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1

        162.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use the general national road's bridge format information to carry out the efficient maintenance services. Especially maintenance method of the operating new-type girder bridges is treated by collecting the information of them
        164.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publishes Yearbook of Road Bridge and Tunnel Statistics once every year. Also,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KICT) is operating the website based on GIS to provide the status information of bridges and tunnels on the road. In this paper introduces road Bridge and Tunnel Information(BTI) system that offers the base data for the effective maintenance of bridges and tunnels on the road.
        166.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ut slope distributed in domestic, which have single horizontal extension over 200m and 50m of vertical height are classified into 2nd class facility by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Structures>. Collapse of these cut slope occurs by thaw, rainfall, soil characteristics. Recently, frequency of small size cut slope collapse is increasing. Accordingly, central government partially revised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Structures> with the contents of expansion of 2nd class facility's scope and standard and it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maintenance and management measures of cut slop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distribution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highway cut slope within the scope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based on the status data of 2nd class facility (cut slope) to examine the maintenance status.
        168.
        2015.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협약」이 ‘13년 10월 채택됨에 따라 국내 이행대책 마련에 필요한 각국의 정책・연구사례 등을 수집・분석하고 신규 국제규제 도입에 따라 국내 관리 규정과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파악 등 협약 발효에 대비한 국제적 요구 사업의 적극적 추진이 필요하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수은 함유 제품의 수은 함유 실태, 물질흐름분석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수은관리종합계획을 5개년(2011~2015)에 걸쳐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은관리대상 제품 중 안료・페인트에 관한 국제적 관리현황이나 국내의 각 법에 따른 관리에 대한 자료확보 상태가 미비하여 국내・외 안료 관리 현황을 알아보고, 연구현황 및 피해 사례를 검토하여 국내 수은 함유 제품 중 안료에 대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럽에서는 어린이 용품 중 점토 및 핑거페인트에 대해 8종의 중금속을 유해원소로 규정하고 있으며, 납, 카드뮴, 크롬, 수은 합에 대하여 190 mg/kg(수은 25 mg/kg)이하로 규제하고 있다. 수은에 대해서는 미국의 재료시험협회의 어린이용 완구 중 수은 기준 과 미국 환경청의 표면 코팅 유해물질 중 수은의 기준과 같은 기준으로 관리되고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의 ‘유해물질 함유 가정용품 관리법’에서는 기저귀, 양말, 가정용 페인트, 구두약품과 같은 가정용품에 대하여 유기수은화합물의 의도적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나, 배경농도로서 1 ppm은 허용하고 있다. 국내의 페인트 관리는 크게 사용환경을 고려한 품질기준과 적절 폐기 및 재활용에 대해 법으로 관리하고 있다. 페인트 품질기준으로는 GR인증기준 및 환경표지인증, KS 인증 등이 있으며, 유해성분 기준으로 대기환경 보전법에 ‘도료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함유기준’, 환경보건법의 ‘어린이활동공간에 대한 환경안전 기준’, 해양환경관리법으로 ‘방오시스템의 사용기준 및 방법’ 등이 있다. 2012년 환경부는 미나마타 협약에 대응하기 위하여 수은첨가제품에 대한 연간 사용추이를 조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전통적 또는 종교적 관행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문화재청에서 ‘단청 1도금용’ 으로 3 kg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과거 페인트에 세균증식 예방을 위해 수은을 첨가하는 사례가 있었으며 페인트와 잉크를 만드는 유기안료에서 황화수은 형태로 첨가하기도 하였다. 미국의 경우 1990년 어린이가 집안에 페인트를 새로 칠한지 10일만에 수은중독 증상이 나타나 이후 내장용 페인트의 수은 사용을 금지하기도 하였다. 국내에서는 한강야외 수영장에서 사용된 페인트에서 납 및 육가크롬이 검출되는 등 페인트에 대한 안전 문제가 여전히 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69.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frastructure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rapidly aging in spite of the major qualitative growth over a short period of time for the last fifty years and interest in the social needs for maintenance has been increasing. Consequently, the paradigm of the domestic infrastructure maintenance market is changing and the needs of users are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omestic maintenance survey and analysis, first-class and second-class public structures specified by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are showing remarkable results and effects through the enactment and improvement of related law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domestic maintenance market and its status and ensuing reactions regarding policy were proposed for future improvement.
        170.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국내 산사태, 토석류 등의 토사재해 대책에 있어서는 사방댐 등의 구조물적인 대책과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 등의 비구조물적인 대책으로 나뉠 수 있으나, 이는 산지 중심의 대책으로 토사재해 발생시, 직접적으로 피해를 받는 도심지에는 다양하고 적절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지 토사재해 방지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도심지 토사재해 대책을 파악하였다. 국내의 경우, 산사태를 주도적으로 연구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산림청의 산사태 방지 정책을 살펴보았다. 국외의 경우, 우리나라와 산지 피해 경향이 비슷한 일본과 도심지 토사재해 피해 저감을 목표를 두고 있는 홍콩을 중심으로 산사태, 토석류에 대한 대책을 조사해 보았다. 산림청의 「전국 산사태 예방 장기대책」은 5년마다 수립되며 산사태 재해 안전망 구축을 비전으로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대한 실천 과제로 4대 분야 12개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토사재해는 예전부터 발생된 자연재해 중의 하나로, 사방법(1897), 산사태 방지법 (1958), 급경사지법 (1969), 토사재해방지법 (2000)의 4대법을 이용하여 시설정비, 경계피난, 제한·규제가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홍콩의 경우, 1970년대부터 시작된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사면에 근접한 개발을 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한 도심지 피해 가중으로 사면 전담기구인 GEO (Geotechnical Engineering Office)가 설립하게 되었다. GEO의 핵심전략은 3가지로, 새로운 개발에 대한 대처, 사면 안전성을 향상으로 인한 위험 감소, 초래되는 영향 저감을 두고 있다.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한 통합관리의 방향은 3D 애니매이션 결과를 이용한 토사재해 피해 영향권 정보를 획득한 다음, 도시 계획 담당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173.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study of current status for domestic port facility management system, it wa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for building the ocean & port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74.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conducted comparison of the bridge maintenance index of South Korea, China and USA. In this paper summarized that The agency who take the maintenance activity, maintenance manual and characteristic of the bridge maintenance index. Also, based on summary and comparison, this study proposed sugesstions for improvements of bridge maintenance index.
        175.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olid waste management in China, the author presented generationand treatment status of municipal solid waste in China, and the composi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in the SouthernChina. Also following important definition and control measur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in China were reviewed.(1) The definition of solid waste, (2) Solid waste identification guide, (3) Leaching test for the determination of hazardouswaste, (4) Standard for pollution control on the landfill site of municipal solid waste, (5)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harmless evaluation criteria, and (6) Twelve Five national municipal solid waste treatment facilities construction plan.
        176.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화나무는 사군자 중의 하나로 절개와 지조를 상징해 선조들의 정신문화가 깃들어 있는 자연유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매화나무는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한 관상용 화목이 아닌 과실을 수확하여 활용하고 이익을 창출하는 과수작물로의 특징이 부각되어, 무관심 속에서 상징성이나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또한 유실수로서 다른 노거수들에 비하여 수령이 짧고, 상대적 규모가 작아 보존 ·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고사하거나 멸실 위기에 처해있는 노거수가 많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지정 매화나무노거수의 실태조사를 통해 현재 열악한 환경 속에서 고사 및 훼손되고 있는 상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중 우수한 자원에 대해서 는 천연기념물 · 시도 기념물 · 보호수 지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노거수의 생육상태, 관리실태, 수령, 자원가치 평가를 위한 정량화된 객관적인 기준의 부재로 보다 구체적인 평가기준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전국 매화나무 노거수 자원의 현황에 관한 기초자료의 부족으로 향후 다른 우수자원들에 대한 정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겨 두기로 한다.
        17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Korean electric power industry autonomously developed the 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Code (“KEPIC”) with politic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ith a view to creating domestic codes and standards for electric power facilities. Since KEPIC was initially issued in November 1995, the Korea Electric Association (“KEA”) has consistently updated it, developing new codes and standards like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and so on.
        18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에서 재난은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태풍, 홍수와 같은 자연재난, 화재, 붕괴 등과 같은 인적재난 및 전염병, 테러와 같은 사회적 재난으로 구분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온난화로 지난 100년간 자연재해 발생횟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화로 인한 재산피해도 지난 반세기동안 10배 이상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사회기반시설이 재해로 인하여 피해를 입게 되면 그 피해액과 국민들의 고통은 한층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재난관련 R&D 비중은 정부 전체 R&D예산의 1%에 불과한 실정이다. 올해 출범한 박근혜 정부의 140대 국정과제에서도 “총체적인 국가 재난관리체계 강화”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국가주요 기반시설의 건설 및 관리운영을 맡고 있는 철도공사를 포함하여 국토교통부 산하 공기업이 함께 재난관리 및 재난대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