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2

        141.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for excellent teacher training as the global current, and as a result, gain th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favorable directions to train schoolteachers. To accomplish such objectives, the tea
        6,900원
        142.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도시는 비자립적인 공간으로서 시민의 다양한 요구를 충 족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공급받아야만 유 지될 수 있으며 생산, 소비, 재생산의 일련의 과정이 순환적 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우리나 라의 도시화율은 유래 없이 급격한 변화를 보여 왔다. 우리 와 미국을 비교하면 미국의 경우 1970년 73.6%에서 2010 년 82.0%로 변화하였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1970년 40.7%에서 2010년 83.0%로 더 높고 빠르게 진행되었다(통 계청 국가통계포탈, 2011). 이러한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집중화는 도시의 부족한 자족기능 및 순환기능을 더욱 악화시켰고 이로 인해 도시환경 악화, 녹지훼손, 인공시설 물 증가, 에너지 과다 사용, 도시열섬현상과 인간소외, 지역 공동체의 와해, 지역 간 경제 불균형과 같은 다양한 사회·환 경적 도시문제들을 일으켰다. 따라서 현재 지속가능한 도시 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도시농업은 그 대 안의 그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도시에서 농업은 식량생산이라는 1차적인 기능 이외에 도시 여가활동의 하나로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다원적 기능 을 지니며 레크리에이션, 및 여가활동과 함께 신선하고 안 전한 농작물을 스스로 가꾸고 수확하는 것에 대한 기호현상 으로 나타나고 있다(김진환, 2010). 도시농업은 녹지공간의 확보, 도시온도 저감, 에너지 사용 저감 등 도시환경을 개선 하고 단절된 도시생태계 순환을 회복시키며 최근 전 세계인 이 관심을 가지는 안전한 먹을거리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식량자급률을 향상시키고 농업에 대한 인식 전환으로 도시와 농촌의 균형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텃밭이라는 공동의 공간과 공통의 관심사를 통해 단절된 지역공동체의 회복시킬 수 있으며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한 개인주의의 완화와 시민의 정서 함양 증진을 기대할 수 있 다. 또한 고령인구의 도시농업을 통한 여가활동은 지속적 인 신체활동으로 건강을 증진시키고, 노인계층이 새로운 생산 구성원 역할을 수행하는 등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이렇듯 도시농업은 우리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다. 따라서 현 재 분산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도시농업을 체계적이고 건전 하게 발전시키기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에서는 수도권 도시민의 도시농업 참여실태 및 현황을 분석 하여 이를 체계적인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기 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도시농업은 다양한 주체와 목적, 공간 및 범주, 이용대상, 재배행위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며 아직은 도시농업의 개 념에 대한 충분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 구에서는 도시농업을 ‘도시지역(도시행정구역, 용도지역으 로서 도시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경작 활동으로 작물, 화훼, 가축을 생산하는 영리목적의 농업과 여가나 체험적 성격의 농사활동’으로 정의하였다. 다만 도시라는 특수성을 감안하 여 친환경적, 자원순환적 농사활동에 대한 내용이 포함한 다. 특히 땅을 가지지 않은 대다수의 도시민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소규모의 여가나 체험적 성격의 농사활동에 대 한 참여실태 및 요구를 주로 파악하였으며 수도권 시민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2. 연구 방법 characteristics (n=153) 수도권 도시민에 대한 도시농업 참여실태 및 요구를 파악 하기 위해 2011년 06월부터 07월에 걸쳐 운영주체와 공간 형태를 기준으로 도시농업 유형별 대상지의 운영자와 참여 자를 구분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1:1 면접조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사전 연락 후 현 장 방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2011년 09월03일(토) 주말을 이용해 뚝섬유원지를 방문한 일반 시민들 중 서울그린트러스트에서 주최하는 주 머니텃밭 이벤트 보급 사업에 참여한 도시민을 대상으로 오전 10:00에서 오후 3:00 사이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사전 정보 없이 접한 도시농업 관련 행사시간 을 할애하고 번거로운 과정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평소에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이 있었고 잠재적으로 참여의지가 있 는 것으로 전제하고 선행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Self Adminstration) 설문조사 법을 이용하였으며 설문조사 참여자 175명 중 153명의 답 변을 최종 유효자료로 분석하였다. 확인/검증을 거친 최종 유효자료에 대해 코딩, 수정 과정을 거쳐 SPSS를 이용, 빈 도분석,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도시농업 인지도, 도시농업 실시여부, 재배유 형이나 재배규모 등 참여실태에 관한 내용과 친환경 농업에 대한 태도, 도시농업을 통한 농산물의 안전성, 도시농업 활 성화 방안 등에 관한 내용이다. 결과 및 고찰 1. 일반현황 설문 응답자의 성별의 구성 비율은 남성 45.8%, 여성 54.2%로 여성비율이 다소 높았고 평균 연령은 53세로 응답 자의 연령층이 다소 높았다. 거주지역은 설문조사 실시장소 에서 인접한 서울시 광진구에 밀집되어 나타나는 한계를 나타냈으며 거주기간은 평균 13.3년으로 5년 이상 10년 미 만 거주한 비율이 25%로 가장 높았다. 주택유형은 아파트 41.8%, 단독주택 33.3%, 연립/다세대주택 24.2%순으로 나 타났다. 설문 응답자의 가족 구성원수는 평균 3.5명으로 3-4 명인 경우가 83명(54.2%)로 가장 많았다. 가족 구성원 중 취학 전 아동이나 초등학생이 있는 경우는 28.1%이고 65세 이상 노인이 있는 경우는 44.4%로 이는 설문응답자의 연령 층이 높은 데 기인한 결과로 보인다. 2. 도시농업 인지도 및 활동여부 도시농업에 대해 들어봤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67.3%가 들어봤다고 대답했으며 이는 농촌진흥청의 전국 도시민 대 상 도시농업 실태 및 의식조사 결과(이하 농진청) 21.3%와 비교한 경우보다는 높은 수치이다. 농진청의 연구와 마찬가 지로 도시농업 활동층(67.4%)이 비활동층(32.6%)보다 인 지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번 설문의 경우 응답자들이 잠재적으로 참여의지가 있는 도시민을 대상으 로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설문 응답자 중 도시농업 활동층은 55.6%로 60대 이상의 경우 80% 이상이 도시농업에 참여하고 있는 반면, 50대의 경우는 50%, 30대의 경우는 16.7%로 도시농업 활동층의 연령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주로 TV(51.6%) 를 통해 도시농업을 접했으며 인터넷(12.5%)이나 주변의 소개(11.7%)를 통해 접하였다.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인터 넷, 서적 등 일부 매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을 감안 할 때 이들에 대한 도시농업의 인식 확산을 위해서는 시민 단체의 보급행사나 접근성이 좋은 TV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공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시농업 활동여부와 주택유형과의 교차분석 결과 옥상의 활용이 자유로운 단독주택 거주층의 활동비율은 51.2%인 반면 옥상의 이용이 자유롭지 못한 아파트 거주층 은 26.7%, 연립/다세대주택 거주층은 22.1%에 불과한 것으 로 보아 재배 장소확보가 주된 동기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도시농업 활동층과 비활동층의 도시농업 참여실태 및 태도 도시농업 활동층 중 주택 내부1) 재배층은 58.1%, 주택 외부 재배층은 5.8%, 주택내부와 외부에서 모두 재배하는 층은 36.0%로 주로 주택 내부에서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 다. 단독주택 거주층에서는 주택 내부(72.7%), 특히 옥상을 이용한 재배활동이 활발했고 아파트나 연립/다세대주택 거 주층의 경우 주택 외부 재배 비율이 더 높았다. 비활동층 역시 향후 재배방법으로 주택 내부(76.9%)를 선호하였다. 활동층의 경우 주택 내부에서 평균 20여개의 화분/상자 나 평균 6.7평의 토지를 활용하며 주택 외부에서도 텃밭이 도시내부에 위치한 경우 주로 11평 미만(73.4%)의 토지에 서 소규모로 활동하고 있다. 비활동층 역시 11개 미만의 화분/상자(78.9%)나 11평 미만(75.9%)의 소규모 활동을 기 대한다. 반면 토지확보가 비교적 용이한 도시외부에 위치한 경우 11평 미만인 경우가 43.0%이고 최대 500평까지 언급 되는 등 도시에서 멀어질수록 토지규모가 커진다. 다만 토 지소유형태가 본인 소유 토지를 활용하는 경우(27.8%)가 가장 많았고 개인이 운영하는 주말·체험농장을 임차하는 경 1) 주택내부 : 이 때 주택내부는 아파트의 경우 ‘단지 경계’ 를 기준으로 공동텃밭, 정원, 뜰 등을 포함하며 일반 주택 의 경우 ‘담’을 기준으로 정원, 마당, 뜰 등을 포함 우(16.7%)로 도시 내에 토지를 보유하기 힘든 도시민의 특 성상 도시에서 먼 거리에 위치한 경우를 선호하지 않았다. 도시농업의 경우 도시라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친환경적, 자원순환적 농사활동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도시농업 활 동층에서 60.5%는 병해충관리를 위해 농약을 사용하지 않 고 44.2%는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비활 동층 역시 93.9%가 친환경농업이 필요하다고 대답해 도시 농업에서 순환의 개념에 대한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으며 연령층이 높아질수 록 특히, 재배규모가 넓어질수록 순환의 개념에 대한 필요 성에 회의적이었다. 따라서 도시농업에서 순환성에 대한 인 식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대 체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에 대한 손쉬운 방법과 이에 대한 매뉴얼 개발, 적절한 홍보가 필요하다. 도시농업을 통해 생산된 농산물에 대해서는 62.7%가 안 전하다고 답했고 안전하지 않다고 답한 경우 그 이유로는 텃밭 근처의 토양오염이 22.8%로 가장 높았다. 또한 텃밭 토지의 예전 용도를 모르기 때문(19.3%)이라고 답했다. 운 영자와의 인터뷰에서는 지속적인 토양의 안전성을 위해서 는 화학비료 등의 사용이 중요하다는 언급이 있었다. 4.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설문조사에 의하면 개인 참여자의 경우 도시농업을 활성 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농업 상담소 및 전문교육 운영 (28.8%), 공공차원에서의 농지 확보(27.5%), 도시농업 프 로그램 개발 보급(17.6%), 작물재배, 종자구입에 대한 안내 서 개발, 보급(13.7%), 도시농업에 적합한 농자재, 농기구 개발, 보급(7.2%),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법률 제정 (5.2%)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했다. 인터뷰 결과 공공기관의 운영자의 경우 농사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으며 일반참여자와 비슷한 양 상을 보이며 도시농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재 배방법에 관한 교육이나 토지확보, 흙의 공급, 모종과 종 자에 대한 지원 등을 중요시했다. 반면 도시농업 관련 시민단체 운영자의 경우에는 토지확보를 가장 중요시했 다. 토지 확보 자체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개발압력 등으 로 토지주와의 계약이 1년 단위에 그치는 것으로 인해 참여자들 간의 커뮤니티 형성이나 지역 공동체회복의 기능이 약화되는 것을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언급했다. 이를 위해 근본적인 농지보전에 대한 제도적, 법적 기반이 마 련되어야 하며 이와 병행하여 자투리공간에 대한 텃밭 조성이 필요하다는 언급이 있었다. 이 외에도 도시농업의 활성화를 위해 관공서와의 의견(방향성) 조율, 인력부족 등을 해결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인용문헌 농촌진흥청(2010) 전국 도시민 대상 도시농업 실태 및 의식조사 결 과, 농촌진흥청 김진환(2010) 도심지 유휴공간을 활용한 도시생활농업 추진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v.2010 n.01 통계청 국가통계포탈(2011)
        4,000원
        14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ome appropriate models which account for attitudes toward practice of consuming dog (ACD) as a food and as a companion animal. Two models, one for males and the other females, were found from 670 community-dwelling respondents of the Gwangju Metropolitan area who aged 17~66 years. Age, keeping dog or willing to keep dog, and frequency of consuming dog as a food (FD) were exogenous variables in the models while attitudes toward companion animal were a mediating variable. The two models were slightly different, bu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ccounting for the ACD was the FD.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ACD were discussed in two dimensions of affect and utility which were motivational attitudes to animal. People who are against consuming dog meat as food would think of all dogs as only affectionate objects, and their points of view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both keeping dog and restricting dog meat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are for consuming dog meat would think of dogs as either affectionate or utilized objects, and their points of view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halving dogs into companion dog and edible dog.
        4,000원
        14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연공원의 하나인 무등산도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탐방객의 인식 및 태도를 이해하고자 실시되었다. 2010년도 9월 중 무등산도립공원에서 실시된 현지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총 401명의조사대상자가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총 응답자의 61.7%가 무등산도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에 대하여 '반대' 의사를 표명하였으며 '찬성' 의사를 나타낸 응답자는 20.6%로 나타났다. 케이블카 설치로 인하여 '생태환경 및 자연경관 훼손', '늘어난 방문객수로 인한 혼잡문제', '무등산도립공원의 자연성 및 자연경험의 소멸이 발생할 것이라는 것에 높은 동의를 보인 반면, '관광객 유치로 인한 경제소득 증대 및 지역경제 성장에 긍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낮은 동의를 나타냈다. 총 응답자의 32.4%가 현재 무등산도립공원을 '자연보존지역'으로 보았으며 10.5%는 '개발공원지역'이라고 응답하였다. 반면, 총 응답자의 48.8%는 무등산도립공원이 '자연보존지역'으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단지 2.5%만이 '개발공원지역'으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답변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수준, 광주시 거주기간), 이용행태(무등산도립공원 및 무등산도립공원 내 중봉일대지역의 방문경험)및 장소에 대한 규범이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지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몇 가지시사점을 제시하였다.
        4,200원
        14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healthy dietary life and purchase of environmental-friendly food materials according to a mother's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LOHAS) attitudes. The subjects consisted of 295 mother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ther's LOHAS attitude index averaged 3.39 points out of 5 points. High LOHAS attitude items were "I participate actively in separating the trash collection" (4.16 points), and "I recycle dresses that I do not wear by taking them to the recycling center" (4.08 points). In contrast, LOHAS attitude items for "I do community service activity on the weekend" (2.57 points), and "I try to serve in the local community" (2.63 points) scored very low. A high LOHAS behavior index occurred for mothers who were "resource saving", whereas "social welfare" scored low. Mother's intention to purchase environmental-friendly food materials averaged 3.61 points. Mother's health dietary life attitude score averaged 3.52 points. When age, monthly income, and the environmental-friendly food materials purchase ratio of the mother was high, the health dietary life performance was high. The LOHAS attitude index of mothers had an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food materials in resource saving and environmental-friendly oriented propensity groups. The LOHAS attitude index of mothers impacted healthy dietary life in environmental-friendly, family and health oriented propensity groups.
        4,200원
        148.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facilitate students'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growth. The researcher applied the sport education model in real school settings in order to provide high quality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he pur
        5,400원
        14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explain and identify the impacts of cognitive components of rice on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with the actual rice purchasers at some kind of retailing store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words and pictures information about rice influences on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and price information had effect to consumers' attitudes but not affect to purchase intention. Second, it shows differential effects in how components of words, pictures and price information influences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by types of consumer's characteristics factors such as occupation, age and residential area, except for price had effects to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marketers of distribution stores that selling rice have to enhance brand awareness of product by communicating types of information in a manner tailored to custo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 factors.
        4,000원
        150.
        2010.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iscusses the results of two questionnaire surveys which are designed to find out how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ive some problematic English sentences and how their imperfect knowledge of English grammar affects their attitudes towards speaking English. The major purposes of the paper are: first, to analyze what erroneous sentences they find either correct or incorrect; second, to find out how much they can be lenient with problematic Eng lish sentences by analyzing what sentences they think are fine to understand and would use; third, to investigate how their lack of proper knowledge of English grammar affects their attitudes in using and learning English; and fourth, to discuss importance of grammar teaching in an EFL classroom. In line with recent studies on World Englishes, this research adheres to the idea that it is significant to give students opportunities to use the language without fear of making grammatical mistakes rather than emphasizing Standard English and the correct language. However, the results of the surveys show that the lower the level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the more they want to speak grammatically correct English, and the lesser they show leniency towards deviant English structures.
        5,700원
        15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wareness of pollution and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clothing according to women's LOHAS lifestyle. Over 60% of women were not aware of severity of environment pollution by clothing wastes and 37.2% kept their not-wearing clothing in dead storage. 26.7% of women disposed notwearing clothing into clothing collecting box separately and 20.9% sent them to neighbors or friends. 39.4% of women were willing to pay 10% more for eco-friendly clothing and 84.6% were not willing to buy clothing produced by unethical companies. Factors of LOHAS lifestyle were healthy food, environmental protection, family life, healthy clothing, healthy housing, and community service, and were segmented into using leisure group, family centered group, LOHAS group, and LOHAS stagnated group. Using leisure group were university women with low incomes, well aware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clothing wastes and eco-friendly clothing, kept their not-wearing clothing into dead storage, and low intention to buy clothing produced by unethical companies. Family centered group were women of 30’s with average income and higher educationl, unaware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clothing wastes and eco-friendly clothing, but low intention to buying them, disposed not-wearing clothing into clothing collecting box. LOHAS group were the over forties home makers with higher income and education, well aware of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sent not-wearing clothing to others or remodeled, intended to buy eco-friendly clothing, and not to buy clothing produced by unethical companies. LOHAS stagnated group were university students, unaware of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clothing wastes and threw not-wearing clothing into trash box, no experience of eco-friendly clothing, could buy clothing produced by unethical companies if needed.
        4,800원
        152.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인인구 증가 및 만성퇴행성 질환의 증가 추세 속에서 장기요양보호 대상에 대한 간병서비스의 필요성은 증가하는데 반해 가족에 의한 노인간병과 보호의 기능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앞으로 간병인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서 건강상의 문제를 지닌 노인환자를 가족들을 대신해 보수를 받고 돌봐주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간병인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 수준을 알아보고, 실제로 노인의 태도가 업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의 관계규명을 통해 앞으로 노인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 및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 전환을 통해 서비스의 질은 물론 업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5,500원
        15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교도소 수형자의 심리적 요인과 시설내 적응태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 전과력 및 범죄유형에 따라 심리적 요인과 시설 내 적응태도에서 각각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내의 3개 교도소에 수감 중인 초범 및 재범의 성인 남녀 수형자에게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407명의 응답자료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및 사회적 지지의 지각은 각각 교도관에 대한 태도, 준법 태도 및 수형생활 자기 긍정도와 정적상관이 유의하였다. 분노는 시설내 적응태도 네 가지 하위변인들과 각각 부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또한 심리적 요인들을 수형자의 성차, 전과력 및 범죄유형별로 차이 분석한 결과, 분노수준은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고, 내적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은 여자가 유의 하게 더 높았다. 전과력별 차이검증 결과에서는, 분노수준은 초범보다 재범이 더 높았고,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및 사회적 지지의 지각은 모두 초범이 더 높았다. 범죄유형에 따라서는 강력범의 분노수준이 재산범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 다. 성별, 전과력 및 범죄유형별 시설내 적응태도의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시설 내 적응태도의 4가지 하위요인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초범이 재범보다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특히 남자수형자, 재범, 강력범 수 형자들에 대한 분노조절 및 사회적 지지와 내적 통제의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6,100원
        15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15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chi and soup/stew samples were collected from Korean restaurants in the Jeonju area and their salinity levels were analysed. Restaurant owners were also surveyed to assess their salt acceptability and attitudes. The average salinity of the Kimchi samples was 2.0±0.4% and that of the soup/stew samples was 1.0±0.3%. The average salinity of the soup samples was 0.9±0.2% and that of the stew samples was 1.1±0.3%, and the average salinity of the stew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oups (p〈0.001). The average salinity of bean-paste soups was 0.9±0.2% and that of clear soups was 0.8±0.2%, in which the average salinity of the bean-paste s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lear soups (p〈0.05). When asked about the saltiness of their side dishes, soups/stews, and Kimchi, the largest number of owners answered 'ordinary'. About 50.4% of the owners also answered 'ordinary' for their salt acceptability, and 59.8% answered that their customers have 'ordinary' salt acceptability. However, a significantly higher ratio of owners in the group whose Kimchi samples had low salinity answered that their customers' salt acceptability was for 'flat' foods as compared to the group whose Kimchi was of high salinity (p〈0.05). About 45.7% of the owners answered that 'they participated in controlling the saltiness of all their dishes', and 40.2% answered that 'they considered the traditional saltiness of their menu items as more important than the saltiness acceptability of their customers.' Also, 82.7% of the owners answered 'they made the Kimchi themselves.' The types of frequently served soup were clear soup, such as bean-sprout soup and seaweed soup, followed by bean-paste soup and thick beef soup, in order. The types of frequently served stews were Gochujang stew with frozen pollack or croaker, bean-paste stew, and clear stew.
        4,000원
        159.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dividuals' perceptions toward green tea and green tea cafes according to their usage of green tea cafes,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completed by 200 respondents who had been to green tea cafes and by 200 respondents who had not. The visitors of green tea cafe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regarding the atmosphere, familiar taste, good quality of raw foods, freshness of foods, good service, excellent taste, and menu variety of green tea cafes. Males perceived green tea as 'good for health' more than the femal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green tea cafes by marital status. Regarding a popularization plan for green tea cafes, the customers felt more need for a tea sommelier than the non-customers, and females versus males felt stronger about having a tea sommelier that w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taste various tea products and develop a green tea menu that considered nutrition and health. Unmarried respondents felt a greater necessity for having a place with a comfortable environment, tasting a variety of tea products, and having a chance to experience tea culture. When selecting a green tea cafe, the quality of the food and cleanliness of the cafe were considered to be most important. The implications of the data are discussed.
        4,000원
        160.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탐구는 학교과학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학교에서 주어지는 문제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고 부딪치는 문제들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문제에 대한 인지도식을 거의 갖고 있지 않을 때, 과제에 대한 태도와 사고력이 문제해결과정, 특히, 문제공간의 형성과 정교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미국의 한 영재센터 여름방학 프로그램 중 4-6학년 영재학생 대상 '레고 로봇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을 추적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제의 선택과 파악방법, 작동자에 대한 인식의 차이 등 과제에 대한 태도는 서로 다른 문제공간을 형성하게 하였다. (2) 분석적 사고, 융통성, 효율적인 정교화 기술, 기존 인지도식의 적용 등의 사고력의 수준 차이는 문제공간의 정교화 차이와 문제해결의 성공여부로 이어졌다. (3) 초기의 문제공간의 차이는 문제해결전략의 형성 차이를 가져왔지만, 사고력 없이는 효과적인 문제해결전략의 정교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탐구를 증진시킬 몇 가지 사항이 제안되었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