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1

        161.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직파재배는 묘대기 보온이 가능한 이앙재배와는 달리 생육 전기간을 파종부터 본 논에서 직접기상의 영향을 받는다. 온대지방에서 벼의 발육속도는 파종기부터 출수기까지 기온에 비례하며, 각각의 생육단계에는 유효기온이 있다. 이러한 생태이론을 적용하여 지역별 농업기후조건에 따른 벼 건답직파재배의 안전작기를 설정하기 위한 생육단계와 안전재배기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파종 후 20일 이내로 출아될 수 있는 일평균기온 13℃ 의 출현시기로 파종조한기(CESD)를 결정한 결과, 북부의 인제 (4월 27일 )와 남부의 부산(4월 12일)의 지역간 차이는 약 15일이었다. 2. 출수 후 40일간의 이동평균기온이 22℃ 가 되는 출현초일 호적출수기 (OHD)로 결정한 결과, 북부(인제 7월 29일)와 남부(부산 8월 20일)의 지역간 차이는 약 22일의 차이가 있었다. 3. 일평균기온이 15℃ 가 되는 출현종일부터 역산한 적산기온이 760℃ 가 되는 시기로 등숙만한 출수기(CHDR)를 결정하였고, 그 결과 북부(인제 8월 18일)와 남부(부산 9월 16일)의 지역간에 약 29일의 차이가 있었다. 4. 일평균기온이 15℃ 가 되는 출현종일로 등숙만한기(CLRD)를 결정하였으며, 그 시기는 북부(인제 9월 28일)와 남부(부산 10월 28일)간에 약 30일의 차이가 있었다. 5. 지역별 건답직파재배기간의 적정기간인 파종조한기(CESD)부터 호적출수기(OHD)까지는 인제 93일, 수원과 대전 110~120일, 전주 밀양 및 부산 등지는 120~130일이었고 재배가능 기간인 등숙만한기(CLRD)까지는 인제 154일, 수원과 대전 170~180일, 전주, 밀양 및 부산 등지는 180~200일이었다.환경적응성이 낮은 경향이었다.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러 상황하(狀況下)에서 당면(當面)한 문제(問題)에 대(對)해 어떻게 대처(對處)해 야 할지를 모르는 여러 기술자(技術者)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162.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새로운 약용식물로 주목받고 있는 가시오갈피 (Eleutherococcur sentico년 Max. )는 국내에서는 꽃이 피어 열매가 익어가다가 여름철 고온에 의해 거의 탈락되어 실생번식을 위한 종자채종이 안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종자가 채종되고 있는 일본 북해도 지역의 기상과 국내 각 지역의 기온과 일조시간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 나라에서의 가시오갈피 채종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시오갈피가 채종되고 있는 북해도 지역은 8월에 개화되어 8월 하순~10월에 등숙이 이루어졌으며, 이 지역과 기온양상이 비슷한 곳은 대관령이다. 2. 가시오갈피의 맹아는 평균기온 7~8.5℃ 에 출현하였고, 꽃은 17℃ 이상에서 피었으며 개화기는 장수는 6월 중순경, 북해도는 8월 중순으로 2개월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3. 7~8월의 평균 최고기온은 북해도는 24.4℃ 대관령은 21.2℃ 로서 장수의 27.4℃ 보다 약 3~6℃ 정도 낮았으며, 특히 대관령은 6월~9월까지 평균 최고기온이 21℃ 전후로 계속 지속되므로 가시오갈피의 개화 및 등숙에 유리하여 채종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4. 가시오갈피 등숙기간중 유효적산온도(5℃ 이상)는 장수 1,524℃ , 북해도 807℃ , 대관령 964℃ (추정치)로 등숙에 알맞는 유효적산온도는 1,000℃ 내외이다. 5. 가시오갈피의 작물기간(평균기온 15℃ 이상 출현일수)은 장수는 135일, 북해도는 79일, 대관령은 85일로 물질생산에는 장수가 유리하였으나 채종에는 불리하였다. 5. 가시오갈피의 개화 및 등숙 초기인 7~8월의 월 일조시간은 북해도는 83.5~85.4시간으로 장수의 174.6~177.2시간 보다 크게 적어 낙화 및 낙과를 줄여 채종하는데 유리하였으며, 대관령은 121.7~128시간이지만 고온기의 평균 최고기온이 낮아 채종 가능 지역으로 추정되었다.
        163.
        199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inimum temperatures are important element in the daily human life, the climatic classification, and so on. In this study, the authors aim to make an analysi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inimum temperatures of 95 weather stations in Korea by using the Climatological Standard Normals of Korea VolumeI, VolumeII, and the Climatological Standard Normals of North Korea.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aily, fifthly, and tenthly minimum temperatures show the highest rate of occurrance on 14th of January( Occurrance rate : 56.6% ), 16~20th of January( 37.6% ), and the middle ten days of January( 82.1% ) respectively. 2) I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inimum temperatures in winter, the values of northern part, inland area, and west coastal region are lower than those of southern, coastal, and east coastal regions respectively. And, bigger cities and industrial area( Seoul, Incheon, Daejeon, Daegu, etc. ) have larger values than the its vicinities. 3) When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is 0℃ and less, the days of northern part, inland area, and wests coastal region are higher than those of southern, coastal, and east coastal regions respectively.
        164.
        199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의 생산비 절감을 위한 성력재배의 측면에서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 보급되고 있는 건답 직파재배 안전성을 기후적으로 검토하고자 출아 조한의 파종기 결정에 대한 유효기준온도인 일평균기온 10℃ 출현초일과 80% 출현시기를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가. 연차간('73~'92, 20년간) 변이는 일수로서는 약 20~30일, 표준편차(SD)로는 약 5~7일의 차이가 있었고, '88년 이후는 평균 출현초일보다 빨라져 영농면에서 큰 관심이 되고 있음. 나. 지역별 분포(기상청 관측의 56개 지점 분석)는 북부(대관령, 5월 1일)와 남부(부산, 3월 30일)간에는 약 30일 이상의 출현시기에 차이가 있어 우리나라의 기후자원량 분석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음. 다. 일평균기온 10℃ 평균 출현초일은 80% 출현 시기보다 약 10일 정도 빠른 경향이며 라. 19개의 수도재배농업기후지대별 평균 출현초일과 80% 출현시기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다시 단순화시켜 구분하면 19개 지대는 7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음.
        165.
        199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limatological study of temperature inversion was conducted at the Tsukuba of Japan during the cold half year, the periods of which were both from October 1981 through March 1982 and from October 1982 through March 1983. Meteorological phenomena were observed to appear both from 10m to 200m above the ground and from the surface to 300hPa. The data collected from those phenomena were analyzed in terms of statistics, and investigated from a synoptic point of 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dispersion of the surface inversion happens right after sunrise through the whole period. The higher the upper layer is, the later that happens. Up to a height of 200m, the wind speed at a height of 25m has the greatest effect on temperature, but on the other hand the wind speed at a height of 10m has the greatest effect on inversion intensity.
        166.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터널식 보온절충못자리 육묘에서 고온장해를 막기 위한 바람트기는 묘의 광합성과 관련하여 상내 CO2 공급 또한 중요하므로 바람트기 방법에 따른 상내 온도와 CO2 농도의 낮 동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맑은 날(5월 20일)에 조사한 바람트기 방법별 상내 CO2 농도는 바람트기 방법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무통풍이 가장 낮았고, 관행이 가장 높았으며, 가로일자찢기는 중간 정도였다. 상내 CO2 농도가 가장 낮아진 시각은 무통풍에서는 10:30시에 58ppm, 가로일자찢기에서는 15:30시에 155ppm, 관행은 17: 30시에 272ppm 이었다. 광합성이 이루어지는 낮 동안의 상내 CO2 의 평균 농도는 외기 15.74m ㏖/㎥에 비하여 무통풍은 3.27m ㏖/㎥, 가로일자찢기는 12.81m ㏖/㎥이었다. 2. 외기온도에 대한 상내 기온울 보면 무통풍에서 외기가 22℃ 일 때 46℃ 까지 높아졌으며, 이때 가로일자찢기는 37℃ 였고, 관행은 32℃ 였다. 상내 기온이 15℃ 이하에서는 가로일자찢기가 관행보다 더 큰 보온효과를 보였다. 3. 해돋이 전 상내 기온이 10℃ -15℃ 로 비교적 낮은 때 CO2 농도는 높은 편이었지만, 해독이후 상내 기온이 20℃ 까지 높아지고 동시에 광합성이 이루어지게 되면 급격히 감소하다가 20℃ 이상으로 높아짐에 따라 CO2 농도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40일묘의 묘소질은 건물중, 충실도 모두 가로일자찢기에 의한 바람트기가 가장 높았고, 관행이 그 다음이었으며, 무통풍이 가장 낮았다. 5. 보온 못자리의 바람트기는 튼튼한 모기르기를 위한 보온, 고온장해 방지 , CO2 공급 등의 중요성을 동등하게 인정하고 관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67.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류 생육기간중 기온과 지온의 차이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맥류 세대단축에 이용코자 온도조절이 가능한 야외생육상안에 토양온도 조절기구를 장치하여 기온 20, 25, 30℃ 에 지온 10, 15, 20, 25℃ 구를 설정하고, 공시품종은 춘파성 정도가 I인 강보리를 공시하여 시험하였던 바 그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기온이 동일할때는 지온이 높을수록 빨랐다. 2. 경수는 기온 25℃ 에 지온 10℃ 구에서 가장 많았으나 이삭수는 기온 20℃ 구에 지온 10~15℃ 구에서 가장 많았다. 3. 망장, 수장, 추수도 및 간장은 기온 20℃ 에 지온 10℃ 구와 15℃ 로 유지한 구가 가장 길었고, 간장이 길수록 제일절간 비율이 높았다. 4. 단중과 근중은 기온 25℃ 에 지온 10℃ 와 15℃ 로 한 생육적온에 가까운 온도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나 T/R율은 기온 30℃ 에 지온 10~15℃ 로 한 구가 가장 높았다. 5. 수량은 기온 20℃ 에 지온 10~15℃ 로한 구가 가장 많았고 기온이 동일한 때에는 지온이 낮은 쪽이 높았다. 6. 기온이 20℃ 로 맥류생육에 알맞더라도 지온이 높으면 맥류생육에는 불리하여 맥류세대촉진을 위한 하계재배시에는 기온도 중요하지만 지온사절이 더 중요하였다.
        168.
        198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관기상자료만으로 충족시킬 수 없는 농업분야 국지기상정보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지형기후 관계식에 의거한 제주도 전역의 정밀기후 추정 및 표출방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도전역을 250m 간격의 직교격자로 구획하고 교차점의 해발고도를 지형도상에서 판독하여 사방 1km 지역(단위격자)의 평균해발고도, 평균경사도, 그리고 평균 경사방향 등 지형내자를 계산, 정량화하였다. 18개의 기존 및 신설 기상관측소가 위치한 단위격자의 지형 인자값과 실제 관측된 일최저기온값을 중회귀분석하여 지형일기온 관계식을 도출하고 이로부터 미관측 격자에 대하여 주정치를 계산하였다. 구체적으로 겨울철 일최저기온에 대하여 3개의 전형적인 기압계 유형별로 최적 추정식을 만들어 해안지대에 위치한 제주 및 서귀포 관측자료와 기압계 유형판별만으로 도전역의 일최저온 분포 예측을 가능케 하였다.
        169.
        198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품종의 생육에 미치는 기온 및 수온의 영향을 일본형 품종인 진여과 원연교잡종인 수원258호를 공시하여 최고분약기를 중심으로 한 생육전기에 한하여 pot 실험을 1978년 인공기상실에서 실시하였다. 1. 초장, 절간신장 및 유수발육은 양 품종 모두 기온이 높을수록 그리고 동일 기온하에서는 수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 건물중 및 양분흡수량은 진흥에 있어서는 기온보다 수온의 영향을 크게 받으나 수원258호는 수온보다 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경향이었다.
        170.
        197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limate of a given region is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various climatic elements. But among them, the temperatur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classify the climatic type. The author attempted to classify the climatic types in Korea by making a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To accomplish the study, the author analyzed the daily and yearly range of temperature, the warmest and coldest months, continentality and oceanicity, thermal anomaly, and relative temperature, etc. The data of 153 weather stations a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above five criteri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limate of Korea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namely, the continental, coastal and intermediate(or transitional) type. The Pronounced continental type is appeared in the northern part of highland area. And the coastal type is limited to the east and south coast areas, and the southern part of the west coast area. The continentality is larger, and the oceanicity smaller, than those of Siberia, Mongolia and the inland area of China where the continental climate is most remarkable in the world. The reason why the west coast area is more continental than the east coast area may be due to the terrain effect and the warm current going north along the east coastline.
        171.
        197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분얼 기간의 기온의 고저 및 교차가 수도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분얼기를 활착후 10일간씩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주간 온도를 25℃ , 30℃ , 야간 온도를 10,15,20,25℃ 로 7조합을 하여 작물시험장 인공 기상실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고 분얼수는 조기, 중기 처리에서 많고 후기 처리에서 영향이 적었다. 2. 온도 처리 완료후의 초장 경수의 적은 조, 중기에서 주간 30℃ , 야간25℃ 에서 컸으며 후기 처리는 차이가 적었다. 3. R.G.R(g/g/day)는 조기 처리에서 높았다. 4. 성숙기 엽중은 조기 처리에서 가장 많고 후기 처리에서 적었다. 5. 따라서 수도 생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은 분얼 초기에 크다고 하겠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