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6

        141.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공사료에 의한 실내사육에서 부활율은 97.9%, 3령까지의 생존율은 83.3%였다. 3령유충에서의 용활율은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82.5%, 개체사육에서 48.5%, 집단사육에서 37.5%로서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가장 높았다. 유화율은 톱밥을 이용한 집단사육에서 90.9%, 개체사육에서 85.2%, 집단사육에서 86.7%로 거의 비슷하였다. 톱밥을 이용한 집단 사육법은 개체사육법에 비하여 사육방법이 용이하고 인공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3,000원
        142.
        197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침파리의 동계사육 결과 평균온도 에서 유충기간 7일, 용기간 9.2일, 전산란기간 14.2일, 성충수명 23.3일이었다. 2. 5월부터 7월까지 사육온도 로 고정시켰을 때의 생육기간은 유충기간 8.0일, 용기간 5.3일, 전산란기간 11.7일, 성충수명 30.1일 이었다. 3. 용 개체중량은 5월-7월의 에서 13.3mg으로서 현저한 증가를 볼 수 있었다. 4. 전산란 기간중의 성충사망율은 습도 조절(R. H.)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누대사육을위해서는 의 R.H.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5. 성충의 산란율은 산란 시작후 제8-10일에 제일 높다.
        3,000원
        143.
        197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화명충의 인공사육을 위해 간이합성배지, 반합성배지, 합성배지 및 수도유묘에 의한 사육실험과 각 배지별 사육단가 산출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합성배지에 의한 인공사육 결과 노숙유충의 체중 96.4mg, 자충우화율 로서 타배지에 비하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이 배지는 성충까지의 사육비용이 3.14원으로 대량 사육시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2). 합성배지 및 반합성배지의 제 2세대 산란 및 부화율이 타 배지에 비해 높은 것은 Choline Chloride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3) 수도유묘에 의한 사육방법은 재료 구입이 용이 하고 가격이 저렴한 반면에 유충생육의 불균일 및 유묘 교환시 공시충의 손실과 노력이 많이 들어 대량사육을 위해서는 적합치 못하다. 4) 간이합성배지 중 Chlorella를 첨가시킨 실험구에서 노숙유충의 체중 및 용화율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5) 간이합성배지에서의 생육결과 제2세대 산란 및 부화율이 낮은 것은 배if의 영양 결핍에 기인된 것 같다. 6) 각 배지 공히 용화율이 현저하게 낮은 원인은 용화시에 노숙유충이 병원균의 감염으로 오염사 되기 때문이다.
        3,000원
        144.
        202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management of insect breeding farms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 density when rearing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The breeding box of the insects was filled with 2 L of fermented sawdust on a 50 × 35 × 15 cm sheet of plastic, and the density of the treatments was 200, 300 and 400 P. brevitarsi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rval stages. Each treatment was repeated five times, and the sawdust medium was replaced three times (10 interval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30 days from March 1, 2020. Overall, 200 P.brevitarsi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rval stages reared in the breeding box had a higher average survival rate and lower average mortality rate, thereby contributing to efficient production.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a way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through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insect breeding farms.
        145.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초·중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그들의 스포츠 도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태권도 선수 222명(남자=161, 여자=61)이었고,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척도와 스포츠 도덕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활용하여 척도의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AMOS 21.0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애정적 양육태도 요인은 상대 반사회행동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나머지 하위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둘째, 자율적 양육태도 요인은 동료 친사회행동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동료 반사회행동 요인과 상대 반사회행동 요인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상대 친사회행동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셋째, 적대적 양육태도 요인은 동료 반사회행동 요인과 상대 반사회행동 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나머지 하위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가지지 못했다. 넷째, 통제적 양육태도 요인은 동료 반사회행동 요인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나머지 하위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가지지 못했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좋은 지수를 나타냈다(TLI=.918, CFI=.933, RMSEA=.058, SRMR=.059). 결론: 부모양육태도는 태권도 선수의 스포츠 도덕행동에 영향을 주는 상황적 요소임을 시사한다.
        146.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로인식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개인의 사회인구학적, 심리적 요인에 초점을 두어, 그 중요성에 불구하고 부모양육태도와 같은 관계적 요인의 영향에 대해서는 다소 등한시하였 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인 5∼6 학생들이 인식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인식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구로구 A 초등학교 5∼6학년 317명이며,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 및 진로인식 표준화 검사이다. 연구자료 분석방법으로는 부와 모의 양육태도 하위 요인과 진로인식 하위 요인 간의 다중적 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정 준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경우 부와 모의 양육태 도를 비슷한 유형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와 허용적 양 육태도가 진로인식 발달에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 모두 양육태도 중 민주적 양육태 도가 진로인식 하위 요인 중 자기이해와 진로태도에 많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고, 특히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와 자기이해 요인이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녀의 진로인식 발달을 위해서는 부모 모두 민주적 양육태도를 가져야 함을 시사한다.
        147.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scribes results on sexual mat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spawned eggs to develop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table, healthy fertilized eggs from captive-reared yellowtail kingfish, Seriola lalandi. A total of 59 yellowtail kingfish were captured off the coast of Jeju Island, after which the broodstock was cultured in indoor culture tank (100 m3) until they were 6.1–14.9 kg in body weight. As part of the rearing management for induced sex maturation,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was maintained at 130 lux. The photoperiod (light/dark; L/D) was set to a 12 L/12 D from October 2013 to January 2014, and 15 L/9 D from February 2014 to June 2014. Feeds comprised mainly EP (Extruded Pellets), with squid cuttlefish added for improvement of egg quality, and was given from April to June 2014. The first spawning of yellowtail kingfish occurred in May 3, 2014, at a water temperature of 17.0°C. Spawning continued until June 12, 2014, with the water temperature set at 20.5°C. Time of spawning was 26 times at this period. The total number of eggs that spawned during the spawning period was 4,449×103. The buoyant rate of spawning eggs and fertilization rate of buoyant eggs during the spawned period were 76.1% and 100%, respectively. The diameters of the egg and oil globule were 1.388 ± 0.041 mm and 0.378 ± 0.029 mm, respectively, which was higher in early eggs than in those from late during the spawned period.
        148.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fish, light (photoperiod, intensity and spectra) is main regulator in many physiological actions including growth.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light spectra on the somatic growth and growth-related gene expression in the rearing tiger puffer. Fish was reared under different light spectra (blue, green and red) for 8 weeks. Fish body weight and total length were promoted when reared under green light condition than red light condition. Expression of somatostatins (ss1 and ss2) in brain were showed higher expression under red light condition than green light condition. The ss3 mRNA was observed only higher expression in blue light condition. Expression of growth hormone (gh) in pituitary was detected no different levels between experimental groups. However, the fish of green light condition group was showed more high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than other light condition groups. Our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somatic growth of tiger puffer is induced under green light condition because of inhibiting ss mRNA expression in brain by effect of green wavelength.
        149.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베트남이주여성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U시와 Y시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가 있는 베트남이주여성 24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배정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양육태도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게 2014년 10월8일부터 12월10일까지 매주 수요일 2시간씩 총 10회기로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후 통제집단과 함께 양육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일원공변량분석(One-way ANCOVA)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나타난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정·애정적 양육태도에서 실험집단이 통계집단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온정·애정적 양육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격·적대, 무시·무관심, 모호한 거부 등의 양육태도는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기 자녀를 둔 베트남결혼이주여성들에게 부모역할과 양육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고 자녀양육에서 자신들의 역할과 확고한 자녀양육의 기준과 목표를 설정하여 준비된 어머니가 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게 되었다.
        15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st-thawed larval rearing in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urvival rate with time course in three kinds of larvae cryopreserved. The highest survival rate and larval activity index (LAI) of post-thawed larvae were obtained from the permeation in 0.2 M sucrose and 2.0 M ethylene glycol (EG) at -1℃/min in freezing speed showing the survival rates just after thawing of 63.8% in trochophore, 84.1% in D-shaped veliger and 56.3% in early umbo veliger. In post-thawed larval rearing with food supply, the larvae lasted their lives until 24 hours in trochophore, 75 hours in D-shaped veliger and 57 hours in early umbo velig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each larval stage post-thawed revealed no more further development to subsequent respective stage.
        151.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on fatty acid profile of egg in laying hens during 9 weeks. Two hundred hens, 70-wk-old, Hy-line Brown, were used in this study and fed basal diets. 100 hens, randomly collected from facility, were transferred to cage rearing system and 100 remaining hens were moved to backyard raising system. For overall period, higher unsaturated fatty acid percentages in two different rearing systems than did saturated fatty acid (SFA) were observed. In 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s, both rearing system showed a higher mono unsaturated fatty acid (MUFA) contents than poly unsaturated fatty acid (PUFA) contents. Egg quality traits of laying hens reared in backyard system had considerably lower contents of SFA and higher contents of MUFA compared with eggs from cage rearing system (P<0.05). In addition, eggs from cage rearing system resulted in a significantly lower n-3 contents and higher n-6:n-3 ratios and CLA contents in comparison with backyard raising system (P<0.05).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s of two different rearing systems on PUFA, PUFA:SFA ratio, and n-6 contents were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egg production as functional foods.
        152.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겨울철 사육조건이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인위적인 성성숙 유도 및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봄철 salmon pituitary extracts(SPE)을 이용하여 성성숙 유도 예정인 양식산 암컷 뱀장어 친어를 8주의 겨울철 사육기간 동안, 4개의 사육환경(해수저온, ; 해수고온, ; 담수저온, ; 담수고온, )에 각각 순치하여 사육하였다. 그 후 각각의 실험구의 뱀장어를 해수 로 이동하여 SPE를 매주 1회 8주 동안
        153.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for the substitution of antibiotics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Day old hyline 1,500 lay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4 treatments. Control were 600 chicks and there were three treatments of each 300 chicks. The 4 treatments were as follows: the mixed herbal medicine 0.1%(T-1), 0.3%(T-2) and 0.5%(T-3) after removed antibiotics on commercial feed and commercial feed(control) from 5th week to 13th week,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3 times and from 14th week to 18th week. Each 100 hens of the mixed herbal medicine 0.1%(CT-1), 0.3%(CT-2) and 0.5%(CT-3) were moved to cage. Body weight were measured on 4th, 8th, 13th week and feed intake, mortality were measured on every weeks. Body weight at fourth week, all treatments tended to be higher than control and T-3 statistically was highest(p<0.01). On 8th week, also treatments statistically high and T-1 was highest(p<0.01). But 12th week,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hat the mixed herbal medicine substitute for antibiotics after vaccination. Mortal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overall rearing period. Early laying period(19~41wk), T-2 showed highest feed intake(107.1g) among treatments, later laying period(42~77wk), T-1 showed highest feed intake(134.3g) and was not any different among each treatments.
        154.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 자율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한 것이었다. 경상남도 J시와 C시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68명과 그들의 어머니 26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 구성 차원 중 활동성이 유아 자율행동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성별로는 남아의 경우, 유아 기질 차원 중 활동성 자율행동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의 경우, 유아 기질 구성차원과 자율행동 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합리적 지도가 유아 자율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성별로는 남아의 경우,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한계설정 자율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여아의 경우,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합리적 지도와 반응성이 자율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156.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lting behavior and the effects of rearing temperature and day length on molting in the behavior and the effects of rearing temperature and day length on molting in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reared in the laborator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1. After pre-spawning molting, the protopodites of 1st, 2nd, 3rd, and 4th except 5th pleopod bore new breeding setae which conserve eggs in the brooding chamber and the basis of 3rd, 4th, and 5th pereiopods bore new breeding dresses which transport the ovulated eggs into the brooding chamber. 2. Adult females reared in 27.5- molted 10-12 times per year at interval of 27-35 days, of which four or six moltings were common molting for growth and another four or five moltings were pre-spawning molting for spwaning and brooding. In winter season, pre-spawning molting did not happen to most of adult females in spite of the same temperature. 3. Duration of intermolt cycle was 31-38 days and 26-30 days at 25.3- and 28.7- of rearing temperature, respectively.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