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2

        144.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 생육 중 유기농자재의 엽면살포가 포도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농약 처리와 비교하였다 포도의 과방중과 열과 발생률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키토산, 목초액, 곡물아미노산 처리에 의하여 과방중 300g이상과의 비율이 농약처리나 무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유기농자재를 처리한 포도의 당도와 환원당은 각각 , 13.0-14.5%로 농약처리 , 13.1%에 비하여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총산함량은 키토산(0.
        145.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렁이 생체에 대하여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74.8%, 조단백질 12.7% 및 조지방 0.6%의 함량을 보여 고단백 저지방의 식품재료로써 그 이용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우렁이를 껍질, 내장 및 근육 3부분으로 분류하여 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우렁이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P, Ca, Mg 및 Na이었으며, 그 중 껍질 및 내장, 근육모두에서는 Ca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 중요한 Ca 급원으로 이용 가능하다.
        146.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삼투포텐셜이 동일한 NaCl과 PEG6000 용액을 사용하여 염해와 한발에 대한 보리의 생화학적 반응을 검토하였으며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의 지상부 생육 및 보리 잎의 상대수분함량은 염해보다 한발에 의해서 더욱 감소하였다. 2. 과산화수소의 발생은 염해처리 후 6일에 한발보다 27.5% 많았으며, 영해처리 후 4일에 나타난 APX, CAT 및 GR의 활성은 한발처 리보다 각각 12.6%, 27.9%, 23.3% 높았다. 한편, 보리의 경우 CAT의 활성은 한발보다 염해조건에서 더욱 신속하게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는 염해 및 한발처리에 의해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특히 glycine, arginine 및 GABA의 함량은 한발처리에서 더욱 증가하였으나, proline의 함량은 염해처리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4. 본 연구를 통해서 보리의 항산화효소 활성 및 아미노산 함량이 염해와 한발에 의해서 상이하게 조절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염해에 대한 보리의 특이적인 반응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147.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배추를 품종별, 부위별, 저장기간 동안의 vitamin U, amino acid 및 유리당 함량을 분석하고 변화경향을 조사하여 보았다. Vitamin U의 함량은 배추의 품종과 부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풍 배추(Winter Pride)의 겉잎(outward leaf)에서 12.70 mg/100 g, 55일 배추(55 Days)의 속잎(core leaf)에서 18.60 mg/100 g으로 vitamin U의
        148.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팥앙금과 설탕 및 물엿을 혼합한 모델용액에서 물엿농도 및 가열조건에 따른 팥앙금 호화액의 당 및 아미노산 함량의 동적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유리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갈변반응이 심하게 발생한 실험구에서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이 높고, maltose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팥앙금 호화액의 amino ac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total amino acid 함량은 가열온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고,
        149.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첨가 배추김치의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시킨 발아현미 추출분말(GBREP) 첨가량을 0, 0.67, 3.35 및 6.70%(w/w)로 각각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를 에서 21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GBREP 첨가량이 많을수록 총 유리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GABA 함량도 대조구와
        151.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배추김치를 종자별, 부위별, 저장조건별 유리당, vitamin C, amino acids의 함량을 분석하고 변화 경향을 조사하여 보았으며 vitamin C의 전구물질인 methionine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리당의 경우 core> middle> outward 부위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midrib 부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Vitamin U의 경우55일 배추 outward leaf 부위에
        152.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배지에서 배양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균사체와 균체외 유리아미노산 및 다당류함량을 조사하였다. 배지로는 YM(yeast-malt broth), CP(citrus peel-broth) 및 GT 배지(green tea-broth)를 사용하였으며 , 150rpm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균사체의 수율은 GT, CP 및 YM에서 각각 42.3, 34.2 및 였으며, 균사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탁도는 GT 0.14, CP
        153.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nges of the amino acid content including proline and protein content in response to NaCl treatment were investigated in between the salt-resistant variety CI5309 and salt-susceptible variety IR28 of rice. The amino acid contents such as -aminoapid
        154.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쪽파의 잎과 인경, 2,4-D 0.5, 1.0mg/L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된 캘러스로부터 아미노산 분석과 항산화활성 을 분석하였다. 총아미노산 분석의 함량은 자연조건상태의 잎에서는 59.779 mg% 함유하였으나 2,4-D 0.5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캘러스에서는 73.725 mg%를 함유하였으며 그 가운데 Glutamic acid가 26.555 mg%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아미노산 함량에 대한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 비율은 자연조건상태의 인경부분이 39.462 mg%를 함유하였고, 2,4-D 0.5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캘러스에서는 13.072 mg%를 함유하고 있었다.
        155.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미노산은 수정란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배발달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체외배양 단계에 아미노산 첨가에 관한 보고는 많지만, 체외성숙 단계에서의 아미노산 효과와 관련된 보고는 소수이다. 본 실험에서는 먼저 체외성숙 배지에 NEAA와 EAA군들의 첨가 농도가 PB 출현율, 배발달율 그리고 생산된 배반포의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새로운 아미노산원으로 LAH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체외성숙을 위한 난포란은 도축 한우 난소에서 2-8mm의 가시난
        157.
        2002.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terial of Rhodiola sachatinensis collected from an alpine region of the west-northern China. For analysing the effect, 1 used Rhodiola sachatinensis's rhizome and cultivated callus. In EtOAc, BuOH, H2O separation the plant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but not in Hexane.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EtOAc(RC50,35(g), BuOH(RC50, 43(g), H20(RC50, 50(g) fraction and MeOH extract(RC50, 50(g) of the Rhodiola sachatinensis was comparable to that of synthetic antioxidant BHA(RC50, 14(g) and α-Tocopherol(RC50, 12(g). Total amino acid concentration of plant of In nature condition were 18,009ppm, and major components were argi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valine.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on plant of In nature condition was 46.93%. Total amino acid concentration of callus of In vitro condition were 32,435ppm, and major components were valine, histidine, lysine and leucine.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on callus of In vitro condition was 56.07%. was 56.07%.
        158.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선초를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하여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신선초의 부위별 일반성분,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 및 식이 섬유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신선초의 가식부를 평균함량으로 보면 수분이 88.43%, 회분은 1.96%, 조지방은 0.16%, 조지방은 2.95%, 조섬유는 1.26%, 총 비타민C는 67mg%로 나타났으나 수분과 조섬유를 제외하고는 줄기보다 잎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유리당 함량은 잎이 줄기보다 1.68배정도 높았으며 유리당의 종류와 함량을 보면 포도당이 평균함량으로 688mg, 과당이 703mg로 대부분 이였으며 서당은 미량 검출되었다. 잎에는 총 유리아미노산이 54.39%로 줄기의 28.07%보다 1.9배 이상 많은 함량을 보였다. 잎과 줄기의 총 구성 아미노산은 각각 1737.41mg%, 319.71mg%로 잎 이 줄기의 5.4배 높게 나타났다. 수용성 식이 섬유(SDF) 함량을 살펴보면, 신선물 기준으로 줄기가 1.00%로 잎의 0.99%보다 0.01% 높게 나타났으며, 불용성 식이 섬유(IDF) 함량 역시 잎의 3.07%보다 줄기가 3.52%로 0.45% 더 높게 나타났다. 신선초의 saponin의 함량은 잎이 535.51mg%로 줄기의 463.09mg%보다 높게 나타났다.
        159.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s of acute anoxia on carbohydrate hydrolytic enzyme activities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in malt were examined. Malts were prepared with barley grains germinated for 7 days which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amylolytic and(1-3,1-4)-β -glucanase activities. α -Amylase and β -amylase activities in malt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anoxia for 5 or 10 h.(1-3,1-4)-β -Glucanase activity, however, decreased about 7 to 10% by anoxia for 5 or 10 h. Alanine and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changed drastically. Alanine contents in malts increased by 2.2- and 2-fold, and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s by 1.4- and 1.9-fold under anoxia for 5 and 10 h, respectively.
        160.
        199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chemical compositions of dried persimmons stored with plastic film at low temperature and the effect of film packaging on dried persimmons during storage. The moisture contents of dried persimmons were 30 to 36% and alcohol contents were 264 to 318 mg/100g and acetaldehyde contents were 25 to 40mg/100g. Total lipid contents of dried persimmon were 626 to 869mg/100g and oleic, palmitic, linolenic, and palmitoleic acid were major fatty acids in total lipids.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rginine, cystine and aspartic acid. From the result of storage experiment, non-packed group was that hardness was high as decreased in moisture content. In case of film packed groups stored at 5, self life was longer than non-packed and packed groups stored at room temperature. But, it need to develop available packing material and storage method.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