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

        121.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2001 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콩나물생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자반립, 열피립 및 미숙립 발생율은 5월 25일 파종이 6월 15일과 7월 5일 파종에 비하여 높았고, 풍산나물콩이 자반립, 열피립 및 미숙립 발생율이 가장 낮았으며 한남콩이 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2. 조단백질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지면서 감소하였고, 5월 25일과 6월 15일 파종에서 다원콩이 가장 높았고 7월 5일 파종에서는 풍산나물콩이 가장 높았다. 조지방함량은 파종기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소명콩이 가장 높았고 다원콩이 가장 낮았다. 3. Isoflavone의 aglycone 함량은 6월 15일 파종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7월 5일파종이 많았으며, 5월 25일파종이 적었고, 품종간에는 소명콩이 가장 많았고 다원콩이 가장 낮았다. 4. 종실의 품질향상을 위한 나물콩의 파종기는 지나친 일찍 또는 늦게 심는 것 보다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22.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il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1,429 germplasms including 1,121 cultivated soybeans for sprout production and 308wild soybeans were analyzed by the NIRS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 method at Yeongnam AgriculturalResearch Institute, M
        123.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out-soybean cultivar, “Jangki” was developed at the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and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05. Jangki was selected from a cross between Eunhakong and MS91088.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124.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나물 생산은 관수방법에 따라 상면살수식과 하면담수식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수방법이 생산수율과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준저리를 공시재료로 상면살수와 하면담수 방식으로 관수방법을 달리하여 콩나물의 생장, 형태, 색도, 전단력과 재배용기내의 온도변화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질과 관련된 세근의 형성은 상면살수 방식보다 하면담수 방식으로 재배할 경우 많았다. 2. 하배축과뿌리 길이를 합한 전체 길이는 관수방법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배축은 상면살수 방적에서 길었던 반면, 뿌리는 하면담수 방식에서 길었다. 하배축 중간과 hook 직경은 상면살수 방식에 비하여 하면담수 방식에서 굵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개체당 자엽, 뿌리 및 전체 생체중과 건물중은 관수방법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하배축의 생계중과 건물중은 상면살수 방식보다는 하면담수 방식으로 재배할 경우 많았다. 4. 재배통 내의 온도는 재배기간 내내 하면담수 방식보다는 상면 살수 방식에서 높았으며, 두 관수방법간 온도 차이는 재배 3일 이후부터 계속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125.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out-soybean cultivar, Sokang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Namhaekong and Camp by the soy-i-als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were carried out from 2000 to 2004. Sokang had a determinate growth habit with white flower,grayish brown pubescen
        126.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나물용 콩 6품종의 파종기에 따른 콩나물 원료콩의 수분흡수율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실 수분흡수율은 파종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에는 한남콩은 높았으나 다른 품종들은 큰 차이가 없었다. 발아율은 5월 25일 파종보다 늦어질수록 높았고, 품종간에는 풍산나물콩, 은하콩, 도레미콩과 소명콩이 치상 2일 후 90~% 이상 이었으며 다원콩과 한남콩은 낮았다. 일반적으로 종자의 발아율 검정은 치상 후 7일간 조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콩나물 원료콩의 발아율 검정은 25±1℃ 에서 3일간의 발아율로 함이 적합하다 하겠다.
        127.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lipoxygenase 결여 품종인 진품콩2호와 lipoxygenase 가 존재하는 광안콩, 소백나물콩, 푸른콩의 교배조합 내의 각 계통의 lipoxygenase 유무를 확인하고 activity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lipoxygenase 결여 나물콩 육성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콩나물 재배일수별 lipoxygenase 여부, 재배일수별 lipoxygenase 활성도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나물 발아율은 대비품종과 계통들간의 큰 차이는 없었지만 정상 발아 개체율 에서는 계통이 63~% 로 낮았으며 T50은 1일로 소백나물콩, 푸른콩(0.6일)보다는 느렸으나 진품콩2호, 광안콩보다는 빨랐다. 2. 콩나물 생육은 치상 후 2일부터 콩나물 전체길이, 배축길이, 배축 직경을 조사한 결과 진품콩2호와 푸른콩 교배 조합 계통의 4537계통(콩나물 전체길이 13.9cm, 배축 길이: 7.3cm, 배축 직경: 2.2mm)이 대비품종들보다 높은 신장성을 보였다. 3. 콩나물의 물성은 치상 후 96시간 후에 hardness, cutting force, masticcation을 측정한 결과 lipoxygenase 결여 계통이 대비품종들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4. 콩나물 재배 일수 별 lipoxygenase band는 자엽부에서는 종실과 같이 lipoxygenase band를 확인 할 수 없었으며 배축부에서 모든 계통과 대비품종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5. 콩나물 재배 일수별 lipoxygenase 활성도는 2일차에 최고로 높았으며, 3일차에 최저치로 낮아진 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6. 각 교배 조합 내에서는 진품콩2호보다 활성도가 낮은 4510, 4522, 4537계통들이 lipoxygenase 결여 콩나물로서의 육종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다.질미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경우 복비의 무처리시 거의 잔디의 초장이 신장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잔디의 피해지역에 복비를 처리할 경우 잔디의 빠른 생장이 이루어졌다. 신초 건물중은 복비 처리전 8월 6일에 비하여 11월 6일에 이스트밸리 LD지역의 무처리구가 1.2~% 감소하였지만 처리구는 50~% 정도가 증가하였다. 지산의 시험 결과도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신초와 뿌리의 비율(S/R)은 처리구의 경우 뿌리보다 신초의 건물중이 더 증가하였지만, 무처리구의 경우 뿌리와 신초의 생장율이 거의 비슷하였다. 포복경과 지하경의 건물중을 합한 R&S의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이스트밸리의 경우 복비를 처리하기 전 8월6일에 무처리구인 LD지역이 처리구인 LD지역에 비하여 5.5~% 정도가 적었지만 복비를 처리한 후엔 오히려 처리구의 LD지역이 48~% 로 증가하였다. 지산의 결과 역시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4. 이상의 결과들로 알 수 있는 것은 수목 근부에 생장하고 있는 잔디의 피해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골프장내 수목의 밀생 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광에 의한 피해보다는 오히려 양분과 수분의 경쟁에 의한 피해 발생 비율이 크다. 따라서 이들 잔디의 피해 지역에 복비를 처리함으로서 무처리 지역에 비하여 상당히 많은 효과를 보았기 때문에 수목 근부에서 생장하는 잔디의 집중관리 체계로 보다 효율적인 코스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보이고, Unitek사의 경우 압흔과 함께 pitting 이 관찰되며, Ormco Stainless Steel의 경우 불규칙한 pitting이 다수 존재했다.수술 시행 시기별의 차이를 보이
        132.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mungbean cultivar Soseon (Vigna radiata (L.) Wilczek)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KM9003-2B-783 and V2939 at th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JARES) in 2003. “Soseon” has erect growth habit, heart leaf, green hypoc
        133.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out-soybean variety, “Dagi”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Namhaekong and D70-6545 by the soybean breeding laboratory of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HAES) in 2002.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l
        134.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oybean variety, “Sunam”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Kosuzu and Bukwangkong by soybean breeding laboratory of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HAES) in 2002.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ls for evalu
        135.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급격히 증가되는 유전자 변형 식품의 안정성 논란과 관련하여 콩나물 및 콩나물 원료에 사용되는 국산 및 수입산 콩에 대한 유전자 변형 유전자의 정량 검사를 실시하고, 미량이나마 함유된 변형 유전자의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콩나물의 유전자 변형 농산물 검사는 2000년과 2001년에 원료콩 96건, 완제품 123건 등 총 219차례 실시하였다. 2. 원료콩에서는 단 한 건의 양성반응도 없었던 반면, 완제품에서는 2000년에 3건, 2001년에 8건에서 0.01-0.17%의 함량으로 CP4EPSPS 또는 35S promoter도입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이는 법적 기준치인 3%보다 훨씬 낮은 비의도적 혼입이었다. 3. 외래유전자가 검출된 11건의 완제품은 국산콩으로 만든 7개 제품과 중국산 수입콩으로 만든 4개 제품이었다. 4. 이들 도입 유전자의 원료콩 및 제조과정 중 유입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료를 검사하였다. 샘플은 양성반응제품 원료콩 전수검사, 원료콩 표면, 저장고 바닥 및 정선기 주변, 그리고 콩나물 제품 포장 필름 표면 및 포장지 원료로 사용되는 옥수수 타분의 유전자 변형 여부를 정량검사하였다. 이들 중 두 개의 옥수수 타분 시료에서만 0.1%의 35S promoter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5. 콩나물 포장 공정 중 옥수수 타분을 사용하는 포장지에서 유래되는 변형 유전자 오염을 제시하였다. 향후, 콩나물 변형 유전자 검사시 용수, 필름 표면 등 제품주변에 존재하는 도입 유전자의 정량분석 방법 구축과 원료콩 샘플 방법 및 샘플량의 표준화가 시급히 필요하다.
        136.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etic diversity and soybean sprout-related traits were evaluated in a total of 72 soybean accessions (60 Glycine max, 7 Glycine soja, and 5 Glycine gracilis). 100-seed weight (SW) was greatly varied and ranged from 3.2g to 32.3g in 72 soybean accessions.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GR and hypocotyl length (HL), whereas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W and hypocotyl diameter (HD). Re-evaluation by discarding two soybean genotypes characterized with low GR indicated that much higher correlation of sprout yield (SY) with HD and SW.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or sprout-related traits, 57 accessions were classified. Soybean genotypes with better traits for sprout, such as small size of seeds and high SY, were characterized with high PCA 1 and PCA 2 values. The seed size in second is small but showed low GR and SY, whereas the third has large seed, high GR and more than 400% SY. In genetic similarity analysis using 60 SSR marker genotyping, 72 access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and several minor groups. Nine of twelve accessions that were identified as the representatives of soybean for sprout based on PCA were in a group by the SSR marker analysis, indicating the SSR marker selection of parental genotypes for soybean sprout improvement program.
        137.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ateral root formation in soybean sprout culture declines its quality. This study was done to measure the effect of fluorescent light treatment during 24 hour imbibition and 6-day culture 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soybean sprout. After 6 day culture, the sprouts were sorted as normal (>4cm), abnormal (<4cm) and non-germination by their hypocotyl lengths, and lateral roots, fresh and dry weights were measured. Lateral roots were less formed in the fluorescent light treatment lasted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imbibition than in the treatment for 50 minutes a day during the culture. The fluorescent light treatment during the imbibition mainly affected the germination and growth compared to the treatment done during the culture. Compared to the dark imbibition, the light treatment during the imbibition resulted in more normal sprouts, thicker diameters of hypocotyl and hook, and more fresh weights in cotyledon, hypocotyl, whole sprout, and economic yield. However, these results were reverse in lengths of hypocotyl and root,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roots. It is concluded that the fluorescent lamp mainly irradiating red and blue lights can be used for the sprout production as an alternative light replacing blue and red lights treated during the imbibition because it blocked the lateral root appearance and stimulated growth of the sprout.
        138.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outing soybean variety, 'achaekong'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YAES) in 2002. It was selected from the cross Hannamkong/Eunhakong.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ls for evaluation an
        139.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sprout pathogen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large, deep containers of a commercial factory. Over a period of one year, 40 pathogenic-like bacteria were isolated among a total of 732 isolates. In addition to bacteria previously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rotting, such as Pseudomonas putida and Erwinia carotovora, several other genera were also identified: Acinetobacter spp., Chryseobacterium spp., Klebsiella sp., Pantoea agglomerans, Bacillus sp.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analysis using the Microbial ID (MIDI) system,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yielded identical results, confirming the identities of these microorganisms. Several types of selective media were not good for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population structure in commercial environments, as colony type was not specific to the genus. There was no dominant bacterium, and we were not able to find the main bacterium responsible for soybean spout rot. Even though we did not identify a major target for controlling rot or screening for resistant cultiv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bacterial rot of soybean sprout is endemic. In addition, it emerged that factory epidemics in summer are not caused by the bacteria isolated in this study.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