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8

        161.
        200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메기 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김치에 대하여 과메기를 0, 6, 12 및 18% 되게 첨가하여 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및 관능검사를 행하였으며, 14일간 숙성시킨 김치에 대하여 총균수(T), 젖산균수(L), L/T(%), 경도 및 김칫국물 내 알코올불용성물질(AIS)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pH는 담금 첫날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숙성 7일 째부터 감소되었으며 그 감소율은 과메기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둔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62.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수액으로 채취하는 수종인 대나무, 참다래 나무, 고로쇠나무의 수액을 이용하여 메주에 천일염과 죽염을 섞어 재래식 제조방법으로 3개월 발효 숙성시킨 후 간장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는 천일염으로 제조한 참다래수액 간장이 높았으며, 색도는 일반물로 제조한 간장보다 수액으로 제조한 간장의 색도(명도)가 높았고, 식염과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참다래수액 간장이 높게 나타났다. 수액종류에 따른 간장의 유기산 조성은 malic acid가
        163.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향주의 제조에 이용되는 누룩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고, 배양학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리된 총 11균주를 이용하여 알코올 10%와 pH 4.0에서 생육이 억제되는 양조학적으로 적합한 5균주의 젖산균을 분리하였고,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 1균주, Lactobacillus sakei 1균주 및 Lactobacillus curvatus 3균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젖산
        164.
        200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탁주의 품질개선 및 율피의 활용도 증대를 위하여 율피가루를 증자미에 5%, 10%,20% 및 30%로 첨가하여 탁주를 담금한 후 발효 과정 중 술덧의 품질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율피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pH 감소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발효 2일부터 18일까지는 완만하게 상승한 후 발효 18일에서는 pH 수준이었다. 발효과정 중 술덧의 총산은 담금일에 였으며, 발효 1일에 로 크게 증가하여 pH의 급격한 저하 시점과 일치하였다.
        165.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탈염, 건조한 다시마 분말을 삶은 콩에 대하여 첨가하여 발효시킨 전통청국장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대조구와 첨가구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L*값과 a*값은 다시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b*값은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첨가구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균수는 다시마 분말을 까지 첨가하였을 때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첨가구에서는 대조구보다 낮았다. 다시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함량은 감소하였
        166.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청국장의 발효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시판청국장에서 분리된 5종 균주의 혈전용해능을 비교한 결과, N2가 (Plasmin lunit/mL과 비교)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N3, N5가 각각 를 나타내었다. N2 균주의 kit동정 결과, B. subtilis와 유사한 균주로 나타났다. 이를 활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결과, 분양균주에서는 B. subtilis (KCTC 3014)가 가장 많은 점질물
        167.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나무 잔나비버섯 균사체 배양액(CM)을 이용한 빵 제조를 위하여 첨가량()에 따른 반죽의 발효 및 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M의 첨가량과 반죽의 품질지표(pH, 산도, 반죽부피, 되기, 강도 및 점도) 상호간의 상관분석을 행한 결과 CM은 반죽의 pH를 높임으로서 반죽의 되기 및 강도를 높이는 반면 점도를 감소시켰다. 첨가에 따라 굽기 손실률은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loaf volume index는 첨가량에 따른 대조구
        168.
        200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효모 Sacch sake, Sacch. bayanus 그리고 누룩을 이용하여 벌꿀주를 제조하고 그 발효특성 및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벌꿀 희석액의 알코올발효에는 Sacch sake와 누룩의 혼합첨가 그리고 Sacch. bayanus와 누룩의 혼합첨가에 의한 벌꿀 발효주가 효모 단독균주를 이용하는 것보다 발효력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알코올 생성량도 높게 나타났다. 효모와 누룩 혼합첨가구의 경우 발효중 환원당은 급속히 감소하고 알코올 함량은
        169.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숙도를 조절하여 선도유지기간을 연장할 목적으로 천연항균소재로서 항균작용 및 항진균작용이 탁월한 식물성 천연항균소재(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fruits : BAAC)를 이용하여 김치의 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김치의 산패에 관여하는 Lactobacillus plantarum, Klebsiella pneumonia, Pichia membranaefaci
        170.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 제조시 녹차 물추출물의 첨가방법이 발효특성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추의 절임시 1% 녹차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10%소금물로 24시간 절임한 후 담근 김치(SG), 10% 소금물로 24시간 절인 후 1% 녹차 추출물에 30분간 담근 후 담근 김치(DG) 및 1% 녹차 물 추출물과 양념을 혼합하여 담근 김치(MS)를 1에서 숙성키면서 발효 특성과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김치의 숙성 중 pH는 전반적으로 녹차처리구가
        171.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제조시 녹차의 첨가방법이 발효특성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의 녹차추출물를 함유하는 소금물로 절인 후 담근 김치(I), 절임배추를 1% 녹차추출 물에 일정시간 담금후 제조한 김치(II), 녹차 1%를 양념과 혼합하여 담근 김치(III)의 3가지 방법으로 김치를 제조한 후 1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균수, 색상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의 pH는 숙성중 I~III의 경우보다 낮아 녹차처리구가 숙성이 지
        172.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샤르도네 품종을 이용한 포도주 양조용 효모의 발효 특성은 다음과 같다. S6U 균주는 다른 균주에 발효속도는 느렸지만 발효 종료시점에 완전히 발효되는 특징을 보였다. W-3 균주는 발효중 산 생성량이 적었으며 (0.75%), UCD530과 AC- 균주로 발효된 포도주에는 산류 extract 함량이 각각 3.26 mg/L 및 3.22 mg/L로써 다른 균주에 비해 많았다. CEG와 CS2 균주로 발효된 포도주는 특히 황색도 값이 높았으며, EC11
        173.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주 양조용 효모의 발효특성 검정에 있어서 R2 균주가 발효 속도에 있어서 우수하였으며 UCD530 균주는 발효에서 완전한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아 고온에서의 발효가 적합하지 않았다. T73과 AC- 균주는 총산 생성량이 많았는데 이것은 이 두 균주가 시험에 사용된 다른 균주에 비해 succinic acid 와 acetic aicd을 많이 생성한 결과였다. 발효효율에 있어서 OC-2, UCD530, Beaujolais, BC 균주는 낮은 발효효
        174.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utilize abundant potatoes effectively, it was studied on alcohol fermentation strains which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ifteen yeast strains with high alcohol fermentation ability were isolated from rotted potatoes. Among them, two isolated strains, 5-3A and 10-4B showing the highest alcohol fermentation ability were identified as Zygosaccharomyces fermentati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ir optimum conditions for the alcohol fermentation in 25% glucose were pH 3.0, 30 and 150 rpm of shaking speed, respectively.
        175.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the amounts of kimchi (100, 200 and 300 g)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10, 15 and 20) on gas formation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The pH of the 200 g packaged kimchi for 12 days at 10-15 was higher than 100 g and 300 g packaged kimchi, whereas that of 100 g packaged kimchi at 20 was higher than the other products. Total lactic acid bacteria in was highest in the 200-300 g packaged kimchi fermented for 12 days at 10. Number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of 200 g packaged kimchi higher with the lower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that of Lactobacillus plantarum was higher in the kimchi fermented at 15. The periods of gas formation was 8-11 days of fermentation at 10, 1-7 day at 15, and 5-6 days at 20, respectively. The order of gas formation amount in the temperature and amount of kimchi was 15 > 20 > 10 and 300 > 200 > 100 g, respectively.
        176.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each vinegar by parallel-complex fermentations. The vinegars prepared by using Changbnag-Chosang and Yumung peach cultivars added with 7, 10, and 13% sugaring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The rate of increase in alcohol degree and titratable acidity, and that of decrease in soluble solids showed higher at Yumyung peach than at Changbang-chosang.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by paralle-complex fermentation were performed better in Yumyung peach than Changbang -chosang. but the fermentation of Yumyung showed active alcohol fermentation in the early stage, and active acetic acetic acid fermentation in the late stage. Quality of the vinegar prepared with Yumyung peach was better than that of Changbang-chosang, which were evaluated by acetic acid contents , peach taste and odor in the vinegar, and overall taste. The fermentation was accelerated with an increase in sugaring , concentrating but overall taste was best in 10 % sugaring.
        177.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청도 지방에서 유래하는 인삼박을 첨가한 약주의 특성 및 개발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pH는 A, B, C 모두 2단 담금 직후 감소하였다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산도는 발효중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누룩과 조효소제 및 분말효모를 사용한 A에서 발효 4일째 pH 7.05, 산도 0.84로 가장 높았다. 알콜함량은 발효 4일째에 배양효모를 이용한 B(21.0%) 와 C(20.4%)가 분말효모를 이용한 A(19.0%)보다 높았다. 또한
        178.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월동 배추 3품종 중 외형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만풍'이 가장 크고, 무거웠으며 잎의 두께도 가장 두꺼웠다. 그러나 김치제조 시 다듬는 과정에서 초록색의 크고 두꺼운 겉잎이 많이 제거되어 가식부위의 무게는 '설왕'보다 적었다. 배추 3품종 중잎이 두꺼운 '만풍'이 경도 또한 가장 높았으며 산도도 높았다. 김치 제조 후 품질을 조사한 결과 '만풍'은 조직의 경도 저하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적었지만 pH 및 총산의 변화에 있어서는 '만풍' 품종이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