댕디(Vincent d’Indy, 1851-1931)의 서곡3부작 《발렌슈타인》(Wallenstein)에 나타난 ‘표 제적 연주회용 서곡’의 장르적 의미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오페라 의 극적 내러티브를 악곡구성에 반영하던 19세기 오페라 서곡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이 작 품은 일종의 ‘음악적 드라마’로 이해될 수 있다. 둘째, ‘표제적 연주회용 서곡’ 작곡가들은 ‘서 곡’이라는 장르 명칭과 함께 베토벤과 바그너 등의 ‘표제적 서곡’의 전통을 따라 리스트가 교 향시에서 점차 소멸시킨 것, 다시 말해 반복의 원리에 입각한 소나타악장 형식 안에서 표제 를 다양하게 재현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서곡들에 나타난 표제와 악곡구성 간의 관계는 19세기 베토벤에 의해 시작되고 바그너를 비롯한 많은 작곡가들에 의 해 발전했던 전통적인 ‘표제적 서곡’의 역사 안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다.
도로의 진출입로나 인터체인지에 널이 적용되고 있는 곡선교는 곡선반경, 사각 및 받침 간격 등에 따라 직선교보다 복잡한 거동을 나타낸다. 특히 상부구조물의 휨과 비틀림에 의해 솟음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예각부 받침에는 부반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곡선교에서 교량의 곡선반경, 받침간격 및 사각이 부반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RAMP에 적용 가능한 지간(L)이 50m인 단경간의 강박스거더 곡선교를 대상으로 3차원 격자구조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적인 방법으로 지점반력을 산출하였다. 부반력은 교량의 평면형상, 구조계의 형성, 받침의 조건 등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 되므로 매개변수는 곡선반경, 사각 및 받침간격으로 하였으며, 도로교설계기준에 제시된 하중조합에 의해 발생되는 반력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수치해석한 결과에 의하면 부반력은 곡선반경, 받침간격 및 사각이 작을수록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각 60˚ 일때 곡선반경 250m 이하에서는 받침간격에 관계없이 항상 부반력이 발생하였고, 사각 75˚일 때 곡선반경 180m에서는 θ/B가 0.27 이하, 곡선반경 250m에서는 θ/B가 0.32 이하에서 부반력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사각 90˚ 일 때 곡선반경 130m에서는 θ/B가 0.38 이하 일 때와 곡선반경이 180m 이상일 때 부반력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설계변수인 곡선반경, 받침간격 및 사각이 곡선교에서 부반력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곡선교의 설계시 설계변수들의 상호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면 부반력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계로 설계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한자에서 사람이 입으로 들이마시거나 내쉬는 ‘숨’ 또는 ‘숨결’과 관 련되는 의미를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口’ 또는 ‘口’에서 파생된 글자들이 의부 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인간의 여러 가지 감정 및 심리상태를 표현 할 때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의부는 ‘心’이지만, ‘欠’이 의부로 사용된 글자들 대부 분이 위의 두 가지 例를 모두 아울러서 呼吸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의미 또는 특 정한 심리상태에 기인한 감정 혹은 행위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데 착안 하여, 당시 造字者들이 ‘欠’을 의부로 선택하여 이러한 류의 의미를 부여한 조자 심리의 한 단면을 한자문화학적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 며, 說文에 수록된 글자들 가운데 欠部 및 기타 欠이 의부로 사용된 73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이 73자들은 대개 단순한 숨결을 표현한 일반적인 气를 나타내는 글자류, 음식물을 먹거나 마시는 것과 관련된 气를 나타내는 글자류, 특정한 심 리상태에 기인하여 감정이입이 된 상태의 气를 나타내는 글자류 등 세 부류로 구분되었다. 이를 통하여, 지극히 추상적이고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되지 않는 气와 欠을 형상화시키고, 호흡으로서의 단순한 气 뿐만 아니라, 감정이나 행위 로서의 미세하고 다양한 气를 합성사가 아닌 단음절사로 대량 제작해 사용한 심리적 근저에는 造字 당시 이미 ‘气’라는 개념이 폭넓게 자리 잡고 있었고, 이 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이 있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작업을 통하여 중국 고대인들이 문자를 제작하여 운용하는 과정에서,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이거나 간에 처해 있는 문화적 배경이 반영될 수밖에 없 었다는 것은 필연적 결과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biodiesel as bioenergy is defined as ester compounds formed by esterification of animal/vegetable oils, in this study three vegetable cooking oils (market, waste and refined waste ones) were esterified by reactions of alkali catalyst and immobilized enzym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formed ester compounds wa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biodiesel production.
By lipolysis (i.e, hydrolysis of Triglyceride (TG)), all three vegetable oils us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produce Diglyceride (DG), Monoglyceride (MD) and Fatty acid ethylester (FAEE). However, the amount of produced FAEE (which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was in the increasing order of market cooking oil, waste one and refined waste one. With NaOH catalyst, FAEE was produced about 24.92, 17.63 and 11.31 % for the respective oils while adding Lipozyme TL produced FAEE about 43.54, 38.16 and 24.47 %,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enzyme catalyst is more effective than alkali one for transesterific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produced by hydrolysis of TG was unchanged with alkali and immobilized enzyme reactions. Thus it can be expected that stable conditions remain in the course of mixing with gasoline whose composi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fatty acid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alum addition to litter results in many environmental and economic advantages, such as reductions in metal runoff, lower ammonia emission and improved poultry performance.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alum on soluble metals in poultry lit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soluble metal from poultry litter with different types of aluminum sulfate (alum) under laboratory condition. The treatments used in this study, which were mixed in the upper 1 cm of litter or sprayed onto the litter surface, were 4 g alum, 8 g alum, 8.66 g liquid alum, 17.3 g liquid alum, 11.2 g A7 (high acid alum), and 22.4 g A7 (high acid alum)/100 g litter. Applying different types of alum to poultry litter reduced (P<0.05) concentrations of soluble Fe (9 to 54%), Cu (9 to 49%) and Zn (11 to 40%), relative to untreated litter, whereas it increased Ca and Mg (P<0.05). Mean soluble Fe and Cu levels in poultry litter from different types of alum decreased in the order: 22.4 g A7 (54% and 49%) > 17.3 g liquid alum (48% and 42%) > 8 g alum (48% and 31%) > 4 g alum (28% and 10%) > 8.6 g liquid alum (10% and 9%) > 11.2 g A7 (8.6% and 9%). Additionally, the high reduction in soluble Zn concentration was 4 g alum (40%), followed by 8 g alum (26%), 22.4 g A7 (25%), 17.3 g liquid alum (23%), 8.66 g liquid alum (18%), and 11.2 g A7 (11%),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ies suggest that treating poultry litter with different types of alum can be applied to reduce soluble metal (Fe, Cu, and Zn) and to develop a production to merchandise for poultry litter that would result in reduction in pollutants from these materials.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environmental management in the poultry industry, the use of alum, liquid alum and high acid alum all should be provided a valid means of reducing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
Drawing on Herzberg's two-factor theory, this article suggests that visitors to rural tourism base their overall evaluation with an experience on their consideration of two types of aspects referred to as either 'motivators' and 'hygienes' by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233 critical incidents described by 121 participan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exclusive factors which are named as experiential factor, cognitive factor, and affective factor. The application of Herzberg's two-factor theory to rural tourism suggests 'satisfiers' to come from the experience-activity itself, experiential factor. While more peripheral elements constitute 'dissatisfiers', cognitive factor. The paper provides the advancement and broad application of Herzberg's theory to further understand rural tourists satisfaction.
Recently, rural leisure by urban dwellers has been recognized as a catalyst for regional development or restoration. The federal government implemented several regional planning policies attempting to address this phenomenon in the late nineties. However, most of these policies focused on supply-centered planning, which caused a diverse set of problems relating to the sustainability and economic validity of the planning. Instead, this study focuses on the re-visitation one of the demand variables, with the intention of analyzing the character of rural leisure demand and its re-visitation choice attribute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 of current rural leisure demand, and develops functional equations about urban people who visit rural areas, using logit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Urban people are visiting rural areas from nearby cities or metropolitan areas that are within 3 hours driving distance, and over 80% of rural visitors are one-day visitors. Therefore, most of their visitation activities should be understood as rural leisure, including rural tourism. In addition, the likelihood of the rural tourist to make a return visit is influenced by their transportation means, product purchasing, staying period and travel time. The results of such rural leisure demand can provide information for regional planning strategies, such as selection of target market, type of market segments, improvement of recognition level, activity program price, facility and space planning, produce sale and connection with tour site.
한국의 전통적인 민간 약재로 사용되어져온 흰민들레의 잎절편체로 부터 기관형성을 통한 재분화를 시도하였다. 잎 절편체를 BA (0-4mg/L)와 2,4-D (0-1mg/L)가 혼합 첨가된 MS 기본 배지에 치상하여 배양한 결과, 배양 3주후부터 신초가 발생되었다. 신초 분화율은 2mg/L BA 첨가된 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배양 4주째 4mg/L BA 첨가된 조건에서는 캘러스가 유기되었다. 잎령에 따른 부정아 형성율, 발생빈도, 건량, 생중량을 조사한 결과, 발아 후 7주된 잎 절편체에서 평균 11.5개의 신초를 형성하였다. 유도된 신초는 0.5mg/L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발근되었으며, 화분에 옮겨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 되었다.
오늘날에 항만부진동의 문제는 대형선박이 입출항하는 항만의 설계에서 가장 현저한 인자로 작용한다. 연안 항만에서 탄성체의 삭으로 계류하고 있는 대형 선박은 장주기파랑과 계류시스템간의 공진으로 인해 종종 이탈되기도 한다. 특히, 장주기 파랑의 증폭비가 현저해지면 화물의 하역에 장애를 가져오며 계류삭이 절단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중 국내에서 부진동의 문제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항만은 포항신항이며, 이에 따른 문제가 도선사 협회나 지역해양수산청으로부터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 항만에서 부진동을 야기하는 장주기 파랑의 내습을 막는 것은 어렵다. 더구나 정부는 이미 포항신항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고 영일만의 입구에서 신항만 건설을 이미착수해놓고 있다. 본 연구는 영일만 입구의 4.1km에 달하는 방파제 건설과 신항만 계획을 반영하여 이들이 항만 부진동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 것인가에 대해 다룬다. 사용한 수치기법은 확장완경사방정식을 사용한 표준형식을 갖춘 것으로 수치실험결과를 이전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관측치와 비교하였으며, 이것이 어느 수준까지의 토론으로 이끌어 낼 것이며 장래 항만개발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본다.
An author has been known that A-type zeolite supported with silver ions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However, it is no research of concern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luted silver ions. This study tested the elution of silver ions from A-type zeolite silver ions in deionized distilled water and NaNO3 aqueous solution. In NaNO3 aqueous solution of 74mM to 588mM,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silver ions and electric conductivit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odium ions, and equilibrated at 15 min, and the ion exchange equilibrium coefficient, k, is 1.3×10-3. However, deionized distilled water is not equilibrated to pass 6 months. A-type zeolite sodium ions showed no antibacterial activity. It was found that antibacterial activity was exhibited even at the concentration of 10 nM of eluted silver ions, and E-coli died with the incorporation of 2.43×108 Ag ion/cell. antibacterial activity of A-type zeolite silver ions were mainly attributed to hydroxyl radical.
It is claimed in the literature (e.g., Suh 1990, Sohn 1995, etc.) that an NPI freezes the scope relation between a quantifier (QP) and negation: a QP to the left of an NPI scopes over negation and a QP to the right of an NPI scopes under negation. (A QP scopes over or under negation when no NPI is around.) The scope freezing effect induced by NPIs has been accounted for by (often tacitly made) assumptions that (i) NPIs are in the scope of negation; (ii) the negation scope is NegP; and (iii) NPIs are licensed at the SPEC of NegP. This paper first provides sets of data showing that the so-called scope freezing effect is not a well established generalization. Once the scope freezing effect turns out to be an illusion, theories based on the generalization should be reconsidered. Thus, this paper discusses some related issues and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i) NegP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the negation scope: (ii) NPIs may be located outside of negation scope at least in some environments, where they have a Free Choice reading; and (iii) contra Sells (2001), the NPI distribution in Korean cannot be captured in terms of the `command` relation but in terms of the `government` relation based on Chung`s (1995) typology of negation licensing.
대황(Rheum undulatum L.)의 형질전환된 뿌리의 기내(in vitro)배양으로부터 quinone계 알칼로이드 물질인 anthraquinone의 생산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형질전환된 뿌리로부터 anthraquinone의 생산에 있어서 배지, 초기 pH, 탄소원의 농도, 광 그리고 elicitors의 영향을 조사 하였다. 형질전환된 뿌리는 6% sucrose와 0.5 mg/l GA3 그리고 50 mg/l chitosan이 첨가된 WPM 배지에 치상한 후 16/8의 광조건(16μmol m2s1)하에서 배양시 0.18 mg(생중량)의 anthraquinone의 생산성을 보여주었다. 이와같은 함량은 재배근의 약 1.3배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