior cerebral arteries. Fourteen days after, initial vasoconstriction was improved as determined by follow up CT angiography. Our patient had recurrent thunderclap headache for a considerable time (around 24 months). However, although she visited many hospitals, the headache was not controlled by any treatment. Fortunately, she did not have any neurological complication and her symptoms relieved after nimodipine treatment. Clinicians should be aware of possible RCVS when a patient has recurrent thunderclap headache for a protracted period.
        103.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자기수축은 시멘트 재료적인 특성과 사용하는 혼수량에 따라 발생의 정도가 변화할 수 있다. 건조수축은 콘크리트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정한 물이 투입되지만 이러한 물이 전량 수화과정에 필요한 것이 아니고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공극수로 남는다. 자기수축은 시멘트의 수화에 의해 초결 이후 거시적으로 생긴 체적 감소현상으로 일반적으로 건조수축에 비하여 1/10정도로 작기 때문에 균열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자기수축은 건조수축과 달리 W/C가 낮고, 단위 시멘트량이 높은 콘크리트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성능 저하 원인인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수축량을 예건하여 초기 사전 팽창성을 부여함으로써 건조수축 보상을 실시하는 방법과 단위 수량을 감소하여 건조 수축량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고, 최근에는 균열 발생 후 특정한 환경 조건을 부여할 경우 균열을 스스로 치유하는 자기치유콘크리트의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설 후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존 CaO를 과소(Dead Burn)화 한 팽창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과소 CaO 함유율을 결합재량의 최소 4%에서 최대 8% 까지 혼입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 흐름치로 측정한 유동성은 모두 200mm 전후로 발현되어 동등한 수준을 나타냈으며, 설계기준 강도 27 MPa에 맞는 압축강도 발현을 하였다. 건조수축성능을 평가한 결과 Plain 시험체가 최대 –600×10-6의 건조수축을 발현하였으며 과소 CaO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건조수축은 낮아져 8%를 첨가할 경우 –200×10-6으로 나타나 건조수축 제어에 효과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4.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공학적으로 우수한 건설산업 부산물이며, 최근들어 환경부하 저감 및 사용 활성화를 위해 대단위 슬래그 치 환 콘크리트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표 강도를 50 MPa로 설정하고 고로슬래그미분말 치환률을 65%로 고려한 대단위 치환 슬 래그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건조수축특성과 초지재령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3 수준의 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슬럼프 플로우, 강도, 건조 및 자기수축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를 100% 함유한 콘크리트(OPC 100)에 비하여 재령 7일전의 강 도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슬래그 치환 배합은 수화에 필요한 충분한 자유수를 가졌으므로 28일 재령에서는 우수한 강도 발현을 나타내었다. 또 한 재령 3일까지 큰 자기수축으로 인하여, OPC 100 배합에서는 건조수축이 크게 평가되었지만, 65%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치환한 배합에서는 초기재령의 자기수축 성능이 개선되어 우수한 건조수축거동을 나타내었다. 특히 단순 질량 치환배합(BS 65)보다 물-결합재비(0.27)와 단위수 량(163kg/m3)을 낮춘 OPTBS 65에서 더욱 우수한 건조수축 및 자기수축 거동을 나타내었다.
        105.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in order to reduce self-weight of structural elements, the use of SCP(Steel Concrete Plate) is getting increased. Since SCP has complicated sectional shape and includes large amount of studs, the use of shrinkage reduction concrete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to prevent the restrained shrinkage behavior by stud, the effects of using expansive agent (EA)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SRA) was investigated.
        106.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research to investigate the drying shrinkage properties of mortar containing the fly-ash and glycol-ether shrinkage reducing agent. the drying shrinkage of mortar was measured according to KS F 2424. It was confirmed from test results that 10% fly-ash replacement and 1% shrinkage reducing agent is most effective to decrease the shrinkage of mortar
        107.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compressive strength and propose a dry shrinkage strain equation being able to predict dry shrinkage of alkali-activated materials(AAM) mortar samples manufactured using fly-ash(FA) an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GGBFS). The main parameters investigated were the GGBFS replace ratios(30, 50, 70 and 100%) and sodium silicate modules(Ms[SiO2/Na2O] 1.0, 1.5 and 2.0).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AM increased with increases GGBFS replace ratios or Ms contents. The dry shrinkage strain of AAM decreased with increases Ms contents. But, the dry shrinkage strain of AAM increased as the GGBFS replace ratio increases. Therefore, the GGBFS replace ratio seems to have very significant and important consequences for the mix design of the AAM mortar. The results indicated the R-square of sing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each mix properties was the highest value; 0.7539~0.9786(average 0.9359). And the presumption equation of dry shrinkage strain with all variables(GGBFS, Ms and material age) has higher accuracy and its R-square was 0.8020 at initial curing temperature 23 degrees Celsius and 0.8018 at initial curuing temperature 70 degrees Celsius.
        108.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in order to reduce self-weight of structural elements, the use of SCP(Steel Concrete Plate) is getting increased. Since SCP has complicated sectional shape and includes large amount of studs, the use of shrinkage reduction concrete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to prevent the restrained shrinkage behavior by stud, the effects of using expansive agent (EA)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SRA) was investigated.
        109.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research to investigate the drying shrinkage properties of mortar containing the fly-ash and glycol-ether shrinkage reducing agent. the drying shrinkage of mortar was measured according to KS F 2424. It was confirmed from test results that 10% fly-ash replacement and 1% shrinkage reducing agent is most effective to decrease the shrinkage of mortar.
        110.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 건축재료 중 하나인 천연 황토 모르타르에 사용되어 온 해초풀과 현대적 재료인 고흡수성수지 (Superabsorbent Polymer, SAP)와 같은 흡수성 물질이 이러한 모르타르의 건조수축과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흡수성 물질과 더불어 문화재표준시방서에서 권고하는 초기 밀봉양생의 효과 역시 검토되었다. 실험에 의한 28일 압축강도와 수렴한 건조수축 변형율의 검 토 결과, 우선 초기 7일간의 밀봉 양생은 강도향상과 수축저감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문화재표준시방서의 권고는 합리적이며 실효성이 있 는 것으로 검증된다. 흡수성 물질의 혼입 역시 두 재료특성에 있어 효과적인데, 그 효과는 물질들의 흡수 능력에 의존한다. 따라서, 흡수 능력이 더 높은 SAP을 사용하는 것이 해초풀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초기 밀봉양생과 물이 추가 되지 않는 조건들이 함께 따라야 한다. 마지막으로, 황토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의 증가는 건조수축의 감소와 선형적으로 관계한다. 이러한 선형 상관성에 의해, 초기밀봉 양생 또는 흡수성 물질의 혼입에 따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증가하는 원인이 정량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111.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개착식 전력구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부등건조수축에 의한 균열특성을 파악하고, 수축저감제 혼입에 따른 건조수 축균열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력구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등건조수축에 의한 균열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세 가지 주요영향인자를 고려한 수치해석과 수치해석을 한 결과와 실제 전력구 타설을 하여 측정한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로부터 건조 수축 시험체에 대한 건조수축량을 산정에 대한 해석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전력구 타설 실험을 통해 종방향 및 횡방향 균열발생 가능성을 입증 하였다. 전력구 실증시험체 건조수축량 수치해석 결과, 균열저감 콘크리트 배합의 경우 종방향 및 횡방향 응력에 있어 일반배합에 비해 40~50%정도의 현저한 감소를 보이며, 이에 따라 균열저감 콘크리트를 전력구에 적용하였을 경우 현저한 균열감소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112.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construction sites there are many cases that concrete is cured in a dry condition, without being moistured, after form have been removed. Consequently such curing condition causes cracks on concrete. In this study is to observe when applied ERCO(Emulsified Refined Cooking Oil) coating on concrete surfaces after removal of form, affects water evaporation and Shrinkage of high-strength mortar.
        113.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개착식 전력구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부등건조수축에 의한 균열특성을 파악하고, 그 제어방법을 제시하는데 있 다. 건조수축균열은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확산계수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수분확산계수는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수분이동속도를 결정하는 주요인자이다. 수분확산계수와 더불어 콘크리트 표면의 표면계수와 외부의 상대습도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외부로의 수분이동에 영향을 미친 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력구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등건조수축에 의한 균열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세 가지 주요영향인자를 고려 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수분확산계수와 표면계수가 증가할수록 상부슬래브의 부등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발생시점이 빨라 지며, 세 가지 요인 중에 콘크리트의 부등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발생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기습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개착식 전력구 시공시에 콘크리트 타설 후 표면보습이나 살수양생과 같이 외기습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부등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제어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콘크리트 재료적 측면의 균열저감방법으로 수분확산계수와 표면계수를 결정하는 콘크리트 의 배합이나 재료특성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균열의 진전속도나 발생시점을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14.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rinkage of ternary blended concrete based on low-heat cement for reducing the heat of hydration. The main parameters were water-to-binder ratio and curing temperature(5, 20, 40℃).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hrinkage significantly was influenced by water-to-binder ratio than binder type. The shrinkage strain of all of the mixture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uring temperature.
        115.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MgO를 0~16% 사용한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시멘트 (AASC)의 강도와 건조수축 특성에 관안 연구이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GGBFS)는 KOH를 활성화제로 사용하였고, 활성화제의 농도는 2M과 4M이다. MgO는 GGBFS의 중량에 대해 치환하였고 물-결합재 비 (w/b)는 0.5이다. 실험결과, 높은 MgO 치환율은 높은 수화반응으로 모든 재령에서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압축강도와 초음파속도 (UPV)는 MgO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AASC의 건조수축은 MgO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SEM 결과를 통해 높은 양의 MgO 시험체는 치밀한 반응 생성물질이 만들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16.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ry shrinkage of concrete is occurred due to the cement hydration and water evaporation from early ages, and it induces crack of concrete. In this study, shrinkage according to sand-aggregate and water-binder ratio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prediction models. From the results, when sand-aggregate ratio and unit water content increase, dry shrinkage of concrete increase. But, it showed that existing prediction models do not reflect shrinkage of concrete, well.
        117.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developments in technology, the use of complex composite section, such as composite truss girder is increasing. These sections, the tensile stress will be generated internal and external constraints caused by other materials. Thus, the effects of the panel point on the concrete slab was studied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118.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prevent tendon from corrosion and to provide a sufficient bond between tendon and concrete, post-tensioning grout has been used. But, the normal mixture with w/c ratio of 0.40 and add the expansive agent for 1% was not support for specification(BS EN 445) compliance. Thus, it should add some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to improve the properties. Therefore, based on this test result, not only evaluation of bleeding, volume change, fluidity, and compressive strength, but also estimation of the shrinkage of post-tensioning grout under restrained condition remains as a pressing need.
        119.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utogenous shrinkage isn't currently defined in Korean Highway Bridge Specifications. Accordingly, the structur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reflect the contents on the autogenous shrinkage of the Eurocode(fib Bulletin 55 : Model code 2010). As a result, we examined the possible initial crack caused by the autogenous shrinkage.
        120.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comprehensive efforts to reduce CO2 gases and CO2 reduction can be expected using a limestone powder as a admixture in concrete. In this study, Drying shringkage of concrete using a large amount of limestone powder was evaluated.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