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he was a leading figure in nineteenth century architecture, Viollet-le-Duc's architectural theory is crucial to the foundation of modern architecture. He has been called a Gothic Revivalist, a Structural Rationalist and a Positivist. The first title was perhaps due to his vigorous restoration of Gothic works such as $N\hat{o}tre$ Dame, but he did not adore the Gothic style just for itself. Rather, he hoped to deduce some principles from the style. So how did he manage this? In his book "Entretiens sur l'Architecture (Lectures on Architecture), published between 1864 and 1872, he mentions using Descartes' four rules for reaching architectural certainty in contrast with the chaotic situation during that modernising period. Furthermore Viollet-le-Duc's theory can be seen as a serious attempt to translates Descartes' philosophical rules into systems of architectural speculation. Descartes' four rules of doubt are anchored in mathematical propositions, and without mathematical distinctions, none of these rules are valid. In other word, mathematics for Viollet is the yardstick of judgement between distinctness and indistinctness. Many architectural problems arise from this view. In this paper, the validities of applying Descartes' method of doubt to architectural discourse will be discussed in order to address the question:-Did Viollet-le-Duc clearly grasp Cartesian method by which memory was erased from the world?
Seamus Heaney’s “Station Island” has been viewed as a psychological drama in which Heaney explores alter-egos that he might have become. Such an approach becomes more complicated if we consider that the stage of the drama is Ricoeurian typology of mnemonic phenomena where the narrator “I” is splitted into the subject in the process of recollection and the self fixed in the pure memory. According to Paul Ricoeur, the epistemological process of recollection involves the evocation of past memories at the present moment, so that the subject-in-recollection imagines the self fixed in the pure memory to be “the other than self” and relives past memories as if real. In this sense, Ricoeur argues that memory exists in the typology of
mnemonic phenomena as memory-images and that the subject-in-recollection tend to imagine the past in the way he can satisfy his desire. Likewise, in “Station Island” Heaney’s narrator “I” re-imagines his past memories as if they were memory-images and re-lives past feelings as “the other than self.” By becoming “the other than self” in the process of recollection, he reviews the burden of a national poet and finally accepts the limitation of his fellow Irish people as well as his own self.
For Heaney, accepting the limitations and scars as they are becomes the foundation for love, friendship, and goodness toward his people because it lets him realize reasons for the necessity of co-dependency and reciprocity.
Prospective memory (PM) is related to remember to carry out a previously intented behaviou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adigm for measuring PM function to diagnosi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1 or brain injury in patients 2. among brain injured patients Thirty-eight normal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current study. The paradigm was composed of four conditions: a baseline and three intention conditions (expectation, execution 1 and 2). In the expectation condition, subjects were asked to make a new response to intented stimuli during ongoing task, but the intented stimuli never occurred. In the execution 1 (one type of expected stimulus) and 2 (two types of expected stimuli), the intended stimuli did occur in 20% of trials. The reaction time and error rate were calculated in each condition. Repeated measures using ANOVA of subject's mean reaction times (RTs) and mean error rates (ERs) showed main effects of conditions during ongoing task. The comparison of PM tasks in executive condition 1 and 2 also showed significance in RTs and ERs. This paradigm reflects sufficiently the performance of prospective memory function during ongoing task in normal individuals. Thus, we suggest that the paradigm will be helpful to study neural network of PM function using brain imaging techniques and diagnosis of PM dysfunction.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iscuss Yeats' meditative poem and its formative process. Before taking up the main subject, I will survey the background of the meditative poem. The most notable of meditative practices were the Ignation meditations that synthesized several medieval branches of meditation and gave them new echo in the early modern world. These meditation then formed the structural backbone of poems that also demanded a similar type of ordered contemplation by Donne, Herbert, Hopkins and Wordsworth. Also Yeats clearly fits into this English meditative tradition due to the Irish and mystical elements but works with meditative techniques in a quite novel manner. The techniques of meditation become significant for their impact on how a poem works to trace the mind's progress. Yeats's poems, especially his mature poems, develop many of the imageable patterns and employ similar technique. There is a close correspondence between meditative discipline and the creative imagination. If we cannot imagination ourselves as different from what we are and assume that second self, we cannot impose a discipline upon ourselves. It is the creation of this self that a meditative poem records. A self is ideally one with itself, with other human beings, with created nature, and with the supernatural. Thus the self of meditative poetry speaks a language based on that of common men, but includes whatever in its own experience is unique and individual. In conclusion, Yeats' meditation allows him to reach that Unity of Being where the oppositions of change and changelessness, time and eternity, are reconciled. Toward the union of "the powers of the soul," Yeats's "Unity of Being" by disciplined effort makes his way, while creation of the poetry plays its part in the struggle. Unity of Being is both the resolution to the tension between opposites and the point at which all things connect.
본 논문은 강교좌장치를 가지고 있는 연속 강교량을 지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장치를 제안했다. 예로 사용하고 있는 연속 강교량은 고정단을 가진 교각에 지진하중이 집중하고 상당히 큰 상부구조의 중량으로 인하여 교각에 손상을 입기 쉽고 상판의 교대에 대한 충돌로 교대의 수동변위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restrainer-damper가 제안되었으며 지진해석을 통해서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미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강재 케이블의 restraoiner와 성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과 여성에 있어서 정서적 자극에 대한 기억이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제시되는 자극의 기억을 측정할 것이라는 기억지시문을 주고, 또한 자극제시 후 곧바로 자유회상의 방법으로 기억을 측정함으로써 정서적 자극으로 유발된 정서의 표현을 조절할 필요성을 가능한 최소화시켰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정서적 자극과 중성적 자극에 대한 기억을 측정함으로써 선행사건초점 정서조절 과정에 의해 남성들의 정서적 자극에 대한 기억이 손상됨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제시된 자극에 대하여 더 많이 기억하고 있었으며, 특히 중성적 자극보다 정서적 자극에 대해 남성들보다 더 많은 내용을 회상하였다. 회상내용을 중심적 요소에 대한 기억과 지엽적 요소에 대한 기억으로 나누어 남녀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여성들은 정서적 자극의 중심적 요소에 대하여 중성적 자극보다 더 많이 기억하였으나 남성들은 정서적 자극과 중성적 자극에 대한 중심적 요소에 대한 기억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악보 읽기에서 나타나는 전문가와 초보자의 작업기억에서의 처리 유형의 차이를 연구하기 위해 조음 억제 조건을 사용하여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8개의 4분 음표가 스크린에 제시되었다가 사라지면, 참가자가 그 음표들을 기억해서 악보에 그리도록 했다. 자극은 선율적인 멜로디와 비선율적인 멜로디로 나뉘어졌다. 같은 방법으로, 실험 2에서는 각각 3개의 음으로 구성된 4개의 코드가 제시되었다. 자극은 화성적인 코드와 비화성적인 코드로 나뉘어졌다. 실험 1과 2의 분석 결과, 초보자는 공통적으로 조음 억제를 하지 않은 조건에서 조음 억제 조건보다 나은 수행을 보였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화성적 자극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조음 억제의 영향을 덜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보자가 조음 루프에 전적으로 의지하여 음을 처리하는 반면, 전문가는 자극이 친숙할 경우, 조음 루프로 정보를 넘기기 전에 시공간 잡기장을 통해 음을 부호화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에머의 유일한 질투』에서의 쿠쿨레인은 예이츠의 다른 극에서 보여주는 두려움 없는 신화적 영웅이 아니다. 그는 자연계와 초자연계 사이에서 분열되어 있으며 자신의 운명 또한 에머의 손에 달려있는 전적으로 수동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이러한 쿠쿨레인의 속수무책과 그를 둘러싸고 일어나는 세 여인 및 브로크리우가 보여주는 욕망의 파노라마는 그의 영웅적 모습이 단순히 그들이 갖고있는 그의 경험적 종합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어떤 면이 있음을 암시한다. 즉 이들의 욕망을 고려해야만 경험적 종합으로 환원되지 않은 그의 영웅적 이미지를 이해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욕망사이의 갈등을 기억과 희망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에머가 에이스니로 하여금 쿠쿨레인의 이름를 부르고 그에게 키스를 하도록 하는 제의적인 모습은 그의 영웅적 정체성과 이름과 욕망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에머에게 주어진 잔인한 선택은 확정되지 않은 미래를 이미 확정된 것으로 가정함으로써, 에머는 미래의 희망을 희생한 것이 단순히 비극으로 끝나지 않고 그녀의 욕망을 비밀스럽게 실현시킨다. 시디의 여인(the woman of sidhe)의 욕망은 쿠쿨레인과의 결합을 통해 자신의 영혼의 완전히 실현하려는 것이다. 쿠쿨레인이 비통한 과거의 기억으로 인해 자신과의 결합에 머뭇거리는 것을 알고 그 기억을 자신과의 키스로 지우도록 유혹한다. 그런데 이 초자연적인 세계에 살고 있는 이 여인은 결코 자신의 욕망을 실현할 수 없는 운명에 놓여있는데 이는 모든 기억을 지운다는 그 세계조차 이미 언어와 기억으로 물들어 있기 때문이다. 이 극에서 에머와 시디의 여인의 욕망이 좌절되는 것에 비해 브로크리우만은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 실현을 위해서는 자신과 철저히 동일시했던 쿠쿨레인의 모습을 포기해야하는 대가를 치루어야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욕망은 애매한 실현으로 그친다. 이렇게 욕망은 결코 실현되지 않으며 항상 대체되고 환치된다는 점은 이 극의 초두의 두 노래에서 이미 암시되어 있다. 이 노래는 여인의 미와 이를 묘사하는 비유사이의 긴장, 특히 지나간 비유에 대한 기억과 다가올 비유에 대한 기대 사이의 긴장을 잘 보여준다. 이 긴장은 욕망을 둘러싸고 진행되는 기억과 희망의 변증법을 상징적으로 예시해 준다
Ti-45.2at.%Ni-5at.%Cu and Ti-40.2at.%Ni-10atat.%Cu alloy powders were fabricated by gas atomization process. The microstructures, Shape, hardness and phase transformation behaviors of the powder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optical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icro-hardness measurement, x-ray diffraction analyses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hardness of the Ti-Ni-XCu alloy powders decreased as Cu-content increased. The x-ray diffract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powders without heat treatment, and those that treated at 85 for an hour in a vaccum state( torr) and then quenched into ice water. The intensity of B phase increased with heat treating. The monoclinic B martensite was formed in the Ti-Ni-XCu alloy powders during coo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