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4

        101.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7년 미국으로부터 한국으로 재도입된 한국 원산 재래종 콩 293점에 대한 종실 saponin의 함량의 변이를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roup A saponin의 함량은 평균 484.9 ugg1으로 149.8~1279.0 ugg1의 범위이었고, group B saponin의 함량은 평균 3670.0 ugg1으로 2160.1~7868.6 ug1의 범위이었으며, 총 saponin 함량은 평균 4154.9 ugg1으로 2502.8~8764.0ugg1의 범위이었다. 2. Gruop B saponin 함량과 총 saponin 함량이 높은 5점은 IT226841, IT226761, IT226844, IT226826 및 IT22 8534이었고, 이중에서 IT226841이 group B saponin 함량이 7868.5 ugg1, 총 saponin 함량이 8764.0 ugg1] 로서 가장 높았다. 3. Group A saponin 함량과 총 saponin 함량 간에(r=0.5119), 그리고 group A와 group B saponin 함량 간에(r=0.3708)는 정의 상관관계, group B와 총 saponin함량 간에(r=0.9876)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이었다. 4. 수집지역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북한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경기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충청북도,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의 순으로 높았으며, 경상남도, 전라북도 및 전라남도가 낮은 경향이었다. 5. 종실크기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소립종이 중립종과 대립종보다 높았고, 중립종과 대립종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황색, 검정색, 녹색 및 갈색의 종피색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103.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교육을 전인적으로 실시하는 대표적인 활동교육으로서 아동원예전문가(Junior master gardener)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원예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이 필요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아동원예전문가(JMG) 프로그램의 개념 및 내용을 분석하고 특성을 규명하며, 국내 원예교육과정 및 한국 JMG 프로그램과 비교・분석하여 국내 원예교육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내 Cooperative extension에 소속되어 있는 아동 원예관련 프로그램과 JM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원예교육 프로그램과 국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JMG 프로그램 분석 준거를 마련하여 관련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JMG 프로그램의 특성 및 내용 분석 결과, 통합교과적 교육내용을 추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과정지향적인 교육체계, 체험활동 중심 교육, 단계적 교육구조의 특성, 학년별 구분, 인증제 및 리더교육의 단계화의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학교 원예교육 현황 및 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교육내용 중 대표적으로 학교 원예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실과교육 내용의 현황 중 대별되는 문제점으로는 교육내용의 감소, 기술 지향적 교육목표 및 내용, 학생 및 지도자 교육기회 부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아동들에게 원예교육 기회를 현실적으로 늘릴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JMG 프로그램 구조 중 통합교과적 교육내용의 추구, 학년별 구분, 체험활동 중심교육에 대한 내용을 연계한다면 원예교육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현재 JMG 프로그램은 국립과천과학관과 한택식물원 등의 교육장에서 어린이 및 청소년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으며 JMG에서 추구하는 다양한 체험 활동 위주의 프로그램은 국내 교육과정에 있어 창의적 재량활동에도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식물과 정원활동을 통한 키우기, 가꾸기, 감상하기 등의 오감자극 활동을 적극 시도하여 이론의 전달이 놀이 활동 형식으로 이루어져 대상자들에게 지식을 쉽게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향후 원예산업 전반이 기술 지향적이며 고도의 산업화를 지향해야 함은 명백한 일이지만 최소한 인간 중심의 원예분야인 학교원예 분야에서는 과정 지향적이며 활동목표를 중심으로 한 아동원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104.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국 수수 수집종의 작물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부분의 미국 수수 수집종은 200 cm 이상의 큰 초장을 보였으며, 간경 또한 2cm 이상의 값을 나타냈다. 수수 수집종 중에서는 Sweet-N-Sterile(#4)이 가장 우량한 수수의 생장 특성을 보였다. 수수의 DPPH를 이용한 활성 검정 결과, Premium stock(#1), Early Sumac(#7), SS Silage(#9), WGF Grain Sorghum(#11) 4개의 수집종에서 기존의 항산화제인 α-tocopherol과 BHA와 비슷한 활성을 보였고 BHT보다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미생물 실험결과 BMR Gold I(#3)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Escherichia coli에서 125 μg/ml으로 높은 활성수치를 나타냈다.
        105.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국 LA 컬버시티에 소재한 라발로나 초등학교에서 5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6주 동안 진행된 G러닝 수학 수업의 구성 과정과 그 효과성을 제시하였다. G러닝 수학 수업을 구성하기 위해 G러닝 콘텐츠의 개발, 수업의 구성, G러닝 수학 수업의 교수학습 모형, 교재개발 그리고 교사연수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기획된 G러닝 수학 수업의 결과 수업반의 수학 성적은 약 12점 상승하여 비교반보다 높은 향상도를 보였으며, 하위집단은 22점, 상위 집단은 9점이 향상되었다. 또한, 수업 이후 G러닝에 대한 참여 학생의 흥미도와 효과에 대한 인지도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10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는 하천의 제방고를 계산된 계획홍수위에 확정론적인 여유고를 더하여 산정한다. 이에 반해 미국에서는 여유고와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론적인 방법을 조건에 따라 적용하여 경제적인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제방고를 결정한다. 미국에서 제방고 산정에 사용되는 구체적인 확률 개념은 조건부 비 초과 확률로서, 이는 특정한 빈도의 홍수가 발생할 때 목표 수위를 초과하지 않을 확률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현행 제방고 산정 기준과 미국 기준을 비교하기 위해
        109.
        200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is herbaceous perennial plants indigenous to North American forests. This is highly valued as medicinal herbs with a long history of collection from wild populations since 1716. Wild American ginseng distributed from Quebec in Canada to northern Florida in USA. A heavy concentration is found in the Appalachian mountains, although wild American ginseng is considered endangered. The price paid for field cultivated ginseng has dropped dramatically in the past 10 years, while the price for wild or woods cultivated ginseng has rised significantly. The price curve for ginseng resembles a roller coaster, reflecting not only supply and demand but many other factors. This information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American ginseng compared to Korean ginseng.
        111.
        200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ole of transport on aerosol concentration at Crate Lake, Oregon USA for 1988.3~1999. 5. The IMPROVE program is a cooperative measurement effort governed by a steering committee composed of representatives from USA federal and regional-state organizations. Also IMPROVE sampler is designed to obtain a complete signature of the composition of the airborne particles affecting visibility. According to 10-day backward isentropic trajectory analysis, the frequency of local, marine and Asian trajectory showed 33.1%(335 cases), 47%(478 cases), 5.2%(53 cases) respectively. The monthly variation of nss SO42-, nss S, NO3-, K and C showed the double peak pattern, high in April~May and August~September and showed the lowest concentration in Winter. The other constituents concentration except for Cl-, Na, Mg was high in local trajectory than marine trajectory. A ratio nss SO42- to SO42- was 90.5% in marine trajectory and 98% in local trajectory. It suggest that the aerosol in Crater Lake was effected by salt. The annual mean concentration of nss SO42- and nss S decreased but the the springtime concentration increased.
        112.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eka Peak is a unique site for monitoring the background chemistry and aerosol contents of pristine marine air at mid-latitude. During long-range onshore winds that occur frequently throughout the year, it is predicted to have the cleanest air in the northern hemisphere. Measurements of CO and O3 were conducted at Cheeka Peak Observatory(CPO) on the northwestern tip of Washington state, USA during March 6 ~May 29, 2001. The data have been segregated to quantify the mixing ratio of these species in the Pacific marine atmosphere. Also the marine air masses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10-day backward isentropic trajectories; high, mid, and low latitude and those which had crossed over the Asian industrial region. The diurnal variation of CO and O3 at CPO showed a similar to tendency of background measurement site. When marine air mass flowed to CPO, CO concentration was lower and O3 was similar or higher than those of total data. The westerly flow from ocean, not easterly from continent occurred the high concentration of CO and O3 at CPO. Using the trajectory segregation of marine air mass, the comparison of concentration according to latitude calculated. the CO concentration of Asian trajectory was lower than other latitudes, O3 concentration was higher.
        113.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국 메사추세츠 북중부에 산출되는 데본기 리틀톤층(Littleton Formation)의 남정석-십자석-석류석대에서 채취한 석류석 반상변정의 화학적 누대구조는 여러 번의 성장 단계를 경험했음을 보여준다. 석류석 반상변정들은 비대칭적이고 불규칙적인 Mn, Mg, Ca의 누대구조를 보인다. 조직대 경계부에서 석류석 성분들은 단면선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고, XMn 과 Fe/(Fe+Mg)비의 역전 누대구조는 석류석내의 내부엽리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준다. 이런 관찰 사항들은 석류석 누대구조가 석류석을 형성/소모시키는 반응뿐만 아니라, 용해작용과 침전작용과 관련된 기존의 미세구조에 의해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화학적 그리고 조직적 잘림구조의 관계 그리고 저자가 제안한 석류석 성장모델은 석류석 누대구조가 엽리의 발달 동안 전단 응력대에서 일어나는 선택적 용해작용과 압축 운동대에서 발생하는 침전작용에 의해 조절되었음을 지시한다.
        114.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otal of 24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coastal region and fronting of sea cliff on Cape Cod in southeastern Massachusett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According to the result of grain-size analysis, the overall trend of grain size decreases from the north(Wood End Beach) to the south(Nauset Light Beach). The coarser materials tend to be deposited at the foreshore than at the backshore. Especially gravel content(%) is very high in northern beaches. The gravel fraction tended to concentrate at the toe of the beach. In addition to gravel, the beach and nearshore bar also tended to be deposite of very coarse sand and the finer fraction accumulate in the offshore bar. Grain-size analyses of sediment indicates that the coarsest sands including gravel accumulate in the beach and nearshore bar, the finer fraction winnowed out by wave action to be deposited in the offshore bar. The beach and nearshore bar sands and gravel are subsequently transported laterally by the wave-driven longshore drift, and finally they come to rest in the distal end of Provincetown Hook. The finer offshore sands are trnasported laterally to the south by net southward-directed longshore curr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