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4

        10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reptomyces is the largest genus of Actinobacteria that forms fungus-like branched networks of hyphae. Streptomyces has been clinically important because they produce various secondary metabolites with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nematocidal activities. In order to explore novel insecticidal compounds, extracts from 363 strains of Actinobacteria were screened for their juvenoid and anti-juvenoid activities using yeast-two hybrid system. Among them, extract of Streptomyces spp. showed high anti-juvenoid activity. This extract also showed high level of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larvae of Aedes albopictus, Laodelphax striatellus, and Ostrinia furnacali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econdary metabolites of Streptomyces could be natural sources of novel insecticidal compounds.
        10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larvae and to acquire useful biological information of insect larvae through rearing from 1997 to 2016 in HECRI(Holoce Ecosystem Conservation Research Institution). Total 148 species belonging to 16 families were collected and 45 species belonging to 12 families identified. Among identified species monophagous caterpillars dependent on maple tree were 16 species belonging to 6 families, polyphagous 29 species belonging to 9 families. The dominant family is Geometridae(50 species), second is Noctuidae(26 species) and followed by Tortricidae(18 species).
        10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리에 있어 Cucumber mosaic virus(CMV) 바이러스 저항 성 육종을 위해 주요 모본 및 부본으로 이용한 우수 유전자원 에 대해 바이러스 저항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바이러스 접종 원은 CMV-Taean으로 농업과학원에서 분양 받아 담배에 증식 하여 접종하였다. 바이러스 접종 식물체는 조직배양을 이용 하여 ‘Connecticut King’, ‘Party Diamond’, ‘Prato’, ‘Casa Blanca’, ‘Mona’, ‘Dublin’, ‘Rodrigo’, ‘Brunello’, ‘Avocado’ 품 종과 ‘FA08-17’ 계통에 대해 바이러스 무병주를 생산하여 실 험에 이용하였다. 바이러스 접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접종 횟수를 1회와 2회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인산염 버퍼의 pH 를 6.9, 7.2, 7.5로 달리하여 접종하였다. 2회 접종, 인산염의 pH 6.9에서 접종 성공률이 높았다. ‘Casa Blanca’, ‘Avocado’ 품종의 잎에서 약한 모자이크와 노란색의 mottle 증상이 관측 되었으며 ‘Brunello’, ‘Rodrigo’, ‘FA08-17’에서 Hypersensitive response like 반응이 관찰되었다. ‘Brunello’, ‘Rodrigo’ 품종 에서 RT-PCR 검정 결과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결과 바이 러스가 검출되었던 ‘Connecticut King’, ‘Prato’, ‘Casa Blanca’ 의 경우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흡광도 가 낮게 나타났다. RT-PCR과 ELISA 검사 결과 잎과 구근에 서 CMV 검출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나리에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 TOM1, OBE2, DND1 유 전자를 대상으로 발현 분석을 하였으나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4,000원
        10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지버섯의 유효성분 중, 특이적으로 영지버섯에서 검출되는 저분자 성분이며, 다양한 효능을 보이는 ganoderic acid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보유중인 영지균주를 열수, 주 정, 메탄올의 용매로 추출하였고, 추출용매별 ganoderic acid A, F, H의 성분이 많은 것을 선정하였다. 추출용매별 로 ganoderic acid A의 함량이 많은 5균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열수 추출물에서는 ASI 7013이 0.988 mg/g으로 가 장 높았고 다음으로, ASI 7023, 7059, 7026, 7060순 이었 다. 주정 추출물에서는 ASI 7037이 0.940 mg/g으로 가장 높았고, ASI 7021, 7034, 7026, 7038순 이었다.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ASI 7162가 0.833 mg/g으로 가장 높았고, ASI 7091, 7032, 7056, 7125순 이었다. 다음으로 ganoderic acid F의 함량이 많은 5균주는 다음과 같다. 열수 추출물 에서는 ASI 7101이 0.722 mg/g으로 가장 높았고, ASI 7113, 7011, 7104순 이었다. 주정 추출물에서는 ASI 7037 이 0.811 mg/g으로 가장 높았고, ASI 7007, 7027, 7012, 7014순 이었다.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ASI 7154가 0.657 mg/g으로 가장 높았고, ASI 7151, 7155, 7137, 7139순 이었다. 마지막으로 ganoderic acid H의 함량이 많은 5균 주는 다음과 같다. 열수 추출물에서는 ASI 7013이 0.985 mg/g으로 가장 높았고, ASI 7059, 7135, 7001, 7141순 이었다. 주정 추출물에서는 ASI 7106이 2.842 mg/g으로 가장 높았고, ASI 7089, 7159, 7007, 7002순 이었다. 메 탄올 추출물에서는 ASI 7003이 6.969 mg/g으로 가장 높 았고, ASI 7034, 7169, 7159, 7103순 이었다. 이렇게 추 출용매별로 ganoderic acid 함량의 차이는 추출용매의 극 성에 따른 용해도의 차이로 생각되어지며, 향후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iriomyza leafminer flies comprise a pest group that causes both considerable economic losses and serious quarantine problems. To investigate Liriomyza spp. abundance and distribution along with natural enemies, we surveyed of leafminer (LM) species and its natural enemies (NE) on potato crop from 146 farmers’ field in the potato growing provinces during 2015. Sweeping (10 sweeps/ field) and visual inspection were employed within 5 minute-walking distance, and damaged leaflets (10 leaflets/ field) were collected in each field. Leafminer species were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its NE was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techniques. L. huidobrensis was the most dominant Liriomyza species. Distribution of L. huidobrensis on potato fields was expanding. Highest potato fields were infested with leafminer in southern parts of country. Highest rate (100%) field damage was recorded in Miryang, Namwon, Henam, and Boseong. Overall, NE species collected constituted of 4 families and 18 and 20 species in sweeping, and damaged samples respectively. There was a rich complex of parasitoid species including 20 species (13 species of Eulophidae family). The endoparasitoid, Braconid sp., Ganaspidium sp., and ectoparasitoid, Diglyphus isaea were dominant species in sweeping. While Diglyphus isaea, Hemiptarsenus varicornis, and the Braconid sp. were most dominant species collected from damaged samples. The number and diversity of parasitoid species in potato crop in Korea provides insight into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ontrol strategies of invasive LM pests in the field, and glasshouse crops.
        10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t caterpillars, the larvae of butterflies and moths(Lepidoptera), are herbivorous. Even though their major role in the ecosystem, details of biology are poorly known for most specie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larvae and to acquire useful biological information of insect larvae through rearing from 1997 to 2015 in HECRI(Holoce Ecosystem Conservation Research Institution). From 2012, 2013, 2014 we are carrying out ‘Larvae Identification and Specimen Security of Primary Endemic Moths in Korea Peninsula through Rearing’ supported by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 Of these this study is the list about special caterpillars feeding on the foliage wild peach (Prunus spp.) Total 209 species belonging to 15 families were collected and 52 species belonging to 13 families identified. Among them wild peach dependent monophagous caterpillars are 17 species belonging to 9 families, oligophagous 1 species belonging to 1 families and polyphagous 34 species belonging to 9 families. The dominant family is Geometridae(65 species), second is Noctuidae(57 species) and followed by Pyralidae(21 species).
        108.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유리알락하늘소(ALB; Anoplophora glabripennis) 및 알락하늘소(CLB; A. chinensis)는 동북아시아로부터 북미 및 유럽으로 침입한 해충으로 북미지역에서 도심 가로수 및 산림에 심각한 위협을 주고 있다. 이들 알락하늘소류에 대한 전문적인 기생천적을 탐색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15년 현재까지 전남 고흥, 순천, 경남 김해, 울산, 경기 포천, 강원 인제에서 산란 받은 Sentinel log를 이용하여 알 및 유충에 기생하는 천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14년 경기 포천에서 CLB 1령 유충의 외부기생벌인 고치벌 일종Spathius sp., 2015년 전남 순천에서 CLB 1령 유충의 외부기생벌인 개미침벌(Sclerodermus harmandi), 울산에서 ALB 알의 내부기생벌인 좀벌 일종Aprostocetus sp.가 확인되었다. 이 중 개미침벌은 이미 중국에서 대량방사하여 이용되고 있으나 기주특이성이 없어 알락하늘소류의 전문적인 기생천적으로써 효과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 본 조사에서 채집된 고치벌 일종인 Spathius sp.와 좀벌 일종인 Aprostocetus sp.에 대하여 알락하늘소류의 전문적인 기생천적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109.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sex ratio, and natural enemies and nesting competition insects of mason bees, Osmia spp. in 32 apple orchards during 2006 to 2008. The rate of bee nested was 14.0±1.7%. The rate of fauna nested were Osmia spp., 66.0%, natural enemies, 21.7% and nesting competition insects, 11.6%. We collected five species of Osmia spp. consisting of Osmia cornifrons, O. pedicornis, O. taurus, O. satoi and O. jacoti. In case of collected five Osmia spp, O. cornifrons was 69.6%, which was the dominant species and O. pedicornis was 13.0% and O. taurus was 11.2%, respectively. The collecting rate of Osmia spp.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year and 10 locations. The sex ratio of Osmia spp. were 1:1.9 in O. cornifrons, 1:5.1 in O. pedicornis and 1:2.2 in O. taurus. The sex ratio of O. cornifrons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year and 10 locations. Seven species of natural enemies that attack Osmia spp. were collected in apple orchard. Trogoderma and Chaetodactylus showed the highest rates with 48% and 38% among 7 natural enemies. Also, we collected nine species of nesting competition insects. Anterhynchium flavomaginatum showed the highest rates with 38.6% among 9 nesting competition insects.
        110.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W. cibaria 0D17와 W. confuse 0D23를 생화학적 특성 분석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동정하였으며, W. cibaria 0D17와 W. confuse 0D23 배양 상등액이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간 정량 PCR을 통해 W. cibaria 0D17 및 W. confusa 0D23가 L. monocytogenes 를 공동 배양했을 때의 생육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37℃에서는 생육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김치 유래 Weissella spp. 가 갖는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활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며, W. cibaria 0D17 및 W. confusa 0D23가 생산하는 bacteriocin 등의 항균 물질 특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 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4,000원
        11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농가 소득 작물로서 곰취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두 곰취(적곰취와 달곰)와 기존 재배종 곰취에 대한 향기 성분과 총페놀함량, DPPH 활 성,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하였다. 생체중 100g 당 총페 놀함량은 재배종(137.29mg) 보다 적곰취(158.40mg)와 달곰(180.82mg)에서 현저히 높았다. DPPH 활성은 재배 종(74.45%)과 적곰취(75.59%)보다 달곰(86.26%)에서 다소 높았다. 비타민 C 함량은 재배종과 적곰취 보다 달곰(1.81mg)에서 다소 높았다. 향기 성분인 정유 함량은 재배종에 비하여 적곰취(0.164%), 달곰(0.290%)에서 유의 하게 높았다. GC/MSD 분석의 결과 주요 물질은 재배종 곰취 43종, 적곰취 44종, 달곰 31종이 동정되었으며, N 함유 화합물은 달곰에서만 검출되었다. 향취를 나타내는 주요 6종의 향기 성분 (a-pinene, β-pinene, β-phellandrene, a-phellandrene, 3-carene, limonene) 함량은 재배종에 비하여 적곰취가 높았으며, 달곰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달곰은 총페놀함량, DPPH 활성, 비타민 C 함량, 정 유함량 등에서 재배종 및 적곰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수한 특성을 기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1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eam Blue’는 절화용의 숙근 스타티스로 2009년에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 종간 교잡을 통해 신품종으로 육 성되었다. 2003년 라티폴리아(모본)와 카스피아(부본)의 종 간 교잡을 통하여 당년 11월에 3,240개의 실생계통을 획 득하였고, 2004년 3월에 3,000실생계통을 육묘하여 특성 평가한 결과 절화 볼륨감이 우수하고 진보라 화색의 ‘Sta03-26’을 선발하였다. 2005년 조직배양묘를 번식하였 으며,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 동안 생육과 개화 특성 등 특성검정을 통해 ‘Dream Blue’를 육성하였다. ‘Dream Blue’는 개화습성이 사계성이며, 화형은 산방상 원추형이다. 화경의 분지각은 39정도이고, 잎의 색깔은 진 녹색(RHS G139A)이다. 화경 당 탁엽수는 5.4개 있으 며, 엽장과 엽병장은 짧고, 엽장에 대한 엽병장의 길 이도 짧다. 화색은 진한 보라색(RHS PVN82B) 을 띠 고 있으며, 소화 크기는 작지만 소화수는 ‘Ocean Blue’ 보다 3.7배 많다. 꽃잎수는 5개이며, 암술과 수술은 각 각 5개이다. 꽃대는 진녹색(RHS G125A) 이고, 하단부 에는 고유의 갈색 반점이 있다. 준고냉지 하계 재배에서 개화시기는 ‘Ocean Blue’보다 15일 늦고, 절화중은 화경 당 248g으로 3.7배 무겁다. 2009년 2월 국립 종자원에 품종 등록되었다.
        4,000원
        11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monellosis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concern and a major cause of bacterial foodborne poisoning in Korea. Approximately 95% of salmonellosis cases in humans are related to the intake of contaminated food products, which mostly originate from livestock such as poultry, pigs, and cattle. To successfully develop strategies to reduce the spread of Salmonella,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food animals and meat. In Korea, the prevalence of Salmonella spp. in cattle was 1.2 2.0%, whereas in pigs it was 1.5 21%. Of all livestock and meat products analyzed, the Salmonella isol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chickens (18.8 30.3%) and their meat. Antibiotic resistance is an important social issue. The frequent use of antibiotics in the livestock industry has led to increased antibiotic resistance in Salmonella isolates that are extracted from livestock, which raises serious public health concerns. To prevent the spread of antibiotic resistance, it is essential to collect data related to antibiotic-resistant Salmonella strains isolated from food animals and meat. Antibiotic resistance tests revealed that Salmonella isolated from cattle, pigs, and poultry were highly resistant to tetracycline and streptomycin. Recent studies show that the overuse of antibiotics in food animals can also affect antibiotic resistance in huma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y to successfully prevent misuse of antibiotics within the Korean livestock industry.
        4,000원
        11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산강에서 동계 대증식을 유발하는 Stephanodiscus속의 출현기간과 종 분류를 위해 2012년 12월부터 2013 년 4월까지 주 단위로 21회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동계 영산강에서는 규조류가 절대적으로 우세한 군집을 보였으며, 규조강 중 원형규조 Aulacoseira, Cyclotella, Stephanodiscus속이 주요 출현종으로 동정되었다. 이 중 Stephanodiscus spp.는 극우점 규조류로서 12월 초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1월에 최대 개체수를 나타냈고, 3월까지 높은 분포를 보였다. 기온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4월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반면 녹조강, 남조강, 은편모조강 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우점종은 거의 모든 조사시기에 원형 중심목 규조류 (S. hantzschii)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동정되었으며, 3월 말과 4월 중에는 남조강인 Anabaena sp.와 은편모조강인 Cryptomonas sp.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출현함으로써 계절 변화에 따른 종 천이가 관찰되었다. 조사시기에 출현한 원형 중심목 규조류의 명확한 종 분류를 위해 전자현미경을 통해 동정한 결과, Stephanodiscus속 내의 S. hantzschii가 극우점한 가운데 부분적으로 S. minutulus와 S. parvus 동정되었으며, 그밖에 원형 중심목 규조류에는 Cyclostephanos속의 C. invisitatus와 Cyclotella속의 C. meneghiniana, Discostella속의 D. pseudostelligera, D. woltereckii가 동정되었다.
        4,000원
        11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박 흰가루병은 호박 재배에서 중요한 병중의 하나이다. 호박 흰가루병 발생을 억제한는 최선의 방법은 흰가루병 저항성 유전자원의 선발과 이를 이용한 저항성 품종의 육성 일 것이다. 본 연구는 호박 생산에 걸림돌이 되는 흰가루병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저항성 품종 육성하고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보존되고 있는 유전자원으로부터 흰가루 저항성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흰가루병 저항성 평가를 위해 248점의 유전자원을 흰가루병에 감염된 잎을 가지고 접종하였으며 비닐하우스에서 접종 한달 후에 평가하였다. 호박 흰가루병 저항성으로 Cucurbita maxima 3점과 Cucurbita moschata 1점이 선발되었으며, 5점이 중도저항성으로 평가되었다. 흰가루병 저항성 정도는 표피세포와 큐티클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표피세포와 큐티클층의 두께가 흰가루병균의 침입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저항성 자원 4점은 흰가루병 저항성 육종의 재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1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집된 주름버섯류의 233점의 phylogenic relationship 을 분류하고 자실체형태를 조사하였다. 리보좀 DNA의 ITS 부분의 염기서열을 분석을 통해 38점이 다르게 동정 되었다. 수집된 주름버섯의 계통수에서는 양송이와 여름 양송이가 group A 내에서 주름버섯은 group B에서 가까 운 유연관계를 보였다. 또한 수집된 국가별 및 양송이내 갓색에 따른 유연관계가 있는 지 알아보았으나, 그 차이 는 없었다. 수집된 주름버섯류의 자실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1차, 2차 두 번 재배를 하였다. 이 결과로 주름버섯 류 수집균주의 재배의 유무를 알 수 있었고, 버섯 종류와 시기에 따른 수확량 및 자실체의 특성을 비교를 통해 주 름버섯이 2차 재배시 수확량 및 경도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이며, 양송이 중에는 비백색양송이가 단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름양송이의 초발이 소요일수와 갈 색양송이의 갓 색이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4,000원
        117.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AE Sephadex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Bacillussp. 유래 β-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21.57units/mL 정제배율 95.33배를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38.9kDa으로 결정되었다.정제효소에 의해 Picea abies galactosyl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 FACE 및Timell’s method에 의해 중합도 8, 10으로 결정되었으며,Penicillum purpurogenum유래 정제 β-mannanase와 α-galactosidase를 이용한 enzymatic sequential action에 의해 2가지 가수분해산물 모두 hetero type galactosylglucomannooligo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B. longum, B.bifidum, B. infantis, B. animalis, B. breve, B. adolessentis,B. auglutum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8, 10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배지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8, 10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animalis에서는 중합도 8 galactosyl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 배지와 비교하여 19.5배, 중합도 10에서 18.7배의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ifidum에 대해서는 중합도 8의 경우 15.3배와 중합도10에서 14.3배 그리고 B. longum에서는 중합도 8 galactosyl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MRS배지와 비교하여 중합도 8에서 15.2배, 중합도 10에서13.9배의 상대활성을 우선적으로 나타내었다.
        4,000원
        118.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mported Allium hookeri is sometimes infected by some quarantine nematodes like Meloidogyne spp., Pratylenchus spp. Hot water treatment(HWT) is report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disinfection of nematodes. The primary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tolerance of Allium hookeri and lethal temperature of Meloidogyne spp., preferably in the range of 5~30minutes at 48~53℃. Second stage juveniles of Meloidogyne spp. were successfully eliminated in hot water bath treated at 48℃ within 1 minute. Egg hatching was suppressed completely at 48℃ more than 26 minutes. No evidence of growth damage was observed on plants treated with HWT even at 48℃ for 30 minutes and 49℃ for 10 minutes. Therefore, the optimum range of HWT is recommended at 48℃ for 30 minutes and 49℃ for 10 minutes on Allium hookeri infected root-knot(Meloidogyne spp.) nematode.
        11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researches of molecular biology for the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 (RKN)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 plant quarantine. In this study, applicable and reproducible method to extract high quality genomic DNA from single nematode (Meloidogyne spp.) was developed. Also, the modified method was verified by DNA manipulation techniques such as PCR amplification and cloning. Single juvenile was floated in a drop of water and digested with proteinase K for 24 h. After that, DNA was extracted by using distilled water as extraction buffer. PCR amplification was carried out with universal primers spann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to distinguish species. When using the existing DNA detection method, quantification results showed that 42.86% of the deposited DNA was extracted. Whereas the modified DNA extraction method was increased to 100%. When PCR products test the direct sequencing using the ITS rDNA primers, it was also identified as M. javanica, M. incognita, and M. hispanica. Based on the studies conducted, the application of this modified method would be useful and efficient on plant parasitic nematode molecular assay.
        12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t caterpillars, the larvae of butterflies and moths(Lepidoptera), are herbivorous. Sometimes they are regarded as serious agricultural pest that cause to damage agricultural produce, whereas some species such as Bombyx mori is known to be valued as sources of silk. Even though their major role in the ecosystem, details of biology are poorly known for most specie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larvae and to acquire useful biological information of insect larvae through rearing from 1997 to 2014 in HECRI(Holoce Ecosystem Conservation Research Institution). From 2012 HECRI are carrying out ‘Larvae Identification and Specimen Security of Primary Endemic Moths in Korea Peninsula through Rearing’ supported by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 Of these this study is the list about special caterpillars feeding on the foliage Willow Trees (Salix spp.) Total 143 species belonging to 13 famili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69 species belonging to 12 families. Among them Willow Treesdependent monophagous caterpillars are 34 species belonging to 5 families, oligophagous 36 species belonging to 3 families and polyphagous 16 species belonging to 12 families. The dominant family is Geometridae(51 species), second is Noctuidae(35 species) and followed by Notodontidae(21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