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97

        16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at different types of roadside bus stops in an urban environment, and analyze the tendencies in PM2.5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dex. METHODS :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ulate matter at roadside bus stops, we collected data such as PM2.5 concentration, temperature, humidity etc., and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concentration levels at different types of bus stops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a front and back partition,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only a back partition, and a bus stop with an open space). In addition, the daily variation in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was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daily concentration levels of fine PM2.5 in the target area for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a front and back partition,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a back partition, and a bus stop with an open space were 18.40㎍/㎥ to 108.27㎍/㎥, 22.81㎍/㎥ to 135.51㎍/㎥, and 16.62㎍/㎥ to 81.52㎍/㎥, respectively. According to air quality index levels during the target measurement period, the bus stop with an open space had the least concentration levels of PM2.5 compared to the other bus stops. Furthermor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M2.5 concentration levels usually increased during the peak hour period in the morning and gradually increased after 2 pm until the end of the peak hour period at night, regardless of the bus stop typ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effect of PM2.5 concentration levels on the atmospheric, weather, environmental, and transportation conditions in a target area, and the variation in concentration levels depending on the type of bus stop.
        4,000원
        16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의사소통유형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건강하고 원만한 학교생활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대학생으로 2018년 5월 7일부터 5월 28일까지로 총 204부 의 자료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지성적 성격강점과 감성적 성격강점, 의사소통유형 및 이성친구 유무를 예측변수로 대인관계만 족도를 설명하는 선형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26.57,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대인관 계만족도 총 변화량의 45%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격강점에 관한 자기인식을 높이는 상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4,000원
        16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생력화가 가능하면서 친환경적인 재배법을 개발하고자 병, 상자를 이용하여 표고의 배양특성 및 버섯 생산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병과 봉지는 각 각 1.2 kg의 혼합배지를, 상자는 7 kg의 혼합배지를 넣어 표고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한 결과, 20±1oC의 배양실에서 모든 처리구의 배지온도는 배양 14일째 최대치에 도달하다 그 이후 낮아지며 유지되는 경향이었다. 재배용기별 배양기간은 봉지와 병이 30일, 상자는 39일로 나타났고, 갈변기간은 상자가 42일로 병과 봉지가 각각 51일, 60일 보다 짧았다. 1주기 재배기간은 병이 89일, 상자가 90-97 일, 봉지가 99일로 나타났다. 재배용기별 버섯 발이수는 상자 27개, 봉지 7.7개, 병 2.3개 순으로 생산성에도 영향을 끼쳐 상자가 1,253kg, 봉지 199.7, 병 144.0g으로 나타 났다. 건조 배지중량 대비 신선버섯 발생비율은 상자가 39.4%, 봉지 35.8%, 병 26.4% 순으로 상자의 생물학적 효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상자재배는 갈변기간의 단축과 버섯 수량성에서 봉지재배에 비해 유리한 장점이 있어 친환경 생력화 재배법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3,000원
        16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one pagoda continued to be damaged by weathering and corrosion over time, and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 are accelerating the destruction of cultural properties. Stone pagoda has discontinuous structure behavior and is very vulnerable to the seismic load acting in lateral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various design variables as the contact surface characterist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ynamic behavior of stone pagodas. For this purpose, contact surface characteristics of stone pagoda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surface roughness and filler type, and representative model is selected and structural modeling and analysis are performed using the discrete element method. Also, the seismic load according to the repetition period is calculated and the dynamic analysis is performed considering the discontinuous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pagoda. Finally, the seismic behavior characteristics can be analyzed by the evaluation of stresses, displacements and structural safety.
        4,000원
        169.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완제품 제조업 중심의 성장을 진행한 한국경제는 소재부품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산업고도화를 지향하고 있다. 소재부품산업은 기존 핵심산업의 경쟁력 유지 및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신산업의 육성 측면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소재부품산업의 효율적인 R&D를 위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현황이다. 본 연구는 정부의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성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R&D 효율성 분석과 이에 기업규모 와 협력유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R&D 효율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경제적 성과가 반영된 산출변수 설정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한다. 중소기업이 주관기관일 경우가 대기업보다 규모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학연이 협력할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성과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개발 수행기관 및 협력유형에 따른 R&D 성과 창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는 국내 소재부품산업이 당면한 질적 성장을 위한 산업정책 기획, R&D 투자 및 배분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6,400원
        170.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types of relationship asymmetry within sustainable fashion supply chains and the role of relationship asymmetry in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in fashion supply chains in the UK. This research that is based on supply chain experiences of experts highlighted that how relational asymmetries hinder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in fashion supply chains, but also how sustainable behaviours, values and policies help to overcome the influence of relational asymmetry in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4,000원
        174.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two social and academic studies on the boundary between cultur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 first line of the study on cultural omnivore analyzes the choice of heterogeneous audiences in the face of various cultural offerings. The second line is a study of market categories, which analyzes the responses of peer audiences to objects with different levels of category code compliance. As such, this paper developed a heterogeneous audience model to evaluate objects of different types. This allows us to consider two dimensions of cultural preference: diversity and orientation of selection. To this end, this paper proposes a new analytical frame work to map consumption behavior on these two dimen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one type of target that values diversity and transformation is particularly resistant to those that span boundaries. We test this argument in the analysis of two large data sets on film and restaurant reviews. Overall, our findings can extend beyond cultural consumption. Outline variability of contextual individuals or individuals in the same situation can cross cultural boundaries even if they are not intentionally pursuing such hybridism.
        4,000원
        17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묻지마 범죄가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고, 이들에 대한 보다 강력한 처벌과 처우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묻지마 범죄자에 대한 개념과 유 형을 살펴보고, 묻지마 범죄자의 유형을 구분하여 각 유형에 적절한 치료적 개입을 하는데 고려해야할 요소들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치료적 함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전국 교정시설에 수용 중인 묻지마 범죄자를 대상으로 성격 평가질문지(PAI)와 면담을 실시하여 이들 중 연구참여에 동의하고 심리검사 결과가 유효한 58명의 범죄유형을 무작위 범죄자 위험군 판별 체크리스트(KRCC)에 따라 3 개로 구분하여 일반인 자료와 함께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묻지마 범죄자는 유형에 관계없이 일반인보다 음주와 약물문제, 분노조 절의 취약성, 과거 사건에 대한 부정적인 지각과 우울증 등의 문제가 공통적으로 지적 되었고, 정신장애 여부를 평가하는 진단함수 중에서 우울증, 외상스트레스, 반사회적 성격, 알코올 및 약물에서의 수치가 일반일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묻지마 범죄자의 경우 유형에 관계없이 약물사용에 관한 교육과 전반적인 정서와 감정 통제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사고형의 경우 피해적 사고가 두드러지고, 자신의 신체적 상태나 기능변화에 예민한 특성이 지적되어 자신의 왜곡된 인지체계를 알아차리고 이를 수정하는데 집중 할 수 있는 인지행동적 접근이 필요하다. 현실불만형의 경우 불안정한 자기개념과 취 약한 정서성과 적응적인 감정표현 기술의 부재로 외부 자극에 쉽게 상처를 받고 자존 감이 손상되는 특성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이들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수용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전위보복형은 평소 심리・정서적 문제를 호소하거나 표현하지 않고 분노와 화를 통제하려고 노력하다가 예상치 못하게 분노를 터뜨리는 경향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자신의 정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겠고, 이러한 정서를 적응적으로 표현하는 기술들을 연습시키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6,700원
        17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심전도를 활용하여 원룸형 평면 계획 구성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생리 신호는 대부분 제한된 건축요소에 대해 개별적으로 측정되었고, 이 결과들은 실제의 전체 원룸공간에서 측정된 데이터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보다 동적인 환경에서 인간의 감성을 추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했다. 먼저, 무작위로 수집 된 43 개의 원룸은 욕실과 주방의 위치에 따라 10 가지 유형의 평면 구성으로 분류되었다. 그 다음 건강한 10명의 피험자로부터 평면 구성 변화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하였고, 쾌적성 및 선호도에 대한 주관 평가가 시행되었다. 결과적으로 평면 구성 따른 유형별 LF/HF의 평균 비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0.05). 본 연구 결과는 평면의 구성이 원룸의 공간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며, 이 접근법이 일인가구의 정신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앞으로 피험자수를 늘려 보다 정확한 통계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4,000원
        17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orm and components, decoration and locality of pyongnangans(平 欄干) in Yangban's Houses(32 Houses) in Gyeongbuk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were carried out through both survey and on-site study, are as below. First, Pyongnangans of Gyeongbuk region Yangban's Houses can be classified into 4 different types, which are ①Mureum type, ②Gyoran(交欄) type, ③ Mureum-Saldae combination type, ④Simplified Saldae type. And these 4 types are again subdivided into eight types, depending on differences of both detailed form and framework. Gyoran type are the most common cases in Yangban's Houses of Gyeongbuk region, whose number is followed by the order of Mureum type, Mureum-Saldae combination type and Simplified Saldae type Pyongnangans. Decorative 亞shaped Gyoran type are more set up in Sarangchaes than in Anchaes, and this was because Decorative Gyorans are more appropriate to show the Social status and class of a patriarch than humble Mureum type. Pyongnangans of Yangban's Houses in Gyeongbuk region have their peculiarities in the exclusion of decorativeity, by consistent use of plain single-layer Pyongnangans. A certain locality is reflected on the types and detailed forms of Pyonnangans. Mureum type are widely found in Gyeoungju region Yangban's Houses, while Gyoran type were more often used in Andong region. In Bonghwa region, Mureum-Saldae combination type are found in large quantities. This was due to the locational chateristics of Sarangchaes in Bonghwa region, which were usually built on steep slopes.
        4,000원
        178.
        2019.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adhesive types on dimensional stability of bamboo-oriented particleboard. The materials used in this research are bamboo tali(Gigantochloa apus J.A & J.H. Schult. Kurz), UF/MDI(8, 10, 12 % level), and MF, MDI, and PF at 7 % level. Particle and adhesive are mixed using a blending machine; then, mat forming and hot pressing processes are performed using adhesive-suitable temperature and time references. MDI resin is set at 160 ºC temperature for 5 minutes. PF resin and MF resin are pressed at 170 ºC for 10 minutes, and 140 ºC for 10 minutes, respectively, while UF/MDI sets at temperature of 140 ºC for 10 minutes. The results show that particleboard using PF resin produces the lowest thickness swelling value. The particleboard using UF/MDI resin also produces good response for thickness swelling value. Interesting things happen in that UF/MDI adhesive produces a thickness swelling value better than that of MDI resin. FTIR analysis on particleboard bonded by UF/MDI resin combination shows the presence of carbonyl group C=O vibration on multi substitution of urea at wave number of around 1,700 cm-1.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