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2

        121.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 부위별 및 감귤 주스 가공 후 폐기되는 착즙박을 배지로 하여 재배된 간, 표고, 새송이, 산호침, 참부채 및 영지 버섯) 균사체의 GC/MS에 의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감귤 분말에서 휘발성 물질은 29종류이었는데, , , , caryophyllene, , germacrene-D 및 은 감귤류의 essential oil 중의 성분들이었으나 8-hydroxy-linalool, , tetradecanoic acid 및 pentadeca
        122.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자생 감귤 17종에 대하여 탈색소효과(depigment effect)를 연구하였다. B16 멜라닌 생성세포(B16 melanoma cell)를 이용하여 tyrosinase 및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연구한 결과 대조군 대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3종의 미성숙 온주밀감(immature Citrus unshue), 팔삭(Citrus hassaku), 진지향(Citrus sinensis × reticulata)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와같이 도출된 감귤 추출물을 이용하여 멜라닌 세포 생성(melanogenesis)에 영향을 미치는 tyrosinase, DOPAchrome tautomerase (TRP-2)와 DHICA oxidase (TRP-1) 단백질 발현을 실험한 결과 tyrosinase, TRP-1, TRP-2 단백질 발현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특히 이들 중 미성숙 온주밀감은 tyrosinase와 TRP-1 단백질 발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써 미성숙 온주밀감은 모든 실험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UV에 의해서 야기되는 피부 색소 침착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로서 기대할 수 있다.
        126.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온재배한 한라봉감귤의 물리화학적 성분특성을 검토하였다. 수분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87.42%와 88.12%, 총당은 8.01%와 7.81%, 산 함량은 1.09%와 0.99 %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한라봉과 M16A에서 각각 72.01 와 68.01 mg/100g으로 온주밀감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무기물 함량 중에 K는 한라봉은 1369.33 mg/100g으로 M16A 의 938.33mg/100g에 비해 높았으며, 한라봉은
        127.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온재배한 한라봉감귤의 분포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한라봉은 과중 이 90%를 차지하는데 비하여, 한라봉 변이종인 M16A 품종에서는 나무나이가 어리고 열매솎기의 영향으로 결실 정도가 낮아 을 중심으로 한 큰 과일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M16A의 과일크기가 한라봉에 비하여 컸지만 껍질두께는 오히려 3.29mm로 한라봉의 3.51mm에 비해 얇고 과육과 밀착되어 있었다. 중간 위치에 달려있는 한라봉의 경도가 832.8 g-fo
        128.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과피의 열수, 에탄을 및 설탕 추출방법에 따른 항균활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감귤껍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설탕추출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10(w/v) 설탕용액에서 9일간 추출하였을 때 8종의 균주 모두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최소저해농도는 S. aureus에서 0.5(v/v), B. subtilis, M. luteus 및 E. coli는 1.5%(viv), S. mutans는
        129.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조감귤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건조온도 및 건조시간에 따른 수분함량, 적정산도, 기계적 색도 및 관능적 특성을 중심합성실험계획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분함량, 황색도 및 관능적인 색상의 경우 건조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건조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의 경우 건조시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적인 향 및 맛의 경우 건조온도 및 건조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인
        130.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일류(단감, 감귤, 사과)를 습도조절이 가능한 원적외선방사체 저장고(5의 온도와 90%의 상대습도)에 저장한 결과 과일류의 선도유지기간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중량손실율은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에 저장한 과일류가 중량손실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습도조절이 가능한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에 과일류를 저장함으로서 과일류의 수분손실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정기간동안 원적외선 방사체 저장고에 저장함으로써 as
        132.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생산, 유통되는 주요 과일류인 복숭아, 사과, 배, 단감, 글에 대하여 환경 조건별, 품종별 호흡속도와 증산속도를 분석함으로서 유통중 객관적인 포장 농산물의 감모율의 허용기준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신선 과일류의 호흡특성과 증산특성은 동일 품목이라도 품종과 수확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과일류의 호흡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호흡작용의 과 발생되는 수증기 발생량은 3.55∼107.67mg/kg/h로 골판지 박스의 강도
        133.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를 5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생 감귤을 3년간 구입한 후 감귤의 품질인자로서 색도, 크기(종, 횡), 중량, 균일도, 당도, pH 및 적정산도를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를 이용하여 각 품질인자의 연도별, 지역별 분포를 분석하였다. 감귤의 3년 평균 녹색도(100-황색도)는 2.58%로 대부분이 황색을 띠었으나 편차가 9.04%로 년도별 차이가 심하였다. 종과 횡의 크기는 3년 평균값이 각각 47.64mm 와 56.05mm 이었으며, 중량은 3년
        134.
        2003.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산 하우스 감귤의 유통전 처리에 따른 선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통 중 가용성고형물은 온도조건이나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산 함량 및 경도는 유통초기에 비해 전체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저온유통처리구가 상온유통처리구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고 상온과 저온유통 조건에서 모두 전해산화수 및 왁스코팅 처리가 대조구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과실 내부의 초기 발생량은 1% 내외였지만 상온유통조건에서는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
        135.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귤과피(0.1, 0.5, 1, 2, 4 및 6%)를 함유하는 사과식초, 현미식초 및 감식초의 상온(2) 및 가열(10)에 따른 hesperidin과 naringin의 추출량을 조사함과 동시에 선태성 고혈압 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온 및 가열추출의 경우 hesperidin과 naringin의 함량은 사고식초에 비하여 현미 및 감식초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상온추출 1일에서 hesperidin과 naringin의 추출이 완료
        137.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Citrus flavonoids, hesperetin, hesderidin, naringenin, and naringin, on nonenzymatic lipid peroxidation were studied in three different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Hesperetin showed the most antioxidant effect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by measuring the malondialdehyde production using the thiobarbiturate and thiocyanate methods, the lipid peroxidation of microsomal membranes, and DPPH () metho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flavonoid aglycone forms, hesperetin, Citrus aglycone flavonoid, suggest the most antioxidant effect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and this effect indicate more potent in the aglycones than their corresponding glycosides.
        139.
        199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tal carotenoid contents, color values and spectrum characterization in the range of UV of fruit juice and organic acid and free sugar contents determined by HPLC were investigated on 10 varieties of Cheju citrus fruits. Carotenoid contents of juice were 0.47-9.20/ml which showed higher with Dangyooja while showed lowest content with Meiwa Kumquat. Lightness (L) of juice was highest in Meiwa Kumquat, and in the order of Sankyool, Navel orange and Hungjin. Redness(a) and yellowness(b) were in the order of Dangyooja, Natsudaidai, Sambokam and Kinkoji.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s if citrus Juices were variable at 269.5-285.5nm according to varieties and it was observed that were changed by mixing with Juices of other varieties. Major organic acids of citrus juice were citric and malic acid, and citric acid was 64.4-95.1% of total organic acids. Ascorbic acid was high in Navel orange, Sudachi and Dangyooja, and low in Meiwa Kumquat and Hungjin. Major free sugars were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Sucrose was 49.2-75.2% of total free sugars, and high in Sankyool and Meiwa Kumquat. Glucose and fructose were high in Meiwa Kumquat and Navel Orange.
        140.
        199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tal carbohydrates of Kumquats was 14.69% Kumquats, Citrus natsudaidai, and C. platgmama contained 18.3, 11.1 and 13.0%, of soluble solids, and 42.39, 32.09 and 20.13mg/100g, of vitamin C, respectively. Acid contents of C. natsudaidai and C. plafmama harvested on March 1995 in south Cheju were 2.52% and 0.89% . In preparing of Kumquats-tea, combination of 50% honey and sugar, 5% oligo-sugar, 32% Kumquats slice, 13% juice of C. natsudaidai were the best recipe for sensory evaluation. In C. natsudaidai-tea, combination of 5∼10% peel slice treated at 90 for 1min, 50∼60% concentration of sugar and 35∼40% of flesh of C. natsudaidai were good. for sensory evaluation. Microbial growth was not observed in the sterilized products for more than one month at 30.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