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섬 지역의 전통 생활문화를 담고 있는 부안군 위도면 진리 소재의 원당과 당숲을 대상으로 문화적 및 식물생태적 현황을 분석하고 당숲의 생태적 및 문화적 보전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 었다. 팔작지붕 형태의 원당은 잘 보존되어 있으나 당제(당굿)은 10여 년 전부터 중단된 상태이다. 진 리 원당의 주변에는 약 8,000㎡규모의 숲이 형성되어 있으며, 숲에는 모두 58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다. 특히 진리 당숲은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동백나무, 센달 나무 등이 상층 수관을 형성하는 상록활엽수림이다. 당숲은 크게 후박나무-팽나무군락, 붉가시나무 -후박나무군락, 곰솔-아까시나무군락의 3개 대표군락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교목층과 관목층에는 후박나무‧동백나무‧식나무가 우점하고 당숲에는 39그루의 노거수가 자라고 있다. 위도 진리 당숲의 생태적 및 전통 문화적 가치를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해 당숲의 문화재 지정, 진리 원당제의 복원, 상록활엽수림의 관리, 노거수의 관리 및 덩굴류 제거, 지속적인 모니터링, 지속가능한 체험활 동 활성화 등이 요구된다.
        4,000원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르조 아감벤의 『빌라도와 예수』는 탈진실 시대에 ‘사실’과 ‘진실’과 ‘진리’ 의 문제를 화두로 던지는 책이다. 인류 역사에 있어서 예수의 십자가 사건은 진리를 실체적으로 현현한 신비의 사건으로 유대인에 의한 예수의 고소 사실에 의해 촉발된다. 사실은 실체적 진실을 담보할 때 비로소 확률적 진실이 되거나 진리가 될 수 있다. 유대인이 예수를 고소한 이유는 그가 진리로서 하늘의 왕임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제국의 주권을 대표하는 빌라도는 두 번의 예수 재판을 통해 고소 사실의 실체적 진실 부재를 확인하지만, 예수의 무죄를 확증하지 못하는 우유부단함과 나약함을 보여준다. 그는 진리 앞에서 ‘예외상태’를 결정할 수 있는 ‘주권자’이지만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 그는 예수를 유대인에게 넘겨 준 장본인으로서 예수의 십자가형에 책임이 있는 인물로 비난을 받는다. 아감벤은 빌라도의 관점에서 예수의 십자가 사건이 가지는 의미를 성찰한다. 그는 카이로스의 십자가 사건이 역사적 종교의 대사건으로서 진리의 현현임을 인지하고 논증한다. 그러나 그는 『빌라도와 예수』에서 십자가의 진리에 관한 개인의 직접적 고백을 회피함으로써 빌라도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5,100원
        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 B. Yeats)가 자신의 시와 작품에서 하나님의 말씀 즉 진리를 말하려고 한다. 그의 시 『행복한 목동의 노래』를 주로 다루고 있으며 그 시에 나오는 “말”이나 “위로자”와 같은 단어들이 하나님의 말씀과 깊이 관련 되어 있다. 예이츠는 현 시대의 사람들은 진리에 더 이상 관심이 없고 하찮은 진리를 숭배하는 “회색진리”에 관심이 있다고 느낀다. 그러므로 예이츠는 “말씀 만이 참으로 선하다”고 사람들에게 말한다. 성경은 말씀은 하나님이시며 하나 님의 말씀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라고 말한다. 예이츠는 하나님의 말씀 즉 성령 하나님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거한다면, 사람들은 그분 안에서 기쁨과 평강을 누 릴 것이라고 믿는다. 예이츠는 이 시에서 “말”이란 단어를 일곱 번이나 사용하 여 말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예이츠는 회색진리로 물든 이 세상이 참된 “진리”로 물든 세상이 되기를 염원하고 있다. 이 진리는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한다. 예이츠는 상징적인 언어들을 사용하여 그리스도의 이미지를 자신의 시에서 나타내 보이고 있다. 예이츠가 이 시에서 사용한 말이란 단어는 바로 하 나님의 말씀을 의미하고 있다. 예이츠는 하나님의 말씀이 이 세상의 사람들에게 필요한 진정한 “위로자”가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5,500원
        5.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and evolution of the concept of ‘truth’ (眞 理) in the earliest stages of Chinese history on the basis of oracle bone script zhen (貞) and the inscriptions zhen (眞). It further aims to prove that zhen (貞) and zhen (眞) are cognate words. ‘Truth’ in English is commonly translated as zhen (眞) in Chinese.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an intersection between two notions of ‘truth’ in the early stage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 in spite of a great deal of controversies over the notions in sinological studies, since there was almost no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before the modern era. After the nineteenth century, with the expansion of the Western power, Westerner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anifold ways of Eastern thought. Thus, many concepts that were dominant in Western thinking were transplanted in many areas of Eastern thinking; the concept of ‘truth’ (眞理) is such a case. The Western concept of ‘truth’ (眞理) pursues correspondence theory, based on the dichotomy of true and false. Based on this idea, many Western scholars still claim that the notion of ‘zhen’ used in Chinese classical texts can not be equated with “truth” used in Europe and Anglo-American dominant philosophy. Therefore, I would like to return to the primitive sense of truth in the oracle bone script, explore the pre-theoretic understanding of truth before concrete forms of knowledge such as Confucianism and Buddhism were introduced, to show the interconnectedness of zhen (眞) and zhen (貞). Traditional interpretations of zhen (眞)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 Daoist ascetic with miraculous powers’ (神仙)(see Xu Shen, Duan Yucai, et al.); ‘treasure’ (see Tang Lan, Ma Xulun, Zhou Fangfu, He Linyi, etc), and ‘death as unchanging status’ (see Shirakawa). Among these, the first version of zhen has been considered most authentic, because Shuowen Jiezi《說文解字》, the first authoritativ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defines zhen (眞) as “a Daoist hermit transforming shape and ascending into Heaven ( 僊人變形而登天也)” with Daoist connotations. Such interpretations, though dominent, were based on Xiaoshuan and did not seem to include closer investigations of zhen (貞), the older form of zhen (眞), based on recently unearthed literatures. Though contemporary archaeological studies provide evidence of more ancient origins, it is difficult to extract the original sense from the primitive script of zhen (貞), because it was only used as the name of a place or a person. This paper thus follows several hypotheses: 1. zhen (眞) is cognate with zhen (貞); 2. zhen (貞) in oracle bone script means ‘to ask Heaven questions from signs or omens obtained by burning tortoise shells or animal bones’ and a person in charge of performing a divination rituals’ is known as a diviner(zhenren ‘貞人’); 3. zhen (貞) was specified into zhen (眞); 4. Under the influence of Daoism during the early Han Dynasty, zhen (眞) was defined as ‘a Daoist hermit’ (神仙), and then acquired the meaning of truth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he strategie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I will analyze zhen (眞) by breaking it into its component characters and trace back its original forms and senses of zhen in oracle bone scripts; secondly, I will examine its usage in the ancient literatures based on phonetic and semantic patterns; finally I will try to place possible coordinates of ‘truth’ among constellations of various meanings of zhen (貞) and zhen (眞).
        7,000원
        6.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young Korean Protestants’ views of other faiths and how they understand mission and evangelism based on those views. The empirical research shows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young Korean Christians have now embraced pluralistic viewpoint concerning other religions, along with the postmodern relativistic perspective about truth claim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both perspectives weaken the motive of traditional Christian evangelism and mission toward people of other faiths. The empirical research also indicates the urgency to recognize pluralistic and relativistic tendencies among young Korean Protestant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In other words, the emerging pluralistic and postmodern viewpoint, which is gaining popularity among young Koreans, is beginning to compete with the dominant traditional Korean Protestant exclusivistic theology of religions. Thus, we are beginning to see the competition between exclusivism and pluralism or relativism (religious and postmodern). An important missional issue regarding exclusivism and pluralism is that both can easily fail to engage people of other faiths. While the exclusivists close their mind and try not to listen to people of other faiths, the pluralists think it unnecessary to share the Christian faith. As a result they both have that the tendency to avoid engaging with the ‘other,’ that is, people of other faiths. In response, the researcher suggests “dialogical evangelism,” with the intention to escape the missional dangers post by both exclusivism and pluralism, and to encourage Christians to engage the ‘others’ in dialogue and love for evangelism. Having taken other faiths into consideration since the 1910 Edinburgh Conference of the World Missionary Conference, many mission thinkers have become involved in how to do missions toward people of other faiths. The dialogical approach to people of other faiths has proved to be a desirable way of doing missions. On the other hand, evangelicals have argued that its ultimate goal should be evangelism. Therefore, integrating the strengths of these two approaches, for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the new generation of Christians, the researcher suggests dialogical evangelism as the most viable approach to people of other faiths.
        6,700원
        7.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8.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윌리스 스티븐스와 윌리암 버틀러 예이츠는 은유의 힘을 빌어 상대적 진리를 암시하려 했으며 특히 실재만으로는 담을 수 없는 미지의 너머의 것들을 미적 활동과 의식활동이라는 관점을 통해 드러내려했다. 하지만 이들의 추구하는 목표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그 시적 비전을 표현하기 위해 의존하는 중요 은유적 요소들을 그 기능과 의미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들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드러내기 위해 필자는 먼저 “aesthetic”의 어원을 여러 역사적 배경을 통해 살펴본 후 그 기원이 인간의 감정(human feeling)에 있다는 것을 밝힌다. 다음으로 미적 감정(aesthetic feeling)이 어떻게 기존의 전통, 과학, 종교, 도덕, 가치 등등의 실재라는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가를 논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스티븐스와 예이츠가 각각 다루는 미적 감정과 실재사이의 관계에서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 는 지를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보여준다. 무엇보다도, 스티븐스는 실재(reality)와 상상력(imagination) 사이에서 상호 작용하는 힘들에 집중하여 상상의 인식기능(imagined faculty)을 통한 지고의 픽션(the supreme fiction)를 이룩하려 했다면 예이츠는 네 개의 심리능력 (자아에 대한 의지, 反자아에 대한 마스크, 지성에 대한 창조심, 변화하는 인간육체에 대한 운명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 융합을 추구한 점을 필자는 강조하려한다.
        4,000원
        9.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어 재귀사의 해석 가능한 선행사가 문장 안에 잠정적으로 두 개 존재할 때, 한국인 EFL 학습자들이 영어의 통사적 제약보다 그림으로 주어지는 맥락 정보에 기반하여 재귀사를 해석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이 그림맥락이 주는 정보를 가지고 영어 재귀대명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복문 내포절의 정형성 여부에 따라 선행사 판단 양상이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한국인 성인 EFL 학습자 23명과 영어 원어민 화자 11명이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은 총 80개의 영어문장이 다양한 그림과 함께 제시되는 그림기반 진리값 판단과제(Picture-based Truth-Value Judgment)를 온라인으로 수행하였으며, 전반적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국인 성인 EFL 학습자들은 영어 원어민 화자와 마찬가지로, 그림 맥락이 특정 선행사를 선호하도록 유도하는 화용적 정보가 제공되는 가운데에서도 영어의 통사적 제약을 위반하는 장거리선행사는 재귀사의 선행사로 허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복문 내포절의 정형성 여부가 EFL 학습자들의 해석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았으므로, 해당 이슈에 관한 재검증의 필요성이 제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