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4

        161.
        2017.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중국 내 경영환경 급변으로 인한 새로운 환경 하에서 한국기업의 중국시장에 진출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대중국 직접투자 건수로 종속변수를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시장규모, 환율, 임금수준, 물가의 4개 주요요인을 사용하였다. 통계패키지는 SPSS20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시장규모, 환율의 변수들이 주로 예상된 부호를 가지고 해외직접투자에 정(+)의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유의성이 있는 변수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장규모, 환율이 클 수 록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가 증가하게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가, 임금은 예상대로 부(-)의 부호를 나타냈으며 물가와 임금수준의 낮을 수록 한국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가 증가해 보 였다는 결론이 나타냈다.
        162.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 게임 품질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을 해결하기 위해 게임이용자들이 사용하는 시그널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시그널 이론을 바탕으로 인터넷 문화기술지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로 시그널 유형에는 플랫폼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높은 시그널, 플랫폼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낮은 시그널, 게임회사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높은 시그널, 게임회사 기반의 소비자 참여도가 낮은 시그널이 있다. 시그널을 이용한 게임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의 특징은 첫째, 순위와 다운로드 수는 게임이용자들의 판단의 기준이 되며 둘째, 게임 마케팅 플랫폼은 또 하나의 시그널이 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게임이용자가 선호하는 시그널은 게임이용 목적이나 행태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163.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우리나라는 온난화 현상 및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국지성 호우 발생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특히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역이면서 지형 적․ 지리적 여건, 우수배제능력 부족 등으로 인해 내수침수의 위험도가 높은 지역은 국지성 호우에 취약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에 취약 한 장항읍을 시범유역으로 지정하고 대표적인 내수범람 해석모형인 XP-SWMM 모형을 이용한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해당지역에 알맞은 홍수방어 대책 을 수립하기 위해 다기준 의사결정기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을 이용, 다양한 홍수방어 대안을 비교 및 평가하여 최적 의 홍수방어대안을 제시하였다. 해당지역의 침수해소를 위해 구조적 침수방지대책(관로 개량, 우수저류지 설치, 우수펌프장 설치)을 선정하였으 며, 대상지역을 3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최적대안을 결정하였다. 2차원 내수침수 해석모형인 XP-SWMM을 이용하여 각 대안 설치 시 침수모 의를 진행하였으며, 다기준 의사결정기법 Compromise Programming 기법을 이용하여 시범지역에 적합한 최적대안 우선순위를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 장항1지구의 경우 우수펌프장 설치, 장항2지구와 3지구의 경우 우수저류지 설치가 홍수방어를 위한 최적대안으로 선정되었다.
        164.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건성 지수와 불확실성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 라의 6개 광역시(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를 대상으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 중 하나인 TOPSIS 기법을 이용하여 용수공급 취약성 순위를 산정하였다. 강건성 지수는 두 대상 도시의 순위가 가중치의 변화로 인해 순위역전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정량화하고 불확실성 분석 기법 은 두 도시 사이에 순위역전이 발생할 수 있는 가중치의 최소 변화량을 산정한다. 그 결과 인천과 대구는 용수공급 측면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 으며, 대구와 부산은 용수공급 취약성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구는 다른 대안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수공급이 취약한 지역으로 나타났 으나, 취약성에 민감하기 때문에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시행을 통해 취약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용 수공급 측면에서의 적응전략을 계획하고 수립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는 방향을 제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165.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afety of SOC facilities is constantly under threat by the globally increasing abnormal climate. Responding to disasters requires prompt decision-making such as suggesting evacuation paths. For this, spatio-temporal information with convergence of disaster information and SOC facility information must be utilized. Such information is being collected separately by the government or related organizations, but not collectively. Through this study, the disaster and SOC facility-related data, which are being managed separately, can be collected and standardized. The integr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estimation of facility importance, risk, and damage can be provided. The suggested system is expected to be used as a decision-making tool for proactive disaster response.
        166.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multi constructional material in unit module plate of steel grid structure and provide engineers and designers an appropriate view point of multi-material topology optimization when making decision and information in design. The material distribution is implemented with the use of 3 materials in a given plate under prescribed loading and boundary conditions. Topology changes through automatic distribution of multi materials are presented during optimization procedures showing that there could be selective structural design possibility when using multi materials. The cross sections, stiffness and cost of material combination are useful information for engineers and designers in making design decision.
        167.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비용예측모델과 성능예측모델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레벨에서 향후 교량과 터널 유지관리 비용과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은 개발하였다. 현재 국내의 시설물 유지관리 관련 연구는 대부분 단일 시설물에 집중되어 있어 도로망차원의 네트워크 레벨 분석 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시설물군 단위로 유지관리 계획을 수립해야하는 실무주체에게 유의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예측모델은 시설물의 성능에 현재 시특법에 의해 평가하고 있는 상태외 사용성과 기능성을 포함하였으며, 기본 분석과 확장 분석을 통해 각 시설물의 조치 시기와 연간 예산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기술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이 활성화된 다면 다수의 시설물의 비용대비 미래 성능을 파악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중장기 예산 수립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68.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hydrological safety vulnerability assessment on dam facilities was estimated using dams'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result and in-depth inspection assessment score and grade.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was used for vulnerability ranking decision on dams', and assessment scores and weights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were applied as payoff matrix and weight coefficient. It can be available for calculating dam’s vulnerability ranking considered dams' hydrological safety.
        169.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oal of research is that decision-making in bridge and tunnel maintenance were estimated by prediction models of condition and value engineering. We developed the software that can be calculated asset values and it’s condition depending on budget scenario by the bridge and tunnel prediction model. It can be determined an optimal budget of facilities and it’s values using prediction model of cost and condition.
        170.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수해 통계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료로는 재해연보로서, 시설물 복구비 지원 위주의 단순 통계 집적 관리 목적으로 작성되어 방재정책 수립시 필요한 기본정보로서의 수준이 미흡하다. 반복되는 재해에 따른 피해액과 복구비 등의 국가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직접피해뿐 아니라 실제 체감할 수 있는 사회·경제 전반에 걸친 재해 정보를 통한 홍수피해 예측으로 타당한 방재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의사결정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해 통계정보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평가 방안을 마련하였다. 방재 선진국의 홍수피해 산정을 위한 피해대상항목 및 피해액 도출방법 등의 통계 정보조사 및 브레인스토밍을 통해서 평가지표는 크게 피해조사 항목 적정성과 피해 산정 방법의 정밀도로 구분하고, 세부지표로는 직·간접 피해 정보의 적정성, 공간단위 정밀도, 직·간접피해 산정의 정밀도 등으로 구성하여 국내 수해통계 정보에 적용하였다. 향후 동일한 수준평가 항목을 일본, 미국 등 국외 수해통계 정보에 적용하여 수준을 평가하고, 국내의 수준과 비교분석을 통하여 국내 수해통계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이 도출된다면 수해정보의 정확도 및 활용성 향상으로 효율적인 방재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71.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SOC 시설물 안전 위협에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태풍, 호우, 지진 등의 자연재해는 유관기관의 지속적인 정보 수집에 의해 예측되고 있으며, 이러한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수집된 정보들을 융합하여 유관기관의 재해대응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복합적 자연재해는 SOC 시설물의 구조 손실 및 설치 목적에 따른 역할 수행이 불가하게 되어 국가 발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수집된 정보는 수집방법 및 관리 주체가 달라 각각 다른 방식으로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신속한 재해대응을 하기에 불리하다. 신속한 재해대응 및 SOC 시설물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분산된 정보를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통합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인벤토리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렇게 통합된 인벤토리에서 정보를 활용할 수요자에게 전달할 경우 정보 제공의 신속성 및 신뢰도가 향상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정보가 통합 될 경우 분산 관리되고 있던 관리 방식을 표준화 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정보를 인벤토리 내부에 확보할 수 있어 정보 획득 및 사용에 있어서 신속성, 정확성,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재난·재해 대응 및 SOC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인벤토리 구축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정보의 송·수신 및 통합관리가 가능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통합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시스템을 통해 연계·관리되는 인벤토리는 신속한 재해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정보제공이 가능하며, SOC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피해도 등 목적별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7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minimize secondary damages from marine environment pollution resulting from marine accidents,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adopted “Guidelines on Places of Refuge(POR) for ships in need of assistance” as Resolution A.949(23) in it is 23rd General Assembly in 2003 and recommends Parties to the Organization designate PoR. This resolution suggests that they establish a “Decision-Making process” so as to provide reasonable PoR when disabled ships request use of PoR. Korea has not been performed introduce a PoR system in the country. Therefore, there is no decision-making process to deal with ships which need PoR. When Korea implements the PoR system in the future, the nation should establish a Decision-Making process to provide reasonable PoR in case ships in need of assistance request for PoR. In order to present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Decision-Making process for PoR in Korea in the future, in this study presents matte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founding PoR Decision-Making processes. When Korea tries to conduct POR system so that other countries’ PoR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relating process of IMO and REMPEC (Regional Marine Pollution Emergency Response Centre for the Mediterranean Sea)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in times of marine accident in Korea’s sea areas, Korea’s action manuals for marine accident which regulates management for an accident is analyzed and articles will be presented to be taken into account during establishing final PoR Decision-Making process.
        173.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study of chloride migration coefficient and hydration heat evolution,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ernary blended cement was effective to achieve desired service life and minimum crack index. On the other hand, a high level of compressive strength is required for marine concrete mix design.
        174.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행동경제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망이론을 게임 인공지능 분야에 도입하여 인간의 인지적 특성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NPC의 의사결정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효용 이론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기준점 설정의 문제, 민감도 체감성, 손실 회피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게임 상에서의 NPC 의사결정 모델에 반영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 모델을 동적 지형분석에 적용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NPC의 다양한 개성 부과 및 창발적인 행위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75.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물환경 정책 및 계획의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풀어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참여, 투명한 정보공개, 객관적 의사결정과정, 개별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반영 등 합의형성을 위한방법론 또는 도구로서 합의형성 지원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합의형성 지원시스템은 물환경 문제에 대하여 영향력을 가진 특정 집단이 해결안을 제시하여 강요하거나 설득하는 구조 대신에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공동적 문제해결 방식을 기반으로 하였다. 즉,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서 협상 및 조정과 같은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관계를 조정하여 이해당사자들 스스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개발된 합의형성 지원시스템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탄강댐 건설 사례에 대한 제한적인 롤플레잉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합의형성 지원시스템의 적용을 통해 정부가 지역사회나 NGO 등과 공론의 장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합의형성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협상의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76.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visual search and decision-making on expertise levels of rugby referees. Methods: The participants(n=6) consisted of 3 novices and 3 experts. They were asked to watch the rugby game videos wearing eye-tracking glasses and press a response key in the situation to recognize a foul or to blow a whistle. The videos consisted of two skill types(Ruck, Maul) and three situation types(legal, foul, advantage) were randomly presented, and at the end of the videos participants were asked to express verbally visual focus area. Independent variables were expertise level, skill types, and situation type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decision-precision, foul recognition time, decision-making time, visual search(eye movement frequency, fixations frequency, fixation duration ratio), fixation locations, and perceived eye-focus locations. Results: The expert referees made more accurate judgments in advantage situation, took longer decision-making time, and did more effective visual search, compared with the novice referees. In addition, the results on the fixation locations and the perceived eye-focus location revealed that expert referee focused more on attack location, and novice referee focused more on defense location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ive visual search and decision-making training needs to be considered to strengthen refereeing capability, and then that would have a major impact on smooth game operation.
        17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축매몰지 인근 지하수 수질은 지하수 이용과 관련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 환경부에서는 지하수 수질 감시를 위하여 지하수 수질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수질분석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관측지점이 수백개 이상인 경우에는 효율적인 모니터링이 어려울 수 있다. 금회 연구에서는 지하수의 전기 전도도를 매몰지에서의 지하수 수질 지표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지하수 수질 수준을 판별하기 위하여 가축 매물지 근방의 장기적인 지하수 수질 측정자료를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지하수 수질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고,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지하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7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alue and functionality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have been neglected in the aspects as the buffer zone(boundary barrier) that links between the inside space(housing site) and the outside space(roa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evaluated conservation value, economical efficiency and durability by the types and materials of the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 through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 By applying to the current situations of boundary barriers on total 21 case study villages, each factor value was measured. And using Matrix Analysis Technique, the boundary barrier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and the improvement ways for each type were proposed.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showed similarity value(more than 0.85 out of 1). But economical efficiency of those was low(less than 0.5 out of 1) and those functionalities were very lacking(about 0.3 out of 1). In the conclusion, the maintenance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requires the policy that is able to complement conservation value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is proper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village. These renewable policies would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the value of rural amenity as well as creation of economical and social value.
        179.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사와 학생이 알아야 할 것과 할 줄 알아야 할 것을 표준으로 정하여 교사 교육과 초·중·고등학교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삼는 표준 기반 개혁은 미국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소개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사 교육 표준화 움직임에 능동적 대처를 한 미국 대학의초등 교사교육 과정 중에 있는 여덟 명의 예비 교사가 교사교육 프로그램 첫 학기동안 교육적의사결정에서 어떤 변화와 발전을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예비 교사교육 표준(INTASC), 경력 교사교육 표준(NBPTS), 그리고 최근 교사교육 연구를 활용하여, (1) 학습자와 학습, (2) 알아야 할 것과 알아가는 과정, (3) 평가와 평가과정, (4) 가르치는 것과 수업이라는 네 범주로 정리하였고, 각 범주 아래 세부 항목을 두어 각 범주별 이해를 세부적으로 정리하였다. 교사교육 표준을 이용한 분석은 표준 적용을 목적으로 했다기보다는, 이와 같은 네 가지 범주를 매일 변화하는 교실상황에서 적절히 활용하여 수없이 많은 의사 결정을 해야 하는 교수활동의 복잡성을 효율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였다. 예비교사가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이해는 어떤 것인가? 예비교사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얻은 다양한 지식과 기능을 어떻게 통합해 의사결정을 하는가? 분석 결과는 초등 예비교사가 첫 학기를 지내면서 학습자와 학습 분야에서 보다 적절하며 다층적 수준의 교육적 결정을 내리기 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은 다른 분야의 경우에는 보다 기초적인 수준의 이해를 발달시키는데 머물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가 가지는 시사점과 더불어 예비교사의 이해를 분석하는데 활용했던 아동 연구(Child Study), 분석 방법, 그리고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영향과 한계 역시 논하였다.
        180.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fficiently use a limited budget for bridge maintenance, a systematic decision-making method is proposed considering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bridges and their direct and indirect values. The method can be expected to lead a quantitative decision-making in maintenance phase of brid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