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3

        121.
        1999.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last 10 years, the various type of high speed craft have been greatly developed, and since around of 1990 the large size of high speed passenger and/or cargo vessels are also introduced and took into the service in the various routes over the world. In a marine traffic way some bridge need to build across a rivers, cannals or a waterways. This one will be an obstruction and potential risk of collision in the way of high speed craft. Accordingly some of collision accident have been reported, which were caused by a lost control, wind and hydrodynamic forces, fog or human errors. In this paper a high speed craft having 40 m length is assumed to be collided with a circular type of bridge piers at right angle. The mode of deformation, penetration depth of collapse, impact forces, reduction of speed, loss of kinetic energy, and influence of scantlings, etc. have been calculated in each speed with a time variation to find a maximum values within a limit, and are graphically presented.
        4,000원
        122.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기존 철근콘크리트(RC) 교각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단면강도와 변형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이와같은 특성을 고려한 내진성평가절차를 제시하였다 기존 RC교각의 내진성평가를 위해서는 단면휨강도를 지배하는 구요소인 작용축력과 주철근비 및 주철근강도 주철근 항복후 부재변형성능과 전단강도를 지배하는 횡철근비 및 앵커상세 그리고 주철근 부착파괴를 결정하는 주철근의 이음부위치에 대한 상세조사가 요구된다. 국내기존 RC교각은 대부분 횡철근의 앵커가 부적절하고 주철근의 위치가 소성힌지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휨연성거동을 위한 변형성능이 충분히 확보되어있지 못하다 따라서 여기서 제시된 평가절차는 기존 연속교 고정단교각의 내진성평가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내진보강을 하여 지진에 대한 안전성확보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12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mputer simul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of bridge columns under vehicle impact loading. Firstly, the Preliminary Risk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 next step is necessary. In the next step, the Simplified Risk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risk. According to SRA, if the bridge is confirmed in the category of high risk level, the bridge column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based on the slenderness ratios. Finally, using the five types of bridge columns, the deformation of bridge columns were predicted by conducted collision simulations.
        124.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ven though Korea is located rather far away from the active fault area, it was thought to have never been completely immune from the earthquake hazards. Many historic records and recent Gyeongju seismic indicated that Korea should belong to a moderate or low seismic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for each type, we have chosen 2 reinforced concrete bridge. This paper presents a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existing 2 circular reinforced concrete pier.
        125.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철근콘크리트 교량에 대한 대부분의 내진설계기준들은 전체 교량 시스템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성능보장설계를 암시적 또는 명시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 및 규정들을 명시하는 이유는 교량 전체 시스템에 설계지진하중이 작용하는 동안 철근콘크리트 교각들 이 완전한 소성회전성능을 발휘할 때까지 구조적인 다른 구성요소들의 취성적인 파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철근콘크리트 교량에 대한 내진설계기준들에서는 취성적인 전단파괴를 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성능보장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교각의 연성거동을 보장하기 위한 전단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고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실험체 8개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실험체에서 변위비 1.5%에 서 다수의 휨-전단 균열이 발생되었고 최종단계까지 균열폭이 증가되었고 균열이 진전되었다. 휨-전단 균열의 각도는 부재 축과 42°~ 48°의 범 위로 계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에서 계측된 횡방향철근이 부담하는 전단강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다. 횡방향철근이 부담하는 전단강도, 축력 작용에 의한 전단강도,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 등 3요소에 대해 분석하였고 비교하였다. 실험체들의 콘크리트 응력은 도로 교설계기준의 응력한계를 초과하였다.
        126.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mart strand built-in with core wire were fabricated and submitted to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smart strand at pier structures.
        127.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s effective further to use an easy modeling to reduce an numerical analysis cost. There are three kinds for the way to model a RC(Reinforced Concrete) pier by a FE(Finite Element) modeling, using a Solid element, Plane stress element and Beam element. Pushover analysis was executed to three kinds of modeling and a model was improved to raise the validity to the modeling.
        128.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arried out an investigation about damage characteristic of substructure such as pier and abutment of highway bridge. The applied methodology was the average damage analysis according to service life. By using above methodology, damage characteristic of substructure penetrated water included de-icing salt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area where was under heavy snow exhibited higher amount of average damage than that of the area where was under much less snow.
        129.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ridges have been collapsed due to disaster, and this has required much of expenses. Vehicle collision cause critical damage on Bridges. This paper focus on vehicle collision risk level for highway bridges. In this study use 4 classification, Natural Break based Interval, Equal Interval, Standard Deviation based Interval and Reliability based Interval.
        130.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ridges with damage can be a huge threat to human society. However, AASHTO (2012) and Korean Highway Bridge Design Code (2012) do not account for dynamic impacts for bridge column design under the impact loading. It recommends static force for bridge column design due to high computational cost and analysis time. In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st and time for the dynamic analysis, low dimensional model for the dynamic analysis was developed and residual displacements were compared with direct impact analysis.
        131.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ynamically inelastic analyses on bridge column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Korea bridge design code revised in 2010. To evaluate the effect of ductility demand-based analysis, rectangular and circular sections of bridge columns were selected. It was found that the analysis method shall be applicable to seismic evaluation for conventional structures as well as RC bridges.
        132.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pier system using CFTs. Modular Pier System consist of various prefabricated modules and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components. Research scop include development of standard modules for adjustable to various height, connection between modules, and test bed construction. For the evaluation of this systems’s performance, Many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we develop rapid construction system for site application of modular pier.
        133.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rent design codes (AASHTO, Korean Highway Bridge Design Code) do not account for dynamic effects. Since, the dynamic impact analysis is complicate to recommend and analysis. In this study, concrete bridge column were developed with two boundary conditions in order to take account dynamic behavior of the column and in-direct impact analysis was conducted. Furthermore, a comparison study of in-direct impact analysis with direct impact analysis was conducted.
        134.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경제적이고 내구적인 구조물이지만 철근부식에 따라 성능이 내구적, 구조적 저하하게 된다. 최근들어 내구성설계가 도입되고 있는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은 해수에 같이 노출되더라도, 국부적인 노출환경과 설계방법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본 연구는 3.5년∼4.5년 해수에 노출된 4개의 RC 교각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하여 25개의 콘크리트 코어를 채취하였으며, 전염화물을 평가하여 표면염화물량 및 겉보기 확산계수를 도출하였다. Fick's 2nd Law를 기본으로 한 결정론적 방법과 임계확률을 고려한 확률론적인 방법을 수행하여 내구수명을 각각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확률론적인 방법은 보수적으로 평가되었으며, 같은 구조물이라 하더라도 간만대 및 40.0 m 이상의 비말대에서는 비교적 낮은 내구수명이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코어채취높이에 따른 염화물 거동 분석과 내구성 설계방법의 현시점에서의 한계성이 분석되었다.
        136.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rent design standards (Korea Highway Bridge Design, AASHTO), the dynamic behavior under the impact loading has not been considered, only considered static force for designing bridge column against vehicle collisions. In this study, vehicle collisions to concrete bridge column were developed with various boundary conditions, and a comparison study of direct impact analysis of vehicle to bridge-column with in-direct impact analysis was performed.
        13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일현장타설말뚝교각은 희생강관을 지중에 매입한 후 말뚝부와 교각을 일체화된 철근콘크리트로 형성하는 구조로서 교각과 말뚝 캡의 철근배근 등 연결상세에 따른 시공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항타 말둑과 말뚝 캡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경우에 비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말뚝과 교각의 직경이 동일한 경우 소성힌지가 지표면 이하에 형성되어 지진 작용 후 지반을 굴착하지 않고서는 소성힌지의 형성여부 및 손상 여부를 파악하기 곤란하며 보수 및 보강도 쉽지 않다. 소성힌지가 지표면 이하까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말뚝의 지름을 교각보다 크게 해야 하는데, 이 경우 동일한 지름의 말뚝-교각 일체형 구조에 비하여 소성힌지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므로 콘크리트의 피복박리가 빨리 발생하여 소성회전 능력이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말뚝의 직경이 교각보다 큰 변단면 단일현장타설말뚝교각의 소성힌지영역을 콘크리트 충전 강관(CFT, Concrete-Filled Tube)구조를 활용하여 보강하는 형식, 즉, 말뚝-CFT교각-RC교각을 일체화 연결하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CFT형식은 RC구조에 비해 내진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강재 대비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수용 강재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험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연결구조와 기존 형식의 휨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실험 결과 새롭게 제안된 형식의 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38.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ridge is one of the important infrastructures. If vehicle collision is occurred in bridge column, It can caused for bridge collapse. Bridge columns are vulnerable to impact loadings of Vehicles. In this study, Non-linear dynamic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bridge column in impact loading were performed using LS-Dyna.
        13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ehicle collision is one of cause for structural failure. The increased load carrying capacity of the truck is also a threat for existing structures. Recent studies show the actual shear capacity of the column of bridge is larger than industrial standards. In this study, truck-column collision model was developed and load carrying capacity of a column were evaluated.
        14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교량에 대한 내진설계기준에서는 곡선교 및 비정형성 교량에 대한 상세한 언급이 되어 있지 않다. 곡선교는 곡선반경이 어느 정도 작아지면 직교와는 다른 진동특성을 보이며, 같은 해석모델의 작성방법 또는 지진력의 작용방향에 따라 지진하중에 대한 교량거동의 차이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기하형상을 포함하는 비정형성과 SRC 교각 특성을 갖는 교량의 지진취약도를 해석하였다. 교량 전체 구간 중 램프 및 곡률이 비교적 작아 비정형성이 큰 구간을 해석단면으로 선정하였으며, 구조해석방법으로는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시간이력해석에 필요한 지진파는 강진지역에서 계측된 실측지진파 30개를 사용하였으며, 수직성분을 포함한 3축방향을 고려하였다. SRC교각의 경우 단면해석을 통해 비선형 단면모델(모멘트-곡률모델)을 구성함으로써 교량전체 모델링을 단순화 하는 작업을 통해 반복적인 비선형 시간이력 해석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적 효율을 높였다. 비선형 시간이력 해석을 통해 본 교량의 지진영향평가 결과로 부터 ductility ratio를 활용하여 구조물의 손상상태를 정의하였고, 손상단계별 지진취약도 곡선으로 도출하기 위해 최우도추정법을 활용하였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