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2

        14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백로류는 9속 18종으로, 일부 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종은 집단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중대백로 Ardea alba는 집단번식을 하는 대표적인 백 로류로 3월부터 10월까지 국내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지 방, 동남아시아로 월동하기 위해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백로류 연구는 대부분 육안 관측을 통한 번식과 취식특성 등에 관한 연구이며, 구체적인 행동권 및 이동 특 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가적 이동 또한 Banding 등에 의해 확인된 사례이며, 구체적인 이동경로 및 특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야생동물위치추 적장치(WT-300)를 활용하여 중대백로의 국내 행동권과 서 식지 이용 특성, 국가간 이동경로를 확인하여 백로류 보호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백로류 집단번식지를 이 용하는 중대백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 후 각각 개체에 고유번호(djdi1501, djdi1502) 를 부여하고 위치추적장치(WT-300)를 부착하여 포획장소 에서 방생하였다. GPS 좌표는 2시간 단위로 주간 7회(6시, 8시, 10시, 12시, 14시, 16시, 18시), 야간은 1회(24시)를 획득하여 아침 8시에 연구자에게 송신하도록 설정하였다. 이렇게 수신된 좌표는 ArcGIS 9.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 며,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과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를 활용해 행동권을 파악하였다. 중대백로의 서식지 이용은 환경부 토지피복도(2009년)의 유형을 4가지(농경 지, 산림(번식지 포함), 저수지, 하천)로 재분류하여 좌표지 점의 위치를 분석하여 유형별 이용현황을 파악하였다. 국가 간 이동은 국외지역으로 이동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이동거 리 및 이동지역을 확인하였으며, 그 외 이동지역의 특성을 위성지도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djdi1501개체는 2015년 6월 5일부터 2015년 10월 14일까지 국내에서 132일 추적하였으며, 번식이 끝나 는 시점인 8월 6일부터 기존 서식지를 벗어나 논산시 지산 동으로 잠자리를 이동하였다. MCP에 의한 djdi1501개체 행동권은 전체 352.0km²이었으며, 대전백로번식지를 이용 한 행동권은 324.9km², 논산백로번식지를 이용한 행동권은 21.7km²로 나타났으며, KDE 90%일 때 225.8km² 였으며, 핵심서식지로 분류할 수 있는 50%의 경우 44.8km² 확인되 었다. 이를 번식지 및 잠자리를 기준으로 확인하였을 경우 대전번식지를 이용하였을 시 전체 행동권과 큰 차이가 없었 으며, 논산으로 잠자리를 이동한 시점에서는 매우 좁은 행 동권(KDE 90% 21.7km²)을 보였으며, 핵심서식지는 1.1km²였다. djdi1502개체는 2015년 8월 7일부터 2015년 10월4일까지 국내에서 59일간 추적하였으며 MCP에 의한 행동권은 24.8km²로 확인되었으며, KDE경우 djdi1501개 체와는 달리 대전 하천을 주 서식지로 활용(KDE 90%: 4.4km², 50%: 0.7km²)하였다. 중대백로의 전체 서식지 이용률은 저수지(37.8%), 하천 (30.2%), 산림(21.0%), 농경지(10.9%)순으로 나타났으며, 월별로는 6월에 산림(57.1%), 농경지(19.2%), 하천(15.4%), 저수지(8.3%), 7월에 농경지(51.3%), 산림(18.8%), 하천 (17.9%), 저수지(12.1%), 8월에 저수지(41.6%), 하천(36.3%), 산림(21.6%), 농경지(0.5%), 9월에 저수지(44.2%), 하천 (40.5%) 산림(13.8%), 농경지(1.5%), 10월에는 저수지 (77.6%), 하천(14.0%), 산림(7.7%), 농경지(0.7%) 순으로 나타났다. 중대백로는 번식기에 농경지에 대한 의존성이 높다가 시간이 지나면 점차 하천 및 저수지 이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월에 산림 이용률이 높은 것은 잠자리 및 번식지가 산림지역에 위치하므로 포란기인 6월에 산림 이용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국외이동은 djdi1501개체가 2015년 10월 14일 야간에 논산시에 위치한 탑정호에서 출발하여 2015년 10월 15일 691km를 이동해 중국 장쑤성 난퉁시에 도착하였으며 1,447km를 더 이동하여 홍콩에 도착하여 20일간 서식하였 다. 2015년 11월 6일에 추가로 438km이동하여 2015년 11 월7일에 중국 레이저우시에 도착하여 월동하였다. djdi1501 개체는 국내에서 총 2,576km를 이동하여 중국 레이저우시 까지 이동하여 월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jdi1502개체 는 2015년 10월 4일 대전시 갑천에서 806km를 이동하여 2015년 10월 5일 중국 상하이 충밍현에 도착하였으며, 196km를 추가로 이동하여 중국 후저우시 더칭현에서 5일 간 서식하였다. 2015년 10월 11일 더칭현에서 771km이동 하여 2015년 10월 12일 중국 메이저우시 자오링현에서 13 일간 서식하고 2015년 10월 24일에 127km이동하여 2015 년 10월 25일에 메이저우시 펑순현에 도착 후 8일간 서식하 다 2015년 11월 01일에 1,413km를 이동하여 2015년 11월 2일에 베트남 푸옌성 뚜이호아 지역에 도착하여 28일간 월 동하였다. djdi1502개체는 국내에서 베트남까지 총 3,313km 를 이동하였으며, 2015년 11월 28일 베트남 민가에서 마지 막 신호 송신 후 두절되었다.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한 중대 백로 두 개체 모두 이동시기에 중국으로 이동하여 중간기착 지점으로 이용하다 점차 중국 남부지방 및 동남아시아로 이동하였으며, 중대백로의 일일 이동거리는 약 1,400km이 상이었다. 본 연구결과 중대백로는 주변환경에 따라 행동권의 편차 가 크며, 주요 월동지는 중국 남부와 베트남 등지로 확인되 었다. 다 수의 개체를 활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행동권의 경우 도심에 서식하는 중대백로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이 형성되어 있는 지역과의 비교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미흡 한 중대백로의 구체적인 행동권과 국가간 이동경로 분석을 최초로 시도한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표본수가 적어 보편화할 수 없기 때문에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14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Maitland orthopedic manipulative physiotherapy and stretching on pain, cervical range of motion, and muscle tone of adults with forward neck posture. A total 40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Maitland OMPT group(n=20) and a stretching group(n=20), performing joint mobilization exercise and stretching thre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As for changes in p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were foun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within group comparison( p<.01),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group comparison. In changes in cervical range of motio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the Maitland OMP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p<.01) in flexion, (left lateral flexion(p<.05), extension, left rotation, right rotation, and right lateral flexion, while the stretching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p<.05) in extension(p<.01), left rotation, left lateral flexion, right rotation, and right lateral flex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tween group comparison in flexion, extension, right rotation, left rotation, right lateral flexion and left lateral flexion. The results of measuring muscle tone changes showed that the Maitland OMPT group and the stretching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ce in within and between group comparison(p<.05). In conclusion, the Maitland OMPT and stretching were effective on improving pain and range of motion.
        4,000원
        14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as assessed mechanical bonding strength of lead-free solder joint. Assessment methods was performing long-term reliability test about thermal shock, thermal life and high temperature & high humidity.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mean values that was obtained from repetion of 5 times according to each conditions, reduction of mechanical bonding strength of each tests was confirmed. When it comes to HB chip, the order of high deviation rate was shown thermal shock, high temperature & humidity and thermal life. And the higher deviation rate of R0 is high temperature & humidity, thermal life and thermal shock. The order of high deviation rate of C1 chip is high temperature & humidity, thermal shock and thermal life. Related to this result of experiment, the most stable error range of mechanical bonding strength is established. From now on optimized quantity of solder and shape of solder-joint is needed by establishing a test method which can make error range of mechanical bonding strength minimize.
        4,000원
        144.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assess reliability of range of motion (ROM) measurement of glenohumeral internal rotation (GIR) with a pressure biofeedback stabilization (PBS) method and to compare the reliability between manual stabilization (MS) and the PBS method. In measurement of pure glenohumeral joint motion, scapular stabilization is necessary. The MS method in GIR ROM measurement was used to restrict scapular motion by pressing the palm of the tester’s hand over the subject’s clavicle, coracoid process, and humeral head. The PBS method was devised to maintain consistent pressure for scapular stabilization during GIR ROM measurement by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GIR ROM was measured by 2 different stabilization methods in 32 subjects with GIR deficit using a smartphone clinometer application. Repeate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two test sessions by two testers to confirm in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After tester A performed measurements in test session 1, tester B’s measurements were conducted one hour later on the same day to assess the inter-rater reliability and then tester A performed again measurements in test session 2 for confirming the intra-rater reliabilit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2,1) was applied to assess the inter-rater reliability and ICC (3,1)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two methods. In the PBS method, the intra-rater reliability was excellent (ICC=.91) and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good (ICC=.84). The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PBS method was higher than in the MS method. The PBS method could regulate manual scapular stabilization pressure in inter- and intra-rater measuring GIR ROM.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recommend that the PBS method can provide reliable measurement data on GIR ROM.
        4,000원
        14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은 연평균기온 14℃이상, 한랭지 수 -10(℃·월) 이상인 남해안 일대 및 제주도, 도서지역의 난온대 기후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 상록활엽수 의 천연분포 면적은 약 9850ha로 한반도 산림면적의 1.53% 에 해당되어 그 면적이 협소한 편이다. 조경수로서 상록활 엽수는 내음성이 강한 편으로 대형빌딩, 아파트단지 등의 반음지에 식재가능하고 낙엽수에 비해 항상 도시에 녹음을 제공하여 녹음수로서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오염, 병충해에 대한 내성이 높아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조 경수로서의 상록활엽수 활용은 조경식물 소재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록활엽수는 내한성이 약해 주로 남부지방에만 심을 수 있다고 인식하여, 조경용 식물소재로 서 활용성이 낮고 식재범위가 좁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지구온난화, 도시의 열섬효과, 국지적 미기후 현상 등으로 우리나라의 상록활엽수 식재가능 범위의 확대가 예측된다. 또한, 상록활엽수종별로 기온에 대한 내성 및 완충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수종에 따라 자생지보다 식재가능범위가 더 넓을 것이고 일부 수종은 중부지방까지 생육 가능할 것이 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상록활엽수의 식재가능범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조경수로서 활용되는 상록활엽수 대상으로 식재관련 문헌조사 및 내한성 분석을 토대로 천연 분포역, 식재분포역, 내한성범위를 지도화하여 지역별 상록 활엽수의 식재가능범위를 추정하였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난온대 상록활엽수종은 약61속 132 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조경용으로 생산되고 활용되는 수종으로 한정하기 위해 조달청 고시자료에 기재 된 조경용 상록활엽수 20종을 공시재료로 선정했다. 공시재 료로 선정된 수종으로는 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먼나무, 황칠나무, 후박나무, 광나무, 굴거리나무, 까마귀쪽나무, 동 백나무, 아왜나무, 호랑가시나무, 금식나무, 꽝꽝나무, 다정 큼나무, 돈나무, 팔손이, 회양목, 사철나무, 모람, 송악 등 20종이 선정되었다. 천연분포역은 수종이 자생하는 분포범위로서 국립수목 원에서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현지 에서 채취한 표본을 토대로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를 제작 했는데 이 문헌에서 제시한 상록활엽수의 분포도를 공시재 료의 천연분포역 조사에 활용하였다. 식재분포역은 인위적 으로 식재되어 생육하는 수종의 분포범위로서 관련논문, 한 국조경신문, 한국조경수협회, 국립수목원 자료를 활용하여 각 지역에 식재된 수종을 찾아서 식재분포역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에서 상록활 엽수 식재관련 키워드를 검색하여 관련논문을 최대한 수집 하여, 지역별 식재된 상록활엽수종을 조사하였다. 또한, 2007년~2015년 3월까지 발간된 한국조경신문의 조경수매 매 정보마당 부분과 한국조경신문사이트(www.latimes.kr) ‘나무팝니다’ 커뮤니티에서 농장주소와 그 농장에서 재배 되는 상록활엽수종을 지역별로 정리하였고, 한국조경수협 회 회원들의 지역별 상록활엽수 생산수종 정보를 활용하였 다. 이 생산업체에서 상록활엽수를 재배·생산한다는 점은 이 지역에서 상록활엽수를 식재해 생육가능한 식재분포역 이라 판단하였다. 또한, 국립수목원의 국가생물종지식정보 시스템(www.nature.go.kr)에서는 수종별 자생분포지역 및 식재범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 정보를 공시재 료 식재분포역 조사에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록활엽수 는 내한성이 약한 편으로 동해를 입기 쉽기 때문에 내한성 분포범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공시재료 20종에 대한 내한 성 강도를 관련문헌(김종근 등, 2014) 및 내한성 정보 (www.plantlust.com) 자료를 활용해, 우리나라 시군별 최저 온도를 기준으로 미국 농무부가 제안한 내한성 분포등급(26 개, Zone 1a~13b)을 토대로 시군별 내한성지도를 작성하여 공시재료별 상록활엽수 식재가능범위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는 회양목은 천연분포역과 식재분 포역, 내한성범위가 비슷했지만, 남부지방 및 도서지역에 분 포하는 난온대 상록활엽수는 천연분포역보다 식재분포역 및내한성범위가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재분포역보다 내한 성범위가 넓은 수종은 구실잣밤나무, 굴거리나무, 먼나무, 황 칠나무, 꽝꽝나무, 금식나무, 모람 등으로 분석되었다. 반대 로, 식재분포역이 내한성범위보다 넓은 수종은 까마귀쪽나 무, 후박나무, 돈나무, 동백나무, 송악이며, 식재분포역과 내 한성범위가 비슷한 수종은 가시나무, 광나무, 사철나무, 다정 큼나무, 아왜나무, 팔손이, 호랑가시나무였다. 우리나라 상록활엽수의 천연분포역은 주로 남부 및 도서 지역으로 협소한 편이었지만, 식재분포역 및 내한성범위가 중부지역 및 수도권 지역까지 식재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어 그 범위가 더 넓었다. 이는 도시의 열섬효과, 국지적 미기후 현상, 지구온난화 등의 외적요인과 함께 상록활엽수종의 저 온에 대한 내성 등의 내적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이 연구에서 이용된 문헌은 주로 도시지역 및 인근에 상록활엽수의 식재 및 재배관련 자료와 미국 농무부의 내한 성 강도기준을 토대로 도출된 상록활엽수종별 식재가능성 을 추정한 것이다. 실제로, 수종별 식재가능지역에 상록활 엽수를 식재할 경우에는 식재지의 미기후 및 극단적인 저온 등의 생육환경을 고려하고, 동시에 식재수목의 저온순화 과 정이 필요할 것이다.
        14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다양한 생물 서식지이며 동물의 이동통로로 새로운 서식지로의 이주와 재서식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2014년에 4월부터 9월까지 백두대간 구룡령(명계리)과 고직령(서벽리)의 나비군집을 모니터링 하고, 두 지역의 나비를 과거기록과 비교하여 분포지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명계리 65종 1098개체, 서벽리 63종 1161개체가 조사되었다. 두 지역의 비교에서 명계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5종, 서벽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3종으로 나타났다. 종 순위별 개체수에서는 명계리는 큰줄흰나비 127 (11.6%), 줄흰나비 100 (9.1%), 산제비나비 90 (8.2%), 서벽리는 뿔나비 146 (12.6%), 줄흰나비 134 (11.5%), 네발나비 69 (5.9%)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개체 이하를 보인 종은 명계리 24종, 서벽리 23종으로 나타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두 지역의 유사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적색목록의 나비가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출현종을 과거 분포자료와 비교한 결과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이에 백두대간의 나비는 아직까지 잘 보전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거시적으로 백두대간의 서식지 경관이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4,500원
        14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 size of wintering crane population would change due to the climate factors. We assumed that wintering population size would differ by climate values in January, which is the coldest period in year. Especially, White-naped cranes were able to choose wintering site between Cheorwon and other alternative place where snow coverage had low influence, differing from Red crowned cranes. For this reason, we predicted the population size of White-naped cranes would fluctuate according to the extent of snow coverage in Cheorwon. Therefore we used snow coverage data based on MODIS and climate data from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at are generally used. We analyzed the crane’s population size in Cheorwon in January from 2002 to 2014. The temperature in the Cheorwon increased from 2002 to wintering period in 2007~ 2008 and went down, showing the lowest temperature in 2011~ 2012. With this phenomenon, warmth index showed the similar pattern with temperature. Amount of newly accumulated snow (the amount of snow that fallen from 0:01 am to 11:29 pm in a day) was low after 2002, but rapidly increased in 2010~ 2011 and 2011~ 2012. The area of snow coverage rapidly declined from 2002 to 2005~ 2006 but suddenly expanded in wintering period in 2009~ 2010 and 2010~ 2011. Wintering population size of the White-naped cranes decreased as snow coverage area increased in January and the highes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m, compared to the other climatic factors. However,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Red crowned cranes had little relationship with general climate factors including snow cover range. Therefore it seems that population size of the Red crowned crane varied by factors related with habitat selection such as secure roosting site and area of foraging place, not by climatic factor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ntering population of White-naped crane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ogarithmic value of snow cover range and its period.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population size of the White-naped crane was affected by snow cover range n wintering period and this was because it was hard for them to find out rice grains which are their main food items, buried in snow cover. The population size variation in White-naped cranes was caused by some individuals which left Cheorwon for Izumi where snow cover had little influence on them. The wintering population in Izumi and Cheorwon had negative correlation, implying they were mutually related.
        4,300원
        14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sculoskeletal disorders are generally caused by physical activity and job stress, lack of exercise, neck, shoulders, and back. In this paper, we were implemented using the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rehabilitation contents and measurements of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that can help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system. It was compared to the CROM method for verification of the IMU sensor data, the error rate was the result of less ±0.3󰔆. In other wor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o problem to measure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So we were calculated the quaternion angle for each flexion, extension, and lateral flexion and extension, the contents for these was implemented.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of a virtual reality-based contents using the Google cardboard was to show the possibility to replace existing high virtual reality contents.
        4,000원
        14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ffective method for produce munitions effectiveness data is to calculate weapon effectiveness indices in the US military’s Joint Munitions Effectiveness Manuals (JMEM) and take advantage of the damage evaluation model (GFSM) and weapon Effectiveness Evaluation Model (Matrix Evaluator). However, a study about the Range Safety that can be applied in the live firing exercises is very insufficient in the case of ROK military. The Range Safety program is an element of the US Army Safety Program, and is the program responsible for developing policies and guidance to ensure the safe operation of live-fire ranges. The methodology of Weapon Danger Zone (WDZ) program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weapon modeling/simulation data and actual impact data. Also, each WDZ incorporates a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which provides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perform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o evaluate the relative risk of an identified profile. A study of method to establish for K-Range Safety data is to develop manuals (pamphlet) will be a standard to ensure the effective and safe fire training at the ROK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example, WDZs are generated with the WDZ tool as part of the RMTK (Range Managers Tool Kit) package. The WDZ tool is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based application that is available to operational planners and range safety manager of Army and Marine Corps in both desktop and web-based versions. K-Range Safety Program based on US data is reflected in the Korean terrain by operating environments and training doctrine etc, and the range safety data are made. Thus, verification process on modified variables data is required. K-Range Safety rather than being produced by a single program, is an package safety activities and measures through weapon danger zone tool, SRP (The Sustainable Range Program), manuals, doctrine, terrain, climate, military defence M&S, weapon system development/operational test evaluation and analysis to continuously improving range safety zone. Distribution of this K-range safety pamphlet is available to Army users in electronic media only and is intended for the standing army and army reserve. Also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to authorized users for marine corps commands are indicated in the table of allowances for publ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efficient K-Range Safety Manual producing to calculate the danger zon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OK military’s live fire training by introducing of US Army weapons danger zone program and Range Safety Manual
        4,600원
        15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joint mobilization technique to the level of segments with pain and to the level of segments with hypomobility respectively and compare the immediate effects of the joint mobilization technique on the pain, the active cervical range of motion (ROM), and treatment satisfaction of patients with acute mechanical neck pain. After the baseline assessment, forty-two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a painful group (n1=21) that received joint mobilization at the most painful cervical spine level and a hypomobile group (n2=21) that received joint mobilization at the most hypomobile cervical level. The patients received an intervention that applied unilateral posterior-anterior gliding for 5 minutes and two repetitions of 10 times of active extension motion with distraction. In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painful group and the hypomobile group were improved significantly in all pain variables (p<.001), while the painful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active cervical flexion (p<.001), extension (p<.001), left side-bending (p<.01), right side-bending (p=.001), left rotation (p<.001), and right rotation (p<.001). The hypomobile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ctive cervical flexion (p=.001), extension (p<.001), left side-bending (p<.05), right side-bending (p=.001), left rotation (p=.001), and right rotation (p<.01) after intervention. In the Mann-Whitney U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of the dependent variables after the intervention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painful group was slightly superior to the hypomobile group in all variables except for the right lateral flexion ROM and treatment satisfaction. These outcomes suggest that the cervical joint mobilization may be applied to either the level of painful segments or the hypomobile segment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cute mechanical neck pain.
        4,200원
        151.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과 정치적, 사회·경제적, 문화적으로 깊은 연관을 지닌 베트남에 관해 학생들이 다양한 활동을 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글로벌 시민의식을 함양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 한국의 미래 사회를 짊어지고 갈 우리 청소년들이 한·베 간의 긍정적인 상호 관계를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인재가 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베트남 및 한·베 관계 이해 활동, 다음으로 다양성과 상호 존중 이해 활동, 미래지향적 세계관 확립 활동, 나눔과 배려 실천 활동, 베트남어 교수·학습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은 자기주도적인 조사·발표 활동들을 통해 한·베 관계 이해의 필요성을 스스로 인식하였고, 또한 미래지향적인 글로벌 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었다.
        4,500원
        152.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mmon features of walking in patients with stroke include decreased gait velocity and increased asymmetrical gait patter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impairments in gait velocity and asymmet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were 30 independently ambulating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The subjects’ impairments were examined, including the isokinetic peak torque of knee extensors, knee flexors, ankle plantarflexors, and ankle dorsiflexors. Passive and active ranges of motion (ROM) of the ankle joint, ankle plantarflexor spasticity, joint position senses of the knee and ankle joint, and balance were examined together. In addition, gait velocity and temporal and spatial asymmetry were evaluated with subjects walking at their comfortable speed.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airments and gait speed and impairments and asymmetry.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ankle passive ROM and peak torque of knee flexors were important factors for gait velocity (R2=.41), while ankle passive ROM w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for temporal asymmetry (R2=.35). In addition, knee extensor peak torqu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gait spatial asymmetry (R2=.17). Limitation in ankle passive ROM and weakness of the knee flexor were major contributors to slow gait velocity. Moreover, limited passive ROM in the ankle influenced the level of temporal gait asymmet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Our findings suggest that stroke rehabilitation programs aiming to improve gait velocity and temporal asymmetry should include stretching exercise for the ankle joint.
        4,000원
        153.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vement and home range of the red-tongued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from June 2006 to June 2009. This snake species inhabits an islet on Jeju Island, Gapado. A total of 132 individual snakes were marked during the study. Among the marked individuals, the number of snakes recaptured more than once was 22 (16.8 %)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recaptured more than twice was eight (6.1 %), indicating a relatively low recapture rate. The durations from capture to recapture varied from 1 to 710 days. However, the capture points were not much different, indicating that the moved distance of snakes and the interval between capture-recapture were not correlated. The home ranges of the Red-tongued viper snakes calculated from data of the snakes which were captured more than three times using the MCP(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were 8∼167 ㎡(64.0±57.0 ㎡), suggesting that this snake is relatively sedentary. Home range size differences between female (Mean=62.0 ㎡) and male (Mean=66.0 ㎡) snak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red-tongued viper population of Gapado,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ody size and home range size although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r=0.675). Our results provide valuable data to understand life patterns of the red-tongued viper snakes and will be useful when conducting further ecological studies on other snake species.
        4,000원
        154.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home range size of the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by observation using the natural markings in the suburban area of Busan from December 2009 to May 2010. In all, 26 individual kestrels were observed in the study area, of which 14 individual kestrels were frequently observed (more than five times) and 12 were observed less frequently (less than five times). Mean home range sizes of the 14 frequently observed kestrels were estimated using two different methods (minimum convex polygon (MCP) method and fixed kernel (FK) method): 34.49 ㏊(2.74–163.96 ㏊) by 100% MCP, 41.35 ㏊(3.54– 99.02 ㏊) by the 95% FK, 14.33 ㏊(0.20-31.57 ㏊) by the 75% FK and 5.75 ㏊(0.52–14.74 ㏊) by the 50% FK. The mean home range size was larger for males than for females estimated at 51.50 ㏊(15.04–163.96 ㏊) and 11.80㏊(2.74–24.48 ㏊), respectively, by the 100 % MCP method and 8.02 ㏊(2.38–14.74 ㏊) and 2.72 ㏊ (0.52–4.28 ㏊), respectively, by the 50 % Fixed Kernel method. The home range sizes by sexes in breeding pairs differed during the wintering and breeding seasons; the sizes decreased among females but increased among males during the breeding season. Such differences of home range sizes between sexes could be attributed to parental role division during the breeding season. Females stay in the nest or next to it during laying, incubating, and feeding activities, and males go far away from their nest sites to forage areas for their fledglings for most of the breeding period.
        4,300원
        155.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pain, neck disability index (NDI), cervical range of motion (ROM), and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eck pain. Following baseline measurements, the subjects (N=40) with unilateral neck pain were randomized into one of two 5 weeks exercise intervention groups: a experimental group (EG, n1=20) that received strength training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s or a control group (CG, n2=20) that received routine physical therapy program. Each group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for 30 minutes, 3 times a week, for 5 weeks. All participants performed 2 repetitions of each intervention per day. The numeric pain rating scale for pain, NDI, ROM, and lower trapezius strength were recorded both pre- and post-intervention for both groups. Paired t-tests were used to determine significant changes post-intervention compared with pre-intervention and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2 groups. After the 5-weeks intervention, both groups experienced significantly decreased pain and disability level (p<.05)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ervical flexion, extension, lateral flexion, and rotation ROM (p<.05). The EG that received strength training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s showed greater improvements in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level, cervical rotation, and lower trapezius strength than the CG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lower trapezius strengthening exercises reduce neck pain and neck disability level and enhance cervical ROM and lower trapezius strength level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eck pain.
        4,200원
        15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surgery and shoulder surgery patients on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ROM), degree of pain and dysfunction, and scapular pos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total of 90 women: a breast cancer surgery group (BS, n1=30), a shoulder surgery group (SS, n2=30) and a control group (n3=30). Shoulder ROM, the Quadruple Visual Analogue Scale (QVAS), the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and the Scapular Index (SI) were used to assess shoulder func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rosstab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Post-hoc testing was carried out with Bonferroni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ulder ROM when the BS and the SS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between the BS and SS.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ulder pain between both surgery groups, and there was greater shoulder dysfunction in the SS than in the B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extremity posture when the BS and the SS we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extremity posture between the BS and the SS. This study compared shoulder ROM, pain, dysfunction, and upper extremity postures between the BS and S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ulder ROM, pain, and upper extremity posture between both surgery groups, the level of dysfun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health professionals managing for breast cancer surgery or shoulder surgery patients should consider these outcomes.
        4,000원
        15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둥오리는 대표적인 한국내 월동 수조류로 넓은 농경지를 월동지로 이용한다. 한국의 중부지역에 위치한 만경강 하류지역에서 청둥오리 월동 행동권 및 월동지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2013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청둥오리 7개체에 GPS-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부착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MCP)에 의해서 118.8km2(SD=70.1, n=7) 이었으며, 커널밀도측정법(KDE)으로는 60.0km2(KDE 90%), 23.0km2(KDE 70%) and 11.6km2(KDE 50%)이었다.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 부착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는 평균 19.4km이었으며, 최대이동거리는 33.2km, 최소이동거리는 9.4km이었다. GPS좌표가 획득된 정점간 거리는 평균 0.8km이었으며, 정점간 이동거리는 최소 6.5km에서 최대 19.7km이었다. 청둥오리는 월동기 동안 매우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으며, 월동지에서 수계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
        4,000원
        158.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안전심판원은 해양사고가 발생하면 그 원인을 규명하고 재결결과에 따 라 관련 당사자인 해기사들을 징계할 수 있다 이러한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 은 사고관련 당사자에게 직접적인 효력을 미침은 물론이고 후속적인 민사 및 형사소송에까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재결은 해양안전심판원의 심판관 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심판관은 재결을 행함에 있어서 증거를 기준으로 하여 심증을 형성하고 이는 현행 해양사고의조사및심판에관한법률 제 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증거의 증명력은 심판관의 자유로운 판단에 따른다 는 규정을 근거 로 증거의 증명력을 인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돌사고와 관련하여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는 중앙해양안전심판원과 부산지방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결과를 분석한 후 민사소송법과 형사소송법을 참고로 하여 심판관의 증명력 인정범위 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그 연구결과로서 해양안전심판의 특성에 비추어 기본적으로 의 증 명력 인정범위내의 증명력보강에 의한 상승가능성 포함 의 해석상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다만 해양사고는 그 경중을 분리할 수 있는 뚜렷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본질적으로 행정심판의 성질을 가지는 해양안전심판 이 범죄에 대한 형벌을 부과하는 절차인 형사소송법과 동일한 정도로 증명력 인정범위를 강력하게 제한할 필요는 없다는 점과 직권주의에 의한 관여가 전 혀 없이 중립적인 입장만을 견지해야하는 민사소송법상의 입증보다는 더 엄 격해야 한다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서 일단 자유심증주의가 규정되어 있는 이상 심판관의 증명력 인 정범위를 완벽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어렵다고 할지라도 민사소송법과 형사소 송법의 증명력 인정범위에 대한 기준을 참고로 하여 증거의 확보가 어려운 해양사고에서 객관적인 사실인정을 위해서는 증명력 인정범위에 대한 기준으 로서의 수치화의 제시가 어느정도 필요하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러한 관점에 서 본 연구의 증명력 인정범위에 대한 기준의 제시와 증명력 보강에 대한 해 석방향의 제시는 후속연구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8,000원
        159.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너구리는 대표적인 식육목 개과 동물로서 국내 전역에 서식하는 종이다. 너구리의 경우 광견병의 매개체로 알려져 있으며, 광견병은 한강이북지역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나 최 근 인구 밀집지역인 화성시, 수원시에서 발생함에 따라 사 육 개를 비롯한 야생동물에 대한 백신 투여 등 막대한 경제 적 손실을 유발하였다.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해 발생한 인 근 지역으로 방역범위 설정 및 매개체에 대한 지속적인 예 찰활동이 필요한 실정이다. 적절한 방역범위 설정을 위해서 는 너구리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으며, 가장 기초적인 연구가 서식환경에 따른 행동권 파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견병 발생지역에 대한 적절한 방역범위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너구리의 행동권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3월부터 2014 년 10월까지 수원, 화성, 안산, 안양 지역에서 너구리를 포 획,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하였으며, 야행성인 너구리의 서식특성을 감안하여 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추정 되는 시간인 매일 밤 8:00와 새벽4:00에 GPS 좌표를 취득 하였으며, 일주일에 3번(월, 수, 금) 관련 좌표를 송신 받았 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서식하는 환경에 따라 농촌지역(화 성, 안산, 평택-초지대, 농경지인접지역)과 도심지역(안양, 수원-도심생태하천, 도심공원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 석하였으며, 기온에 따른 행동권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동 절기(11월-2월)와 비동절기(3월-10월)로 구분하여 너구리 의 행동권을 분석하였다. 일정한 행동권이 없이 비정상적인 패턴(분산, 일정한 행동권이 없는 경우)을 보이는 너구리는 결과에서 제외하였다. 행동권의 분석은 ArcGIS 9.X 버전을 이용하여 최소블록 다각형(Minimum Convex Polygon)으로 분석하였으며, 돌 출된 비정상적 좌표(5km이상 이동)는 결과에서 제외하였 다. 분석된 자료는 비모수 검증(Mann-Whitney test)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농촌지역(n=7)은 평균행동권이 0.61±0.50㎢ (Mean±SD)였으며, 도심지역(n=4)은 0.61±0.44㎢으로 확 인되었으며, 비모수검증 결과 두 지역 간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Z= -0.189, P>0.05). 따라서 농촌지역과 도심지역의 행동권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농촌지역의 너구리는 산림지대가 주변에 있을 경우 산림 지역과 접해 있는 임연부 지역에 주로 서식하였으며, 하천 변의 너구리는 주변 농경지와 하천을 번갈아 가며 서식하는 양상을 보였다. 도심지역 너구리는 도심생태하천의 경우 하천수계를 따 라 행동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간혹 아파트 단지까지 행동 영역으로 하고 있었다. 수원시 서호일대에 동일 지점에서 포획한 2개체의 경우 한 개체는 공원위주로 서식하였으며, 한 개체는 고립된 산림지역 위주로 서식하여 행동권이 겹쳐 지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동절기와 비동절기의 행동권의 차이는 동절기(n=7)의 경 우 0.55±0.47㎢이었으며, 비동절기(n=9)의 경우 0.40±0.38 ㎢로 수치상으로는 비동절기에 다소 좁은 행동권을 보였으 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너구리는 서식환경(기온, 서식지역)에 따른 행동권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좁은 공간에서 집약 적으로 활동하는 너구리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선행문헌(최와 박 2006; 김 등 2008) 과의 비교에서도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다만 농촌지역의 경 우 산림지역과 초지대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 며, 도심지역의 경우 하천수변 지역, 공원지역 등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간혹 민가 인근(아파트, 건물)으로 유입되는 경 향이 있었으나, 주 활동지역은 사람과의 접촉이 드문 지역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