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0

        10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mainly inquired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hang-aelgool' through 38 cases(with 161 Ssang-chang) of annex and pavillion buildings in Yeong-nam region which are built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method of inquiry included actual survey of windows along with bibliographical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term 'Chang-aelgool' as an indication of the window-forming frame in 'YeongGeonUiGwe'(1680 A.D), it is apparent that the term 'Chang-aelgool' was widely used in Korea from the late 17th century. Second, the 'Chang-aelgool' of study objects a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Type Ⅰ and Ⅱ are comprised of mitre-joints which cover the 4 corners of 'Chang-aelgool' and mainly used in building annex and pavillion buildings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Type Ⅲ was widely used during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and drastically dropped in number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dynasty. Type Ⅳ is comprised of mitre-joint of the upper-half, tenon-jointing of the lower-half and widely used in annex and pavillion building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Third, the form of 'Chang-aelgool' has changed from rectangular form with longer width during the early period of Chosun dynasty to square form during the middle period and eventually ended up as a rectangular form with longer height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dynasty. Fourth, it is considered that while mullion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Chang-aelgool' was mainly used around the main floored room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became commonly used in main floored room and 'ondol' rooms during the middle period and drastically dropped in number from then and ended up being not in use after the mid 18th century.
        5,500원
        10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정적 톤과, 영감을 일으키는 리듬과 구문으로 된, 󰡔탑󰡕(1928년)과 󰡔나선형 계단과 기타 시들󰡕(1933년)은 우울함과 분노로 차 있으나, 절망을 거부하는 힘으로, 비통함에서 긍정적 정신을 짜낸다. 한 마디로 이런 특징을 정의하면, 확신−즉, 수사적, 극적, 자기 극화적, 영웅적−확신이라 할 수 있는데, 시인은 이것으로 경험의 공적, 사적 영역 사이의 놀라운 결합을 만들어 낸다.
        5,800원
        103.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타이어와 포장노면과의 마찰음을 측정하기 위해서 기존 연구를 통해 신뢰성 및 일관성이 검증된 NCPX(Noble Close Proximity)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교면포장형식에 대해 소음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번에 실시한 측정은 표면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였다. 서울시 내부순환도로의 교면포장 일부 구간을 대상으로 포장형식에 따라서 소음측정을 하였으며, 4개의 교면포장형식에 대한 소음특성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실험법임을 알 수 있었다. 시험결과 소음관점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측정을 통해 교면포장 표면조건 및 주행속도에 따라 타이어와 포장노면과의 마찰음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1/3 옥타브 밴드 해석을 실시한 결과에 있어 교면포장의 종류에 따라 시공전후로 소음특성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04.
        2012.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06.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TP 코드는 국제해사기구에서 채택한 화재시험방법에 관한 국제코드(FTP Code)를 말한다. 현행 화재시험절차 코드(FTP Code)는 MSC 67('96.12)에서 승인되어 98년 7월 1일에 발효되었고, 2000년과 2004년도에 일부 부분적으로 개정되어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다. FTP code 는 기본적으로 시험절차 및 기준을 ISO에 따르도록 되어있으나, ISO는 2∼3년을 주기로 새로운 버전의 규격으로 개정된 반면, FTP Code는 개 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FP(방화전문위원회)에서는 ISO 신규 규격과 FTP Code의 일치를 위하여 2006년부터 논의를 시작하여 FP 54차 회의에서 2010 FTP Code를 최종 완료하였고, MSC 88차에서 채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998년에 발효된 이후에 수차례 개정 논의를 통해 2010년 11월 MSC 88차에서 전면 개정되고 채택된 2010 FTP Code에 대하여 주요 변경사항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4,000원
        10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대교량의 실현을 논함에 있어서 보강거더의 플러터 안정화는 필수적인 검토 항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거더의 등가비정상공기력계수의 개념에 기초하여 연성플러터를 안정화하는 해석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등가비정상공기력계수는 교축방향으로의 서로 다른 형상의 보강거더 배치와 구조계의 진동모드에 영향을 받는다. 우선, 평행식 및 모노듀오 형식 초장대 현수교를 대상으로 평판의 비정상공기력계수를 이용하여 대칭 및 역대칭 1차 연직/비틀림 진동모드에 대한 연성플러터 특성 분석 및 플러터 안정화 개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모노듀오 초장대 현수교의 연성플러터 안정화 방안으로서, 그레이팅 거더 및 평판 단면을 이용하여 교축방향으로의 효과적인 배치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4,000원
        108.
        2011.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쇼팽 발라드의 형식적 “단일 연속 구조”에 관한 연구로서 형식 구조를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반복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새로운 반복기법의 체계는 병렬(juxtaposition), 대칭(symmetry), 순환(circulation)으로 분류되는데 본 논문에서 병렬반복은 동일하거나 약간의 변화가 가해진 상태 그리고 표면적으로 이질적인 것이 동일한 구조 안에서 동일한 화성 구조를 반복하는 경우로 분류된다. 대칭반복은 반복 주체가 반복되어 반복 대상과 서로 대칭을 형성하는 반복으로 이는 단일 대칭을 포함하여 2원적인 차원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순환반복은 일정한 부분이 주기적으로 재등장하는 반복을 의미하며 본 논문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단락들 간에 순환 주체가 장식되어 변주되거나 부가적인 부분이 동반되는 경우로 분류된다. 본 논문은 병렬, 대칭, 순환의 반복기법이 어떠한 상호 보완적 관계를 형성하며 형식적“단일 연속 구조”를 형성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쇼팽의 발라드들에서는 반복기법 중 한 가지를 작품의 거시적 구조를 형성하는 주된 기법으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이를 구성하는 부차적인 구성 원리로 작용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반복기법의 분류에 의하면 쇼팽 발라드 4곡은 형식적 “단일 연속 구조”를 형성하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작품 38은 병렬 구조로, 작품 47은 2중적 대칭 구조로, 작품 23은 병렬반복으로 보완된 대칭 구조로, 작품 52는 형식 구조와 조성 구조가 모두 대칭을 형성하는 2원적 복합 대칭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각기 고유한 “단일 연속 구조”를 형성함을 밝힐 수 있었다.
        6,100원
        10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호남지역 지석묘의 형식과 구조에서 탁자식 지석묘, 주형지석의 지석묘, 거대한 상석에 석실이 없는 상징 지석묘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이를 통해 분묘 이외의 기능으로 가매장시설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호남지역에서 발견된 탁자식 지석묘의 특징은 상석이 1m 이상으로 두터워지고, 지상에 드러난 석실 고도 1m 이내로 낮아지며, 단독입지보다는 군집에서 1기씩만 존재한다. 주형지석 지석묘의 특징은 사각기둥형의 지석이 직육면체의 상석을 받치고 있는 것으로, 고창과 영광지역에서 성행한 지역색이 강한 형태이다. 주형 지석 4개가 기본이며, 지석간의 거리는 장축이 2.5m 내외, 단축이 1.0-2.0m로 훨씬 넓은 편이고, 상석 상면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 호남지역 지석묘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수 십톤에 이르는 거대한 상석을 가진 기반식 지석묘이다. 이러한 지석묘는 혈연이나 지연 집단의 상징적인 구조물로, 여러 집단들의 협동과 결속력을 다지기 위해 어떤 상징적인 기념물의 필요에 따라 일정한 지역 내에서 거족적인 행사의 일환으로 건립되었다. 상징 지석묘는 단독으로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군집묘역의 한쪽에 치우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거나 묘역의 중심부에 있다. 지형적으로 계곡 위쪽이거나 약간 높은 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문헌에 보이는 고대의 장례습속은 가매장이나 풍장, 가옥에 시신을 보관하는 풍습이 있었고, 오랜기간에 걸쳐 장례절차가 행해졌다. 지석묘에 나타난 가매장시설은 1면의 개폐가 용이한 탁자식 지석묘, 50cm 이상인 주형지석을 한 지석묘, 판석으로 깐 묘역을 가진 대형의 기반식 지석묘에서 확인된다. 이 지석묘들은 상석 하면과 지면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마련된 점, 매장시설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 시신을 보관하는데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 점이 공통점이다. 특히 판석으로 깐 중앙부의 규모가장 2m 내외이고, 폭 100cm 내외인 점에 주목된다. 이 공간 범위는 시상대 또는 관대의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즉 매장의례가 치루기 전까지 사자의 시신을 목관이나 염습을 통해 일정기간 보관하였던 곳으로 상정한 것이다.
        7,700원
        110.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형식주의비평은 예이츠 연구에서 비교적 주변적 역할을 하고 있다. 최고의 시인이라는 명성이 기교적 탁월함에 근거한다는 일반적 인식을 고려할 때, 이것은 좀 놀랍다. 최근에, 그러나, 벤들러의 선도적 연구는 이 비평적 공백을 메우기 시작했다. 이 글은 예이츠 시에서 구체적으로 서정시 장르와 준서정시로 구분하는 벤드러를 논의한다. 본 논문은, 소네트 형식의 5편의 시에서, 마지막 두 행의 변화(turn)와 수욕적 힘의 대두 사이에 결합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관찰은 준서정시의 구분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결론적으로 장르구분의 확인의 한계를 지적한다.
        4,500원
        11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테니슨 이후 가장 기교가 뛰어난 시인으로, 스펜서의 시학, 셸리의 시학을 자신의 시학과 연결 짓는 전통을 소중히 여겼다. 그의 현대시에 대한 공헌은 지대하며, 그는 결코 영문학의 시작법을 버리지 않고, 시어, 신택스, 리듬, 톤을 현대화 시킨다. 그는 “현대 시”(1936)에서 “시란 일상어의 리듬을 다듬은 것이고, 그 리듬을 깊은 정서와 엮어주는 것이다.”고 말한다.
        8,400원
        112.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육에서 교육의 3요소가 중요한 이유는 교육활동에서 이 3요소가 상호 실천적 으로 교섭할 때 교육이 성립되며 그 가치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교육활동이 이루 어지는 상황 속에는 반드시 이 세 가지 요소가 존재하며 이 가운데 어느 것 하나 도 빠지면 교육은 성립되지 않는다. 결국, 교육에서 교육의 3요소는 교육을 성립 시킬 수 있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세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漢文科敎育’및 ‘漢文敎科敎育’은 엄격히 말하면 ‘漢文敎育’과 교육의 3요소에 서 상당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한문과 교육’및 ‘한문교과교육’은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科’혹은 ‘敎科’라는 개념으로 한정된다. 교과로서 ‘漢文敎育’은 교수자 와 학습자가 교육법으로 제한되고 교재 측면에서도 교과서라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문교육이 이루어진다. 즉, ‘한문과 교육’및 ‘한문교과교육’에서 교육을 주도하 는 사람은 ‘교사’이고 교육의 대상은 ‘학생’, 교육내용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다. 또한, 교육의 장소는 법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학교’라는 곳이다. 반면, 정규 학교 교육 이외에 사회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한문교육’은 교수자, 학습자, 교재, 장 소 등에 있어 ‘교과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 및 ‘대학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보다 법적 제한이 적기 때문에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한문교육’=‘한문과 교육’ 및 ‘한문교과교육’이라는 등식은 성립될 수 없으며, ‘한문교육’은 ‘한문과 교육’및 ‘한문교과교육’을 모두 아우르고 두 용어보다 더욱 폭넓은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 런데 때로 ‘한문과 교육’, ‘한문교과교육’, ‘한문교육’의 개념을 모두 정규 학교 교 육 속에서 이루어지는 ‘한문교육’만으로 오해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이러한 문 제점을 인식하고 교육의 3요소에 따라 한문교육을 구분하여 연구영역 설정을 구 체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한문교육’이라는 용어를 보다 세밀화시켜 새로운 용어를 제시하였다. ‘한문교육’은 크게 ‘형식적 한문교육’과 ‘비형식적 한문교육’으로 구분된다. ‘형식 적 한문교육’은 ‘한문교육’보다 작은 범위로 의도적으로, 또는 구체적인 계획에 따 라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교육의 3요소인 교수자, 학습자, 교재 등이 제 한된다. 이 형식적 한문교육은 초·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과 대학에서 교육되는 ‘대학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 그리고 일반 ‘사회 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으로 나누어지며 ‘교과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 및 ‘대학교 육으로서의 한문교육’은 ‘사회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보다 교육의 3요소에서 제한 적이다. 한편, ‘비형식적 한문교육’은 우리 문자생활과 동양문화권이라는 것에 의해 발 생하는 데 교재가 필요하지 않고 사회로부터 받은 사회적 동화라 할 수 있다. 따 라서 문자생활 속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습득되는 한문, 혹은 현판, 간판 등을 통해 습득되는 한문도 한문교육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비형식적 한문교육도 ‘한문교육’의 일환으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6,400원
        11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ISO/IEC JTC1 SC24 표준화 그룹과 Web3D Consortium에 의해 제정된 국제표준인 H-Anim 을 이용하여 캐릭터 애니메이션 데이터의 교환 형식을 정의한다. 현재의 H-Anim 에서는 현재 인간형 캐릭터 구조의 전송이나 저장에 필요한 계층적 데이터 구조를 X3D 기반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캐릭터의 움직임 표현이나 전송을 위한 애니메이션 데이터에 대해서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H-Anim 명세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파라미터값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H-Anim 의 기능을 확장하였다. 캐릭터 애니메이션 정의 방법은 모션 캡처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위한 데이터 형식을 새롭게 정의하고 새로운 캐릭터가 이를 입력 받아 모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캐릭터 애니메이션 데이터 형식은 네트워크 게임이나 서로 다른 응용들 사이에서 캐릭터 애니메이션 데이터들간의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300원
        11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실무에서 입체교차로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로의 계획 교통량, 지형, 공사비, 주변 입체교차로와의 간격 등을 근거로 해서 결정하고 있지만, 문제는 같은 입력조건을 갖고도 설계자의 주관적 판단이나 발주부서의 요구 사항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입체교차로 유형을 객관적으로 결정하여 입력조건이 같다면 항상 일정한 유형을 찾아내는 유형 선정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 국내에 존재하는 입체교차로의 형식을 조사했고, 그 결과, 정형화된 기본형식 10개를 선정했다. 그 후 각 형식을 연결로의 형태를 고려하여 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각 입체교차로별로 도로 사용자 비용과 입체교차로 공사비를 고려하여 편익과 비용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입체교차로 유형 선정 방법론은 일관성 있게 입체교차로 형식을 결정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 결과는 향후 도로 설계 실무자들이 입체교차로 형식을 선정하는 과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11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form for the restoration of noogak(樓閣), Boje-roo(普濟樓) which was constructed at the central court of Beomeo-sa(梵魚寺). The results are as follow; 1. Boje-roo was established in 1700. By the constructional records and poetic essays of the times, the architectural form of the establishment building was consisted of two stories structure. The passage system for the approach to the inner court was the nuha-jinip(樓下進入), that is to say, one might walk between the columns of lower story of the building. And one could ascend the upper stairs and approach to the upper level, inner court. 2. By the remodelling in 1812, the building was varied to one story structure. Therefore the passage system for the approach to the inner court transformed from the nuha-jinip to the ugak-jinip(隅角進入), that is to say, one might ascend the stairs of the podium and could approach the inner court through the both sides of the building. 3.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the structure of it's roof and walls of Boje-roo were altered to the Japanese style. In 1965, the wooden columns were shifted to the concreted column, and the wooden wall-panels were shifted to the brick wall attached stone slates. 4. Conclusively speaking, for the restoration of Boje-roo, the establishment form in 1700 is the more proper than the remodelling form in 1812.
        5,200원
        11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amines some formal aspects shown in Allegro movements from Handel`s violin sonatas, comparing with Corelli`s solo violin sonatas, published in 1700. In Corelli`s sonatas, Allegro movements with a repeat sign are more prominent than those without a repeat. In the movements without a repeat, there is no structural dominant at the end of the second main period and no reprise in the beginning of the third main period; on the other hand, in the movements with a repeat, the third main period begins with the reprise in the original key just after the second main period ends with vi or iii. In Handel`s spurious sonatas, HWV 372, 373, 368, 370, reprise is also shown after the cadence over vi or iii. Bu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Handel`s and Corelli`s: In Corelli`s, there is no retransition before the reprise, while the retransition leads to the reprise in Handel`s spurious sonatas. Handel`s reliable sonatas, HWV 361, 364a, 359b, 371, show advanced events in formal aspects, giving distinct differences with his spurious sonatas: they have retransition toward the structural dominant and reprise, which are not presented in the suspicious sonatas. This study would provide a logical base to estimate which pieces are real or spurious through the formal analyses.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