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

        101.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ynthesis of and NiSi has been investigated by mechanical alloying (MA) of Ni-27.9at%Si, Ni-33.3at%Si and Ni-50.0at%Si powder mixtures. As-received and premilled elemental powders were subjected to MA. The as-received Ni powder was spherical and the mean particle size 48.8m, whereas the premilled Ni powder was flaky and the mean particle diameter and thickness were found to be 125 and 5m, respectively. The mean surface area of the premilled Mi powder particle was 3.5 times as large as that of the as-received Ni powder particle. The as-received Si powder was was 10.0m. Self-propagating high-temperature synthesis (SHS) reaction, followed by a slow reaction (a solid state diffusion), was observed to produce each Ni silicide during MA of the as-received elemental powders. In other word , the reactants and product coexisted for a long period of MA of time. Only SHS reaction was, however, observed to produce each Ni silicide during MA of the premilled elemental powders, indicating that each Ni sillicide formed rather abruptly at a short period of MA time. The mechanisms and reaction rates for the formation of the Ni silicides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the elemental powder particle size and shape as well as the heat of formation of the products longrightarrow-43.1kJ/mol.at., -47.6kJ/mol.at.).
        4,000원
        102.
        1999.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0.1~1.2μm 압도분포를 갖는 미세 Al2O3를 이용하여 플라츠마 용사한 후 상업용 용사분말(Metco 105)과 용사층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미세조직은 미세 Al2O3층이 상업용분말보다 더 치밀하였고 용샤층의 평균 표면조도 (Ra)는 미세 Al2O3의 경우에 5.3μm로 상업용 분말 (Ra=8.2μm) 보다 작은 값을 보였으며, 용사층 평균 splat 두께는 1.4μm 였다. 또한 용샤층에는 많은 양의 부분 용융입자가 관찰되었다. XRD분석결과 두 분말 모두 용사층을 이루는 주된 상은 γ-Al2O3이였으며 α-Al2O3도 관찰되었다. 용사층에 존재하는 α-Al2O3의 분율은 미세 Al2O3층의 경우 8.39%. 상업용 Al2O3의 경우 13.79%이였다. 미세 경도 값은 두 분말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미세 Al2O3의 경우 큰 경도값 편차를 보였으며 따라서 미세 Al2O3층의 splat의 접합강도는 상업용 Al2O3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03.
        199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구형 입자들의 크기와 형태에 따른 침강 특성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비구형입자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의 침강에서 log μC대 log ε로부터 얻은 기울기 지표n값은 형태와 크기가 다른 입자는 같은 부피 농도에서 흡착되는유체량이 달라져 입자크기가 감소하거나 불균일한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결고 비구형입자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의 침강에서 기울기 지표 ni값에 대하여 ni=n(a+b/dv)와 같은 식을 얻었으며 이때 a, b는 입자형태에 따른 상수이다.
        4,000원
        105.
        202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ediment cores from unvegetated tidal flats in the Hampyeong Bay (west coastal wetland) and Dongdae Bay (south coastal wetland) were sampled, the blue carbon stock in the sediments was calcul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ue carbon stock were analyzed based on particle size of the sediments. The sediments in the Hampyeong Bay tidal flat had large particle size and low mud content, and the Dongdae bay tidal flat had small particle size and high mud content. The organic carbon content and blue carbon stock in the sediments were higher in the Dongdae tidal flat than in the Hampyeong Bay tidal flat.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function, in both the Hampyeong Bay and Dongdae Bay tidal flats, the sediments had the smaller particle size and higher mud contents the higher the organic carbon content and blue carbon stock. The sediments with smaller particle size had the larger specific surface area, so were feasible to adsorb and store more organic matters.
        10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Kenaf (Hibiscus cannabinus L.) is an annual plant rich in phenolics compound and antioxidant activity. Particle size has an enormous effect on extraction of plant bioactive compound. Therefore, to evaluate the optimum particle size on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und from Kenaf was investigated. Methods and Results : Three kind of kenaf leaves; EF-1 and G-1 from Israel and Korea were collected in 2016 and the collected leaves were dried and pulverized are sorted by particle size. After adding 50 ㎖ of 100% ethanol per 0.5 ㎎ of the powder, the powder is extracted in an ultrasonic bath at 30℃ for 1 hour and then stirred for 1 hour at 250 rpm in the wise stirring. After extraction, the extract was filtered using filter paper. In th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higher in 100 to 200 ㎛ particle size of Gandae. On the other hand, phenolic compound, falvonoud and antioxidant were higher in 45 to 100 ㎛ particle size of EF-1 and G-1 Kenaf.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the Israel varieties showed the best results compared to the Kenaf varieties of Korea. Among them, EF-1 had a particle size of 45 – 100 ㎛ Showed the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t is believed that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the larger the specific surface area,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kenaf.
        10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netration performance of Surface Protection Material(SPM)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ine aggregate. The fine three types of aggregates were used, and the amounts of SPM were applied 0.13, 0.25, 0.36, and 0.51 kg/㎡.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netration depth of SPM were improved with increasing the amounts of application of SPM. And The penetration depth of SPM were improved with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passing weight of size of sieve between 0 and 1.25mm.
        10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reports the absorption capacity of super-absorbent polymer (SAP) in water and cement pore solution. This was considered for the free water requirement for self-desiccation when the amount of internal water reduced. The physical state of particles selected from a super-absorbent polymer sample with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150 μm (SAP-I) and less than 850 μm (SAP-II) monomers acrylic acid were tested at SAP 0.1g contents and time in minute 0.5, 1, 3, 5, 10, 30, and 60. The test was determined by using tea bag test method. As a result, the size of the polymers particl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bsorption kinetics of these polyacrylate-based polymers.
        109.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활석은 T-O-T 구조의 함수 마그네슘 층상규산염 광물로서, 화학적 안정성과 흡착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첨가제, 코팅제 등으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 나노 복합체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로서 활석 나노입자가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에너지 볼 밀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활석 나노입자를 형성하고, 분쇄시간에 따른 입자크기 및 결정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X-선 회절 분석 결과, 분쇄가 진행됨에 따라 활석의 피크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720분 분쇄 후, 활석은 비정질에 가까운 X-선 회절패턴을 보여준다. 레이저회절 입도 분석 결과, 약12 μm이었던 활석의 입도는 분쇄가 진행됨에 따라 약 0.45 μm까지 감소하였으나, 120분 이상 분쇄를진행하여도 뚜렷한 입도의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BET 비표면적은 분쇄 720분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분쇄에 따른 입도 또는 형태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남을 지시한다.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720분 분쇄 후 약 100~300 nm 내외의 층상형 입자들이 마이크로 스케일의응집체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분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활석의 입자크기 및 형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지만, 나노입자의 특성상 재응집이 일어나 마이크로 크기의 응집체를 형성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또한 활석의 분쇄에서 판의 크기, 즉 a축, b축 방향의 길이는 감소 한계가 존재하며, 분쇄가 진행될수록 판의 두께, 즉 c축 방향의 길이 감소가 주된 분쇄 메커니즘으로 생각된다. 본연구의 결과는 나노 활석의 형성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고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0.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쌀귀리의 식품산업 이용률을 높이고자 쌀귀리를 입도별로 제조하여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쌀귀리의 조 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이 각각 15.7%, 10.0% 및 1.8%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이들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비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cystine(58.3 mg%), β-aminoisobutyric acid(53.8 mg%) 등,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phenylalanine(8.6 mg%)과 histidine (12.2 mg%)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전분, 아밀로스, 손상전분, 총 식이섬유, β-glucan 및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56.4%, 21.4%, 11.7%, 11.0%, 4.7% 및 2,555.3 mg%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총 전분, 아밀로스 및 손상전분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에 총 식이섬유 와 β-glucan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색도는 L 값이 75.3, a 값이 0.3 및 b 값이 13.1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L 값은 증가하였으나 a와 b 값은 감소하였다. 호화특성은 최고점도가 263.8 RVU, 최저점도가 155.6 RVU 및 최종점도가 399.3 RVU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는 증가하였다. TPC, TFC 및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cation assay 및 reducing power) 은 각각 237.8 μg/g, 90.9 μg/g, 57.3%, 53.4% 및 0.23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은 감소 하였다. 한편 TPC와 TFC에 관한 각 항산화 활성의 결정계수(correlation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값이 각각 0.87 이상과 0.81 이상으로 나타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상관성을 보였다.
        111.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n interpretation of existing jamming effects,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the increase in stiffness due to jamming are known as system density, jamming density, pressure, and particulate temperature. The main variable, jamming dens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and contact properties such as particle shape and friction. However, the complexity of these variables makes it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jamming effect.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jamming effects of particles that have more elastic properties than particles such as sand and coffee powder, which are commonly used as constituent particles of existing jamming, in order to reduce complicated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concentrate on jamming effects based on elastic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t was experimentall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stiffness by mixing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rather than simply increasing the bending stiffness by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Through simulations and experiments, we found a case where the stiffness of each particle size distribution is larger than the stiffness of each particle size.
        11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sing of the recycled aggregates is strongly promoted to use the national resources efficiently and enhance the recycling rate of construction wastes. However, the negative impact is expected by the alkalinity elution characteristic to the water quality and soil ecology in the region where could be contacted by water like ground water, river, area nearby coast, and etc. For this reason, we developed the pH test method to use the recycled aggregate in the drainage layer and analyse the pH concentration of the sort of time change and particle size. By the ‘Korean Standard Method for Waste’, the pH concentration was ranged from 10.78 to 11.72, by the ‘Korean Standard Method for Soil’, the pH concentration was ranged from 10.73 to 11.97, by the developed pH test in this study, the pH concentration was ranged from 10.82 to 11.7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H concentration in relation to the stirring time and the spread of particle size.
        114.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chopped and non-chopped rice straw on characteristics of silage-basedtotal mixed ration (TMR)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laceration, and in situ dry matter (DM) degradation. The threerice straw silages as low moisture unchopped (LMUC; 32.75% of moisture, unchopped), high moisture unchopped(HMUC; 42.05% of moisture, unchopped), and high moisture chopped (HMC; 44.71% of moisture, chopped to 30cmlengths) were tested. Samples were collected at every 5 minutes from 10 min of pre-mixing to 50 min. The percentageof >19mm in LMUC and HMC was decreased to 7.23% and 7.74% (p<0.05), respectively, and the percentage of 8mm>was increased to 5.81% and 5.24%,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laceration of forage by a TMR mixer showed that therewas little change in the reduction of 1.26% in HMC, but was reduced to 7.53% and 16.06% in LMUC and HMUC,respectively. The peNDF>8 was maintained 17~18.5% of the optimal requirement level for 15 to 45 min mixing in LMUCand for 30 to 50 min mixing in HMC, but it exceeded the level of peNDF>8 in the range of 21.49 to 22.53% for 50minmixing in HMUC. However, ruminal in situ DM degradation appeared as LMUC>HMUC>HMC. Therefore, theseresults suggest that the rice straw silage may be useful for high-yielding lactating cows, if it can be supplied with theadequate peNDF, and the limiting factor on DMI and DM degradation was reduced by crushing of the plant tissue, althoughthe rice straw silage was concerned to low quality forage.
        115.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nd particle size on the flowability and strength of UHPC.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sand with the particle size of 0.45~0.89 mm led to the best performance in those properties of UHPC.
        116.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nsure the high carbon conversion in a short residence time in a coal slurry entrained gasifier, the objectiveof this study lies i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portant variables to influence on the complex reacting flow and therebyto clarify the physical feature occurring inside the gasifier using a comprehensive gasifier computer program. To this end,the gasification process of a 1.0ton/day gasifier is numerically modeled using the code of Fluent and systematicallyinvestigated with the change of major design and operation parameters. Special emphasis is given on the effect of theparticle size distribution on the gasification process, since it is associated with various length and time scales via multi-phase and with complex reacting flows. Three different particle sizes are tested for a given coal mass flow rate, the firstis 70µm mean diameter with Rosin-Rammler distribution based on the actual measurement. But in the other two casestwo uniform mean particle diameters are employed, that is, very fine 1µm and 70µm with mean diameter itself. Thecalculation results of these three cases show quite different flow pattern, temperature and reacting flows probably causedby the different particle trajectory as well as reaction rate. However, the results obtained can be explained in a consistentmanner with particle size.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presence of coal particle, the diameter of which is larger thanthat of mean diameter of Rosin-Rammler distribution, shows a significantly retarded gasification reaction in a gasifier,even if its mass fraction is less than 50%.
        117.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HEC-RAS의 하상변동모형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유사가 중소규모의 저수지에 유입하여 삼각주를 형성하는 과정을 유사의 입도분포를 고려하여 해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삼각주의 시공간적인 분포와 년간 저수지에 퇴적되는 입도별 퇴사량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저수지의 특정위치에서 특정시기에 어떤 입도의 유사가 주로 퇴적되는지를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사의 입도분포를 고려한 모의와 분석은 수자원관련 시설물의 계획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18.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검정찰옥수수 종실을 일반분쇄와 저온미세분쇄를 하여 입자크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과 cytotoxicity를 평가하여 이용성 증진을 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쇄 정도에 따른 평균값은 일반분쇄가 473.7um , 저온미세분쇄 17.2um 이었으며 중간값은 336.9um 와 13.4um 를 나타내었다. 2. TEAC 활성 측정 결과 일반분쇄는 3.87umol TE/g로서 저온미세분쇄 5.15umol TE/g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다. FRAP 활성 측정에서는 저온미세분쇄가 10.08umol Fe(II)/g로 일반분쇄 8.86umol Fe(II)/g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3. 간암 세포주(Hep-G2) 성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은 1 mg/ml 농도에서 검정찰옥수수 종실을 일반분쇄(31.48%)한 것보다 저온미세분쇄(27.41%)를 한 경우가 암세포 생장 억제 효과를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에서는 1 mg/ml에서 분쇄정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방암 세포주(MCF-7)에서는 일반분쇄가 미세분쇄보다 높은 생장억제를 보였다.
        119.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수염을 일반분쇄기와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얻은 5단계의 다른 입자 크기의 옥수수수염 분말을 각각의 입자 크기별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여 최적의 입자크기를 찾고 우수한 가공법을 확립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된 옥수수수염을 일반적 분쇄 방법과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5단계의 입자크기는 각각 199.17um , 178.27um , 85.48um , 27.04um 및 20.97um 로 가장 큰 입자 크기와 가장 작은 입자 크기와는 약 10배 가량 입자크기의 차이가 있었다. 2. 입자크기별 옥수수수염 분말의 색차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명도와 황색도의 수치가 커졌다. 3. 또한 입자크기별 옥수수 수염 분말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300배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확대한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입자의 모양은 다각형의 모양을 보였다. 4. 입자크기별 옥수수수염 분말의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조단백질 함량과 유리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조섬유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은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수치가 줄어들었고, 조지방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 유리당 함량은 입자크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입자크기별 옥수수수염 분말의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 모두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수치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6. 옥수수수염 분말의 입자크기에 따른 ascorbic acid equivalents는 입자크기간의 수치적으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서로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EAC 실험과 FRAP 실험에서는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수치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7. 옥수수수염 분말의 입자크기, 색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서로 유의적 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명도, 적색도, 황색도, 총 페놀 함량, ascorbic acid equivalents, TEAC에서 고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120.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 상태로 존재하는 하천의 대부분은 단일 하천이 아닌 여러 개의 지류가 본류와 만나는 복잡한 연결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일 하천에서와는 달리 합류부를 중심으로 매우 복잡한 흐름 특성 및 지형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유입 유사로 인해 형성된 사주에는 식생의 고착화로 통수 단면적이 축소되고, 수위 상승에 따른 배수 효과도 발생되어 치수 안전도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이렇듯 합류부에서의 정확한 흐름 특성 및 하상 변동의 특성 분석은 본래 하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2차원 수치모형을 활용하여 합류부의 하상변동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여러 입력변수 중 하상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 가능한 유사 입경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낙동강과 금호강의 합류부를 대상 구간으로 선정하였으며, 먼저 기본적인 유속 및 수위 등의 하도 특성량을 산정하여 합류부의 흐름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흐름장에 유사 입자를 입력하여 하상 변동 분석을 수행하였다. 입도분석을 통해 산정된 대상 하천의 평균입경(Case 2)과 최대 크기의 입자(Case 3:통과율 90~100%)가 하도로 유입되는 경우와 최소 크기의 입자(Case 1:통과율 0~10%)가 유입되는 경우에 대하여 하상의 변동 양상을 분석하여 실제 측량 자료와 비교하였다. 합류부에 형성된 지류사주, 정체구간 및 배수위 영향으로 합류부에 접근할수록 유속은 감소하고, 수위는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상 변동은 Case 1이 -0.36~1.38m, Case 2는 -0.18~1.88m, Case 3에서 -0.04~1.43m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소된 유속에 영향으로 3개의 경우에서 모두 퇴적이 우세한 특성이 나타났다. 하상에 특성 중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최심 하상고의 비교에서도 같은 결과가 산정되었다. 실제 측량자료와의 비교에서는 Case 2의 평균 입경으로 모의한 결과가 가장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퇴적이 우세한 특성에 비추어 다소 과대 산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속되는 연구를 통해 다양한 구간과 입경별 모의조건의 민감도에 대해서 수치모형을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모니터링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