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8

        121.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검정콩 종피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색소별 함량을 비파괴적으로 신속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NIRS(근적외선 분광분석기)를 이용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재료는 검정콩 유전자원 300 계통을 사용하였으며, HPLC에서 분석된 종피의 안토시아닌 함량치를 NIRS 스펙트럼에 적용시킨 후 검량식을 작성하였다. NIRS의 검량식을 몇 가지 방법에 의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1차미분된 스펙트럼을 MPLS(Modified Partial Least Squares)를 이용한 회귀식에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다. HPLC를 이용한 유전자원들의 성분 함량과 NIRS에서 도출된 검량식과의 상관계수는 C3G, D3G 및 Pt3G가 각각 0.952, 0.936과 0.833을 나타내었다. 이들 검량식은 validation file에서도 C3G와 D3G는 0.897, 0.849의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이는 NIRS를 이용하여 검정콩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22.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allergic effect of C3GHi rice breeded from the cross of ‘Heugjinjubyeo’ and ‘Suwon 415’ was investigated. Antiscratching behavioral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of C3GHi was higher than Heugjinjubyeo. Orally administered BCRs’ extracts exhibited pot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cratching behaviors which were induced by compound 48/80. The inhibitory effect of C3GHi against the passive cutaneous reaction was more potent than that of Heugjinjubyeo. These finding suggest that black colored rice, especially C3GHi, may inhibit scratching behaviors and passive cutaneous reaction, and its anti-allergic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means of selecting high C3G rice seeds.
        12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괴경 내부에 적색과 보라색 안토시아닌 색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색상의 기호도 및 건강 기능성으로 인해 소비자로부터 기호도가 증대된 유색감자의 생리적 활성을 검토하기 위해 유색감자의 대조구로 괴경 내부가 백색인 수미 품종을 사용하고, 유색감자로서 괴경 내부가 적색인 대관 1-102호, 괴경 내부가 보라색인 자심품종과 대관 1-104호로 구분하여 항산화, 활성산소 소거능 및 항고혈압 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유색감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정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10ug/mL 수준에서는 유색감자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0ug/mL 을 처리한 경우 시료 간 차이를 뚜렷하게 나타내었으며, 유색감자 중 괴경내부의 색상이 적색인 대관 1-102호가 34%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어 30%의 저해율을 나타낸 활성평가 대조구인 α-tocopherol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2. 유색감자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는 괴경 내부가 보라색인 대관 1-104호가 50%의 소거능을 나타내는 농도가 9.83ug/mL 로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결과 또한 대조시약인 α-tocopherol 이나 BHT보다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3. 유색감자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활성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유색감자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어 대관 1-102호와 1-104호의 경우 xanthine oxidase 활성을 50% 저해하는 데 필요한 농도는 약 26ug/mL 수준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수미(46ug/mL ), 자심(49ug/mL )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4. 유색감자 추출물의 ACE 저해 활성을 검토한 결과 항고혈압 대조구 활성물질인 captopril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나 유색감자 간에는 명확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괴경내부색상이 적색인 대관 1-102호가 117.7ug/mL 으로 가장 높은 AC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내부색상이 보라색인 대관 1-104호와 자심은 130ug/mL 로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괴경내부 색상이 백색을 나타내는 수미품종은 192ug/mL 으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괴경 내부에 적색 혹은 보라색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한 유색감자는 기존 백색을 가진 일반감자에 비해 항산화, 자유레디칼 소거활성 및 항고혈압 활성이 높고, 시각적 식미감을 증대시키므로 유색감자는 기능성이 증대된 식용감자로서의 이용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124.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anthocyanidins and anthocyanins derived from the phenylpropanoid pathway most likely play a protective function from pathogens and UV light exposure within the plant and, in addition, act as signal molecules in plant-microbe interactions. The metabolites are now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of the medicinal and nutritional values due to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and flavors. Three independent loci (I, R, and T) control pigmentation of the seed coats determined by proanthocyanidins and anthocyanins in soybean (Glycine max). The I locus controls distribution of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pigments, which in its dominant form exhibits homology-dependent gene silencing leading to a yellowish seed coat. The R and T genes determine the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products and specific seed coat color such as black, imperfect black, brown, or buff. The I and T loci have been clon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PCR-based molecular markers cosegregating with the genetic loci controlling the biosynthesis of these interesting metabolites using public soybean EST and genomic sequence data and is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to establish a marker-assisted selection scheme for these natural products-related traits. A population of 112 F11 recombinant inbred lines generated by an interspecific cross between a Glycine max line 'Hwangkeumkong' and a G. soja Siebold & Zucc. line ‘IT182932' was used to construct a frame map consisting of 20 soybean linkage groups. The frame map contains over 300 SSR, RAPD and transposon markers. PCR-based molecular markers cosegregating with the I and T loci that control pigmentation of the seed coats determined by secondary metabolites derived from the flavonoid pathway including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soybean have been developed. We have developed three SSR cosegregating with the I locus and one codominant STS and one SNP markers cosegregating with the T locus. So far, we have developed SSR, SNP, and STS markers cosegregating with the I locus and with the T locus. Work is in progress to develop markers cosegregating with other genetic loci. The markers will facilitate markers-assisted selection of seed coat colors in molecular breeding programs.
        130.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hocyanin in blackish purple rice is composed of cyanidin, peonidin, malvidin, pelargonidin and delphinidin flavylium ion and their glucosides, which shows antioxidant activity similar to a-tocoperol.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cyanidin-3-glucoside(C3G) of anthocyanin has a high-potency antioxidant activity, and is a prominent in anticancer and antithrombotic activity. In analysis of content of anthocyanin from the genetic source of blackish purple rice, the level of C3G was approximately 80% of total contents of anthocyanins, and showed the highest content in Heugjinjubyeo, of which contains an amount of 500 mg by weight of 100g brown rice in comparison that most of varieties has less than 50mg by weight of 100g brown rice. We found that C3G pigment in blackish purple rice was considerably affected by cultural season, cultivation area, ripening temperature, and weather condition, etc. as well as genetic properties. In cross combination between Heugjinjubyeo and Suwon425, intermediate parent F9 generation which was three times higher or more in C3G content than that of Heugjinjubyeo was bred, of which it contained an amount of 1678 mg by weight of 100g brown rice, and we called it 'C3GHi' Rice. And, we found that the C3GHi rice was more excellent than that of the existing Heugjinjubyeo in anticancer and antithrombotic activity. Methanol extract from Heugjinjubyeo was fractionated by organic solvents in order of n-hexane, CH2Cl2 and n-BuOH, and then oryzafuran, quercetin, vanillic acid and protocatechuic acid and their structures from the n-BuOH fraction were ascertained. Oryzafuran of these compounds was a natural compound found firstly in nature. Quercetin and protocatechuic acid besides new compound oryzafuran showed excellent antioxidant ability to vitamin C.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ackish purple rice has very high value as a source of various functional food as well as staple food.
        13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s of abscisic acid(ABA) and temperature on the anthocyanin accumulation and phenylalanine ammonia lyase(PAL)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seedlings of Arabidopsis thaliana. In time course study, exogenous application of ABA (50-1000 μM) led to a noticeable increase in anthocyanin pigments which persisted over the following 5 days. Anthocyanins increased in concert with the chlorophyll loss. The activity of PAL, a key enzyme in the phenylpropanoid pathway, increased on exposure to ABA and reached maximum on the 4th day. This result shows that anthocyanin synthesis and PAL activity have a close physiological relationships. In the effects of temperatures (10℃, 17℃, 25℃ and 30℃) on anthocyanin accumulation and PAL activity in seedlings, a moderate-low temperatures (17℃) enhanced both anthocyanin content and PAL activity, whereas elevated temperatures (30℃) showed low levels of anthocyanin and PAL activity, suggesting a correlation between temperature-induced anthocyanin synthesis and the accumulation of PAL mRNA. Simultaneous application of ABA with temperatures induced higher anthocyanin synthesis and PAL activity in seedlings than ABA or temperature stress alone. Moderate-low temperature with ABA exposure elicited the maximal induction of anthocyanin synthesis and PAL activity. Therefore, ABA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rmotolerance in A. thalinan seedlings. Ethephon and ABA showed similar mode of action in physiological effects on anthocyanin accumulation and PAL activity. Our data support that anthocyanins may be protective in preventing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stresse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cquisition of freezing tolerance.
        13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육성된 종실용 들깨와 잎들깨 품종을 대상으로 주요특성 및 함유성분을 분석하여 용도별 들깨의 주요특성 차이를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잎들깨 품종의 평균 개화기는 9월 28일로 종실용 들깨의 평균 개화기 9월 5일보다 약 23일 늦었으며, 경장 및 마디수도 종실들깨보다 낮은 양상을 나타내어 생육상의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종실용 들깨의 평균 천립중, 종실수량 및 기름함량이 잎들깨 품종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종실특성은 종실들깨가 우수하였으나, 잎 수량 및 잎 함유 안토시아닌 함량은 잎들깨 품종이 종실들깨 품종보다 각각 1.8배 및 2.1배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잎 특성은 잎들깨 품종이 우수하였다. 3. 종실용 들깨 및 잎들깨 품종의 종실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잎 함유 평균 엽록소 함량은 종실용 들깨가 잎들깨 품종보다 다소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133.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cdot외에서 수집된 유색미를 분양받아 이들 에 대해 감마선처리 및 수집종간 교배육종 결과 새로 육성한 13개의 공시종에 대해 안토시안 함량, 유효성분 및 주요 수량 관련 형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1. 주요 식물학적 특성으로 대조구인 흑진주벼의 간장은 78cm로 중간형이었고, 개화일수는 다른 공시종에 비해 7~~20 일 빨랐던 반면에 간장과 수당영화수는 CNU33에서 가장 많았으며, 수장은 CNU 43에서, 천립중은 CNU 90에서 가장 높았으며, 주당 수량은 CNU 119가 가장 높았다. 2. 공시종에 대한 Anthocyanine 색소 함량을 상대흡광도 값 (흡광도 희석배수)으로 비교한 결과, 530nm파장에서 대조구인 흑진주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CNU71, CNU73, CNU119의 순이었다. 흡광도 값이 가장 높았던 흑진주벼와 CNU71은 280nm와 530nm 부근에서 흡수극대가 나타나 anthocyanin계 색소임이 확인되었고, 흡광도 값이 낮았던 CNU43은 430nm부근에서 흡수극대가 나타나 tannin계 색소로 판명되었다. 3. 공시종에 대한 주당 relative anthocyanin content(RAC)을 비교하기 위해 상대흡광도 값에 주당 현미수량을 곱한 결과 CNU71이 20,11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CNU73이 16,046 그리고 대조구인 흑진주벼 15,985순으로 나타났다.
        135.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재배 및 수확시기에 따른 검정콩 종자내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인 안토시아닌의 함량 및 색차의 변이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재배품종 중 일품검정콩, 검정콩2호와 다원콩을 공시하였으며, 파종기는 4월 15일, 5월 15일 및 6월 15일로 하였고, 수확시기는 R6(종실비대성기), R7(생리적성숙기) 및 R8(수확적성숙기)로 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elphinidin-3-glucoside, cyanidin-3-glucoside, petunidin-3-glucoside 및 total anthocyanin은 모두 조파에서 만파로 갈수록 또한 R6에서 R8단계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였다. delphinidin-3-glucoside는 품종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yanidin-3-glucoside와 total anthocyanin은 검정콩2호가, petunidin-3-glucoside는 다원콩이 높았다. 2. 명도(L)는 조파에서 만파로 진행될수록 또한 R6에서 R8단계로 진행될수록 감소하였으며, 검정콩2호가 가장 낮았다. 적색도(꾸는 적파>만파>조파 순이었으며, 검정콩2호가 가장 낮았고, R6에서 R8단계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황색도(b)는 만파에서 가장 높았으며, 검정콩2호가 높았고, R6에서 R8단계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3. Delphinidin-3-glucoside, cyanidin-3-glucoside, petunidin-3-glucoside 및 total anthocyanin은 상호간에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이 네 형질 모두는 명도(L)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낸 반면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명도(L)는 적색도(a) 및 황색도(b)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적색도(a)는 황색도(b)와 정의 상관을 보였다.
        136.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2001년부터 2002년까지 기능성 성분인 검정콩 안토시아닌에 대하여 종자내 개별색소 종류에 대한 검정과 함량 및 색차의 변이를 구명하여 특수콩 품종육성 및 재배 생리적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재 국내에서 육성된 장려품종 및 재배품종인 검정콩1호, 검정콩2호, 검정올콩, 선흑콩, 흑청콩, 일품검정콩, 청자콩, 진주1호, 다원콩, 쥐눈이콩(G), 쥐눈이콩(Y), 검정콩3호, 검정콩4호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검정콩 13개 재배품종의 개별 안토시아닌 검정에서 검정콩1호와 선흑콩이 cyanidin-3-glucoside(C3G)만 검출되었으며, 흑청콩은 delphinidin-3-glucoside(D3G)와 C3G가 검출되었고, 나머지 품종들은 D3G, C3G, petunidin-3-glucoside(Pt3G)가 모두 검출되었다. 2. 공시된 검정콩 재배품종의 안토시아닌 함량의 범위는 D3G가 0.55~~2.63mg/g, C3G가 2.77~~8.38mg/g , Pt3G가 0.38~~5.66mg/g 및 total anthocyanin(TA)이 3.32~~16.67mg/g 이었으며, 품종간 및 연차간에 변이를 보였다. 3. 안토시아닌의 색차의 범위는 명도(L)가 34.09~~42.89 , 적색도(a)가 12.77~~22.85 , 황색도(b)가 5.36~~12.79 이었으며, 품종간 및 연차간에 변이를 보였다. 4. 안토시아닌은 D3G, C3G, Pt3G 및 TA 모두 상호간에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137.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black seed coat soybean cultivar with green cotyledon, Cheongja 2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YARI) in 2003. Cheongja 2 was selected from a cross Milyang 70 / Ilpeumgeumjeongkong.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
        138.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포도주스의 가공 공정중 열처리 조건이 anthocyanin색소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서 anthocyanin 색소의 파괴가 최소화 되는 열처리 조건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를얻고자 실시하였다 Anthocyanin 색소 동정을 위한 분석결과 딸기의 주요 적색소는 pelargonidin-3-glucoside이며, 미국산 포도의 과피 및 주스의 주요 적색소는 delphinidin-3-glucoside와 cyanidin-3-glucosid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