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4

        10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Korea native plants of south-east of Mt. Gumsan in the summer was 32 families and 77 species, then the compositae had the largest species as 16. The pteridaceae was I species. The south-west of Mt. Gumsan was 32 families and 72 species. The gramineae was 9 species, and selaginellaceae and aspidiaceae was 1 species, respectively. The north-east of Mt. Gumsan was 42 families and 100 species. The compositae was 9 species, and aspidiaceae was 5, polypodiaceae was 2, and pteridaceae was 1 species, respectively. The north-west of Mt. Gumsan was 43 families and 135 species. The compositae was 24 species, and aspidiaceae was 3, pteridaceae was 2, and lycopodiacea was 1 species, respectively.
        104.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Korea native plants of south-east of Mt. Gumsan in the spring was 13 families and 31 species. The liliaceae was 10 species, the largest plants of them. The south-west of Mt Gumsan was 13 families and 23 species, the orchidaceae and cyperaceae were 5 species, respectively. Selaginellaceae was 2 species and polypodiaceae was 1 species. The north-east of Mt. Gumsan was 15 families and 32 species, Fumariaceae was 5 species and aspidiaceae was 1 species. The north-west of Mt. Gumsan was 29 families and 68 species, among of them, the compositae was 9 species. Aspleniaceae, lycopodiaceae, and aspidiaceae was 1 species, respectively.
        10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management and restoration efforts using the plants promote the disturbed habitats such as a set-asides or field boundaries. But, side effects are coming out because of using the exotic plants in restoration proc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native plant species used for restoration through the vegetation survey and plant community analysis at small stream-side in rural villages. We surveyed at two small stream-sides in open field and high land area in 2005 as a case study. Total 126 species was found at small stream side in open field area. As the result of important value' calculation, Persicaria thunbergii 23.0%, Humulus japonicus 18.6%, Phragmites communis 4.4%, Bromus japonicus 4.2%, and Rosa multiflora 3.4% were in the order of important value. Total 92 species were found at small stream side in high land area. As the result of important value' calculation, Dactylis glomerata 16.1%,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11.0%, Persicaria thunbergii 10.9%, Humulus japonicus 9.3%, Phragmites japonica 5.2% and Phragmites communis 3.5% were in the order of important value. We selected some plant species to use in restoration after due consideration of problems of exotic plant and high coverage and density species, and ecological process; Persicaria thunberii, Phragmites communis, Bromus japonicus, Rosa multiflora, Equisetum arvense, Digtaria sanguinalis, Impatiens textori,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n open field stream-side,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ersicaria thunbergii, Phragmites japonica, Phragmites communis, Artemisia selengensis, Panicum bisulcatum, Rorippa indica, and Equisetum arvense at hghland stream-side. We will verify the selected native plants and plan the utilization of the native plants in restoration at stream-side in rural village.
        106.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cquire the draft data for the artificial wetland greening. The aquatic flora was investigated in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Hantaek Botanical Garden. As a result, total 40 species, 22 families, 32 genus were classified. The dominant species were Cyperaceae, Gramineae and Compositeae. For artificial wetland greening, hydrophyte of 6 species(Acorus asiaticus var. angustatus, Lythrum ances, Lobelia sessilifolia,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Typha orientalis) were planted in the size of the artificial wetland to be 0.5 meters in width, 1 meters in length, and 0.05 meters depth. Two months after planting, the ornamental value showed in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Lythrum ances for optimum results. The covering rate of nine months after planting was Typha orientalis 87.5% and Lythrum ances 80.3%. Whereas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displayed 15.4%, and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and Lobelia sessilifolia appeared 16.7 % and 20 % respectively. The height of plant was the higest in Typha orientalis and smallest in Lobelia sessilifolia.
        107.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algal assay procedure using an indigenous phytoplankton assemblage was tested to estimate the propagation of red tide phytoplankton species and determine the optimal time interval at which to measure growth yield in eutrophic marine waters where red tides frequently occur. Various red tide phytoplankton species were propagated on a large scale by adding nitrogen or phosphorous. This procedure was useful for estimating the limiting nutrient, elucidating the mechanisms underlying red tides, and determining the levels of increases in organic matter in eutrophic coastal waters. The algal assay using indigenous C. polykrikoides showed that this species did not always propagate, apparently because of very low concentrations of trigger el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its growth, rather than as a result of othe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g., water temperature or stress from sampling. In the winter, when water temperatures are lower than in spring, summer, or autumn, maximum propagation and the limiting nutrient could be estimated by measuring phytoplankton biomass at 2–3-day intervals. However, in the other seasons, when water temperatures are higher, phytoplankton biomass should be measured at 2-day intervals. In particular, daily monitoring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precise growth yields in warm seasons.
        110.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 내 연못을 조성할 때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주요 수생식물의 인공연못에서의 환경적응력, 피복도, 줄기 신장량, 관상가치를 조사하고, 식재 전 인공연못 내 토양과 수질 환경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식재 1개월 후 9월 11일 조사에서 관상가치가 가장 좋았던 것은 수련이었으며 어리연꽃과 부들, 왜개 연꽃이 그 다음으로 높았다. 창포와 노랑어리연꽃은 다소 떨어졌으며 특히 창포는 9월에 잎 끝이 마르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2개월 후에는 부들의 식재 1개월 후의 피복율은 노랑어리 연꽃이 85.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어리연꽃으로 48% 이었다. 그러나 2개월 후에는 수련이 92.3%, 노랑어리연꽃이 91%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간 줄기 신장량 부들이 가장 컸고, 왜개 연꽃이 가장 작았다.
        111.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3종의 천연 자생물의 ethanol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Hydrogen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유근피가 99.72%로 가장 높았으며, 율무 > 가지 > 삼지구엽초 순으로 높았다.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오배자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70.33%로 매우 높았고, 피마자 > 가지 > 유근피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Paper disk diffusion법에 의해 측정한 항균활성은 오배자 추출물이 모든 균종에서 가장 강한 항균활성 (16.0-19.0 mm)을, 솔잎, 결명자, 세신, 은행 추출물 순으로 모든 균종에서 9.5-11.5 mm 정도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약쑥은 Listeria monocytogenes 종을 제외한 실험균주에서 9.0-10.0 mm의 높은 항균성을 보였다. 삼백초는 Bacillus subtilus, Stapylococcus aureus, Escherchia coli, Samonella entetotidis의 균종에서 선택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23종 자생식물자원의 항산화활성과 항균효과를 비교한 결과, 유근피, 가지, 피마자, 오배자, 솔잎이 hydrogen radical 소거능,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항균효과가 매우 높은 식물자원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112.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반도 모시풀속 식물의 이용과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현지관찰로서 자생 분포지, 생육지 환경특성 및 혼생식물종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왜모시풀, 개모시풀, 좀깨잎나무, 풀거북꼬리는 거의 전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으며, 야생화된 모시풀은 충남 이남에 자라고, 왕모시풀과 긴잎모시풀은 남부지역에만 자생하고 있었다. 2. 조사대상 모시풀속 식물의 혼생식물은 평균 124.9종류였으며, 중요치가 높은 공통의 혼생식물은 쑥이었다. 3. 모시풀속 식물간에 공유하는 혼생식물은 개모시풀과 좀깨잎나무간이 49.0%로서 최고의 공통종을 나타낸 반면에 모시풀과 풀거북꼬리간이 21.6%의 최저 공통종이었다. 4. 자생지의 연평균강수량은 1100 mm~1390 mm, 연평균기온은 11.3℃~13.7℃ 범위이었으며,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가 평균 5.3에서 7.2 범위로서 약산성 또는 약알칼리성을 띠었으며, 유기물함량은 모시풀이 다른 모시풀속 식물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또한 K과 Na 함량은 각각의 모시풀속 식물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2O5와 Ca 및 Mg은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113.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 자원의 발굴과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의 확보를 위해 2005년 3월 초부터 동년 7월 중순까지 식물도감과 산채관련 문헌에 나타난 식용가능 자생식물과 재래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산채류의 종류 수와 식용부위, 식용여부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자생식물을 대상으로 문헌상 식용이 가능하거나 산채용으로 유통되고 있는 식물을 조사한 결과 71과 547종류였다. 식용 가능 자생식물로 조사된 547종류 중에는 국화과가 127종, 백합과 59종, 산형과 26종, 미나리아재비과 24종, 십자화과 23종, 장미과 21종, 꿀풀과가 20종, 초롱과가 20종, 기타과 순으로 많았다. 산채류를 초본과 목본으로 구분한 결과 90% 이상이 초본으로 나타났다. 식용부위는 어린순과 잎, 엽병 등을 이용하는 것이 475종(86.8%), 뿌리와 잎 등 식물체 전체를 이용하는 것이 38종(7.0%), 뿌리 또는 지하경, 인경 등을 이용하는 것이 23종(4.2%), 꽃 등 기타 부위를 이용하는 것이 11종(2.0%)이었다. 식용 가능 자생식물 547종류 중 식물도감에 식용 가능한 것으로 표기된 것은 521종류, 식물도감에는 없고 산채관련 문헌에만 있는 것은 17종류였으며, 갯개미자리, 방풍, 합다리나무는 식물도감이나 산채관련 문헌에는 없었으나 재래시장에서 유통되고 있었다. 식용 가능한 547종류의 자생식물 중 3종류 이상의 산채 관련 문헌에 나타난 것은 81종류였는데 이중 28종류만이 시장에서 관찰되었고, 29종류는 유통되지 않고 있었다. 경남, 전남 및 전북의 재래시장과 5일장에서 관찰된 산채 종류 수는 70종류로 식용 가능한 식물로 조사된 547종의 12.8%에 해당되었다. 시장에서 관찰된 산채 종류의 과는 국화과(23종, 42.0%), 백합과(8종, 14.6%), 산형과(6종, 11.0%)가 주류를 이루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구분 기준에 의하면 식용 가능 자생식물로 구분된 547종류 중 127종은 식용 가능, 22종은 식용이 불가능, 나머지 398종은 불확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114.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식물상과 초본군락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자생지 복원 및 보전대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상 조사결과, 가장 많은 분류군을 보인 지역은 괴산군 율지리(III)로 48과 91속 99종 15변종 등 총 114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가장 적은 지역은 진천군 용정리(V)로 28과 49속 47종 7변종 등 총 5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초본군락의 우점종은 환삼덩굴과 쑥(괴산군 추점리 I), 주름조개풀(괴산군 송덕리 II와 영동읍 매천리 IV), 대사초·칡·쑥(괴산군 율지리 III), 덩굴닭의장풀(진천군 용정리 V), 조릿대(부안군 중계리 VI)로 확인되었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쑥과 대사초, 조릿대와 김의털, 조릿대와 청미래덩굴, 김의털과 청미래덩굴이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유사도지수 분석결과, 유사도지수가 가장 높은 것은 III과 VI지역으로 27.27%를 보였다. 환경요인과 식물종수간의 회귀분석 결과, 해발고도와 식물종수의 설명력은 약 70.0%였다.
        117.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 전역에서 수집한 7종의 자생 둥굴레로부터 genomic DNA을 추출한 후 Operon random primer(10-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재현성이 있으면서 polymorphism을 보이는 19개의 primer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primer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된 DNA의 크기는 3000~300 bp이었고, 19개의 random primer에서 복제된 전체 band의 수는 114개에서 157개로 공시종간에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band의 유무에 근거한 유연관계 분석에서 7개의 공시종은 각시둥굴레와 층층둥굴레가 1개군으로, 여타 종들을 1개군으로 크게 2개군으로 분리되어 유전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8.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정서와 친숙한 우수한 자생식물 중 아파트 베란다 화단에 활용 가능한 초종선발을 목적으로 화분형으로 식재하여 생육과 관상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산호수, 애란, 바위취, 풍란은 베란다 용기화단에 식재 시 생육이 안정되고 관상가치가 높아 실내식물로 이용하기 적합한 식물로 판단되었다. 바위솔, 좀비비추, 무늬둥굴레, 나도풍란, 우산나물은 생육이 조금 불안정하였으나 베란다 화단용 식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동의나물은 생육이 불량하여 실내식물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