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0

        121.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이 여가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의 증진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켜 건강한 노후를 살아가기 위한 실천적 방안 마련하고, 노인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있다.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이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을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함으로써, 노인들이 여가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의 증진으로 심리적 안녕 감을 증진 시켜 건강한 노후를 살아가기 위한 방안 마련에 있으며,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건강한 노후를 위해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하였다. 고령사회를 접어든 우리나라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맞춤형 고령사회정책의 제도적 근거를 만들고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과감한 재정적 투자와 함께 예비노인의 여가준비에 대한 정책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며, 예비 노인의 평생교육 차원에서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을 진행 할 수 있는 서비스지원체계 수립이 필요하다.
        6,900원
        122.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원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 노인의 시간 사용을 분석하고, 작업 영역별 시간 사용량을 사용하여 작업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원 자료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추출하였으며, 그 중 돌봄이 필요한 장애 노인 57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영역으로는 수면활동, 일상활동, 노동활동, 여가활동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영역별 시간 사용량을 기준으로 일상생활 유형, 여가과다 유형, 노동과다 유형, 작업균형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유형에 따른 시간 사용 부족감 및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작업 유형별 분석 한 결과 여가과다 유형 33.62%, 일상활동 유형 31.71%, 노동과다 유형 21.78%, 작업균형 유형 12.89% 이었으며, 모든 작업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작업 유형 예측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작업균형 유형보다 일상생활 유형이 될 가능성은 60대와 70대보다 90대의 치매를 가진 남성이 높다고 예측되었으며, 여가과다 유형이 될 가능성은 치매와 뇌졸중을 가진 남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되었다. 결론 : 장애 노인의 시간 사용 분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삶의 질과 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 활동을 제공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4,600원
        123.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의미있는 역할과 그 수행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구성하고 노인이 수행하는 의미있는 역할 유형별 수행정도와 행복감을 비교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60세 이상 노인 121명이며, 설문도구는 일반적인 특성, 의미있는 역할 수행척도와 주관적 행복 척도로 구성된 총 23개 문항의 설문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노인의 역할을 10가지로 구성하고 각각의 역할에 대한 정의를 내렸으며, 개개인에게 의미있는 역할 유형별로 얼마나 수행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은 기술통계,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의미있는 역할을 많이 수행하고 있는 노인 그룹에서 행복감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노인들의 행복감과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높은 역할은 비교적 서로간의 상호작용이 높은 학생, 직장인, 친구, 가족구성원, 조직구성원이었고, 취미인, 자원봉사자, 양육·간병인, 가정관리자, 종교인의 역할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의미있는 역할 유형별 수행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평가방식을 제안하였고, 의미있는 역할 수행정도의 점수가 높을 때 노인들의 행복감이 유의하게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의미있는 역할수행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124.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우리 사회는 출산율 감소와 기대 수명의 증가로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00년에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2%로 고령화사회에 진입한지 불과 17년 만에 고령사회가 되면서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있다. 특히 노인성 질환으로 경도인지장애는 치매의 전 단계로 일상생활은 가능하지만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이며, 불치병이라 알려진 치매증상이 예방 가능한 상태이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경도인지장애 진료 인원이 2010년 2만 4천명에서 2014년 10만 5천 명으로 4.3배나 증가하였고, 앞으로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비중이 전체 치매 환자 규모의 1/4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치료에 있어 약물치료만 사용하기보다 비약물 치료를 병합한 복합적인 치료가 더 효과적이어서 경도인지장애의 비약물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비약물치료에는 예술치료인 미술치료, 원예치료, 놀이치료, 음악치료, 동물매개치료, 작업치료, 인지치료, 현실치료 등을 이용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약물치료이자 다양한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예술치료를 통해 경도인지 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변인과 관련된 이론적 개념과 선행연구들의 문헌 고찰을 통하였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선행연구 미술치료, 작업치료, 통합예술치료, 동물매개치료들의 연구내용과 결과를 정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예술치료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대해서 전체적인 효과와 인지기능의 하위요인에 대한 부분적인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4,500원
        125.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cognizes the seriousness of poverty experienced by elderly women in Korea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happiness they seek.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93 poor elderly women over the age of 65 on social policy,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From the collected data, it was confirmed whether satisfaction with two social policies, the national pension and the basic pension, affects the happiness of the poor. And it analyzed whether social support acts as a mediator in the path of the research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verification,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variables was secured,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is a model tha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olicy and the happiness of poor elderly wome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ocial policy on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in poverty, it was found that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nd the basic pension syst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of the poor elderly women. Finally,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more positive effect when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olicy and the happiness of poor elderly women.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licy and practic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in poverty were presented.
        5,200원
        126.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there are many international treaties and conventions offering protection for generic human rights that implicitly refer to older persons, these relevant provisions are scattered, porous and lack of practical operability, which fail to provide explicit, tailored, comprehensive and binding protection to older persons. In addition, there are some soft law provisions that guide the application of law and add to the overall protection of older people. However none of the documents contains legally binding obligations. Therefore,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elderly must be formulated as the “hard law” which defines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and clarifies the implementation mechanism at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level. In other words, a legal system ought to be established to comprehensively protect the rights of the elderly, which is just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Elderly. This article attempts to present a proposal to create the right system of the Convention, which represents the core of this potential international treaty.
        5,800원
        127.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이중과제를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경도인지장애 노인 36명(실험군 18명, 대조군 18명)이었고, 연구 설계는 사전- 사후 통제 집단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주 1회 60분씩, 12주,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비교를 위해 인지기능은 노인용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평가(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Geriatric Population; LOTCA-G)를, 보행은 일어서서 걷기 검사(Timed Up and Go; TUG)를 사용하였다. 결과 : 이중과제를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실험군의 인지기능과 보행을 향상시켰고 단일과제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이중과제를 이용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보행을 향상 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 및 효용성을 확인하였기에,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중재 프로그램으로 제안한다.
        5,100원
        128.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노인을 대상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개념인 라이프스타일에 접근하기 위해, 관련 중재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프로그램 구성 시 사용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공하려한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 및 노인과 관련된 전문가 패널 12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 델파이 조사를 3회 실시하였다. 1차에서는 노인 대상 라이프스타일 관련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 분석한 후, 구성요소에 관한 폐쇄형 항목 및 서술형 응답칸을 사용하여 의견을 수집하였다. 2차, 3차에서는 구성요소의 적합도와 중요도를 알아보았고,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노인 대상 라이프스타일 관련 중재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결과 : 1차 델파이 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제시된 37개 항목에서 삭제되거나 수정되어 23개의 구성요소가 선정되었고, 2차 델파이 결과에서는 50개의 구성요소가 합의되었다. 최종 3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는 22개의 항목이 선정되었으며, 최종 선정된 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 비율은 0.77, 안정도는 0.20 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관련 중재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지역사회 기반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 현장에서 효율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를 계획 및 시행하는데 근거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000원
        129.
        2020.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사회에서 고령자들의 문화생활과 일상생활 속에서 노년기의 고독감의 해소와 자신의 보람된 삶을 만드는 것은 중요하다. 노인의 음악활동은 노령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건강의 유지와 향상을 통해 보다 생동감 있고 활동적으로 일상생활의 무료함을 활기찬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인의 여가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많은 노인의 건강과 삶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인이 현재 놓여 있는 상황과 현실적인 환경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고립된 노령자가 없는지 또한 거동이 불편한 노령자들의 생활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풍부한 환경을 제공과 지원이 필요하다.
        5,800원
        130.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distributed arrangement of a vehicle base, which is a policy on maximizing the cost efficiency and timely/spatial effectiveness of special transportation system (STS) operation for improving the mobility of the elderly and disabled. METHODS: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distributed arrangement of an STS vehicle base in an urban area was analyzed. (2) The quantitative improvement effect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actual measurement of operation during STS distributed arrangement test operation in Namyangju city. RESULTS : (1) Cities with large area and populations, which have a distributed living zone in an urban area, have a higher distributed arrangement ratio than urbanized smaller cities. (2) Based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STS distributed arrangement test operation, the total travel time and distance decreased. CONCLUSIONS : (1) For the STS distributed arrangement, parking spots, driver standby, and restrooms must be prepared. Facilitating STS as a public institution consignment makes it easier to secure a vehicle base and management by utilizing public facilities. (2) Implementing the STS distributed arrangement of vehicle base allows for efficient response to demand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of vehicles, which eventually decreases travel time and distance. This decrease not only reduces management costs but also increases supply expansion withou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4,000원
        13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an efficient clothes-sizing system for those experiencing obesity in old age with the aim of revitalizing the clothing industry for older obese people. The study targets 249 obese men aged 60 to 85 who satisfy a Rohrer index score of 1.6 or higher and a BMI (body mass index) of 25 or higher. Elderly obese males showed more obesity in the body based on the waist. In particular, those in their 60s were the most obese, and after reaching their 70s, characteristics of old age in which the stature was reduced and the limbs were tapered were shown. The clothes-sizing system was set to 5cm in stature, 5cm and 3cm in chest girth, 2cm in waist girth (omphalion), and 2cm in hip girth according to the KS standards. Through the two-way distribution of each section, the name of the section with a high distribution was given. Casual tops were selected from eight sizes, ranging from 155 to 170cm in stature and 95 to 105cm in chest girth. Suit top sizes were selected from eight sizes, ranging from 160 to 170cm in stature and 94 to 103cm in chest girth. Bottoms suggested 10 sizes distributed between 90 and 100cm in waist girth (omphalion) and 92 and 98cm in hip girth. According to the KS standards, the detailed size was divided into the basic part and the reference part.
        4,500원
        13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영양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사회적 연결 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213 명으로, 평균연령은 71.38±5.59세 이었다. 연구분석 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하여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제변수간의 차이, 영양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 연결망(가족간지 지, 친구간지지, 상호 의존적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의 독립변수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 삶의 만족도는 교육(F=5.280, p=.002), 경제상태(F= 22.407, p<.001), 월수입(F=3.181, p=.015), 주관적 건강상태(F=14.93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독립변수들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삶의 만족도는 가족간 지지(r=268, p<.001), 친구간 지지(r=.286, p<.001)에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고, 영양상태(r=-.222, p=.001),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r=-.235, p=.001), 상호의존적 사회적지지(r=-.283, p<.001)는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은 경제적 상태(β=.358,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245, p<.001),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β=-.158, p=.009),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β=-.153, p=.012)으로 30.1%의 설명력을 보였고, 회귀모형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23.778,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가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노인을 위한 재정적 지지, 노인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활동을 활성화하는 구체 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4,500원
        13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evel of aging in Yanbian area has surpassed that in China so that the situation is very serious. With the high propor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poor elderly in Yanbian area and the premise of insufficient provision for the age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the diversification of the elderly problem, the disparity of the elderly individuals, the weak awareness of the old-age planning and the weak subjectivity of the elderly. The home-based care for the elderly in Yanbian community is also facing great challenges. There are some problems in Yanbian community pension service, such as insufficient special funds, low level of professionalism, contradiction of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and lack of a joint force among the main bearers of social work for the eld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edical treatment+supporting+nursing" combined, "four in one" multi-linked community home service model and set up a service network system for the elderly to realize the diversification of the service carriers for the elderly, fulfill the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service needs of the elderly groups in Yanbian in the process of service specialization to meet the diversified and individual service needs of the elderly groups.
        4,300원
        13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주거환경요인인 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 두 변인과의 관계에서 기능적 지지가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동구, 중구, 서구, 유성 구, 대덕구에서 각각 90명씩 450명을 대상으로 생활 관리사들의 도움을 얻어 방문 설문조사를 실시해 45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분석 프로그램(SPSS 24.0)을 이 용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구학적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는 가장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고, 교육수준과 직업이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거환경 요인인 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능적 지지의 경우 독거노인의 주거환경 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기능적 지지 중에서도 정서적 지지에 비중을 크게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지지라 함은 사회적 지지의 두 가지 의 미인 구조적 지지와 기능적 지지의 일부분으로써 물질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를 모은 용어 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네 가지를 제언한 다. 첫째, 독거노인의 주거환경을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건강상태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독거노인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감독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능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남에 따라 기능적 지지를 위한 체계적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거안전성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역사회 차원의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7,000원
        13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문가 추천 사례 방식(reputational-cases selection)’으로 진행했고, 노인상담기관에서 진행 한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6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대한 심층면접 이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은 기노시타 야스히토(木下康仁)의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을 활용했다. 분석결과 총 61개 개념, 23개의 하위범주, 9개의 상위범주로 발견되었고, 이를 두 개의 분석주제인 ‘분노경험’과 ‘분노조절 과정’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분노경험과 분노 조절 과정을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노인의 분노조절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설계 및 보완에 경험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개입방식의 효과성 검증 및 개입 방안을 제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8,700원
        13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2주간 탄력밴드 운동이 체조성, 혈중지질 및 AMPK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만 65세 이상 75세 이하의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운동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탄력밴드 운동 방법은 주 3회, 60분으로 1-4주는 OMNI-RES 3-4의 저강도, 5-8주는 OMNI-RES 5-6의 중강도, 9-12주는 OMNI-RES 7-8의 고강도로 실시하였다. 탄력밴드 운동 전·후 그룹 및 시기 간 상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하여 two way repeated measures ANOVA로 처리하였고,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차이는 paired t-test, 그룹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집단 간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를 실시하였으며,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체지방률은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골격근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혈중지질 중 TC, TG, LDL-C는 운동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HDL-C는 대조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AMPK는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운동 후 그룹 간 AMPK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OMNI 저항운동 척도를 이용한 12주간 탄력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조성 및 AMPK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13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 목적은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가 라이프스타일 및 재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306부의 설문지 배포 후 회수하였고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일부 누락된 자료 12부를 제외 총 294부를 SPSS 18.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는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는 노인의 재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은 재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138.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일어서기에 어려움을 가진 고령자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의 신체적 부담을 줄여주고 독립 적인 일상생활을 성취하기 위해 일어서기 능력이 저하된 고령자에게 사용이 쉽고 편리하고 안전한 일어서기 보조기기를 개발하고 사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사회적 참여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일어서기 보조기기의 문제점인 큰 부피, 무거운 중량 그리고 높은 가격 등을 최소화한 일어서기 보조기기를 개발하여 연구도구로 활용하였다. 개발된 일어서기 보조기기에 대한 평가를 위해 65세 이상의 노인 90명을 대상으로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일어서기 단계별 수행도 및 운동기술능력 분석,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를 평가도구로 활용하였다. 결과 : 개발한 보조기기 적용 전·후에 따른 일어서기 자세분석 결과 목, 몸통, 위팔, 아래팔 그리고 REBA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보조기기의 적용 전·후에 따른 일어서기 단계별 수행도 분석 결과 1단계에서 6단계와 전체 단계 평균값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운동기술능력에서는 유연성, 지속하기, 속도처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QUEST를 활용한 사용성 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만족한다’이상의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개발한 일어서기 보조기기가 근골격계 위험성이 높은 고령자에게 수행도 및 운 동기술의 향상뿐만 아니라 만족스러운 보조도구로써의 역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고령자뿐만 아니라 일어서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보조기기를 적용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작업치료의 중재적 적용범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4,600원
        139.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 to evaluate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elderly (NQ-E) for 288 elderly people attending senior welfare centers in Gyeonggi-do.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about general information, health functional food, and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elderly (NQ-E). Chi-squared test, Fisher's exact tests,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performed using the SAS program ver. 9.4. Among the male and female subjects, the female subjects consumed more health functional food. The results of the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al statu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areas of variety and abstinence among nutrition quotient factors for men,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ny of the nutrition quotient factors for women. In conclusion, focused-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useful guideline is needed for promoting adequate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 elderly.
        4,300원
        140.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ognitive functio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and nutrient intake of elderly women with dementia in a long-term care facility (EW-LCF) and a day-time care facility (EWDCF).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015 to May 2017 on 73 elderly women with dementia (47 women in LCF and 26 women in DCF) in the city of Incheon. The data obtained from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and caregive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The total score of the MMSE-DS and intakes of most nutrients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The nutrient adequacy ratios (NAR) of protein, vitamin A, C, B6, B12, thiamin, riboflavin, niacin, folic acid, calcium and phosphorus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However, the indexes of nutritional quality (INQ) of vitamin C, B6, thiamine, niacin, calcium, magnesium, and iron in the EW-LCF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EW-DCF (p<0.05). As a result, the subjects showed an unbalanced and insufficient nutrition intake status regardless of the type of care facility. Most nutrient intakes of the EW-LCF with lower cognitive function were very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EW-DCF (p<0.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cognitive function and nutritional status regula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omen suffering with dementia and to provide specialized individual nutritional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