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물 다양성의 지표종인 개미류의 시기별 우점종 및 개체군 변동을 살펴보고, 추후 기후변화에 따른 개체군 변화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기간은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고도별 조사 지점을 선정하고, 함정트랩을 사용하여 정방형조사법(10m×10m)으로 개미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고도별 조사 결과, 총 3아과 11속 14종 15,466개체가 채집되었다. 낮은 고도(700m)에서 13종 4,548개체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은 일본장다리개미(49.9%)로 나타났고, 중간 고도(900m)에서 8종 9,12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으로 극동혹개미(57.7%)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높은 고도 (1,100m)에서 10종 1,789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으로 코토쿠뿔개미(43.3%)가 확인되었다. 고도별로 일본장다리개미, 스미스개미, 극동혹개미는 폭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설악산 지역 남교리에서 대청봉에 이르는 구간의 고도별 식물 종풍부도 패턴 및 이러한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기후 및 지형인자의 상대적 중요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생 조사 결과, 남교리에서 대청봉에 이르는 구간에서 총 71과, 147속, 211종의 식물이 관찰되었으며, 이 가운데 목본식물은 91종(43%), 초본식물은 120종(57%)이 관찰되었다.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목본식물의 풍부도는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낸 반면, 초본식물의 풍부도는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이러한 분포 패턴을 설명하는 요인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목본 및 초본식물의 종풍부도는 기후 및 지형인자 모두에 의해 제어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변이분할을 통해 두 인자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한 결과, 목본식물의 풍부도는 기후인자가, 초본식물의 풍부도는 지형인자가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규모 공간 수준에서의 고도에 따른 식물종의 풍부도 패턴과 그 제어인자는 목본 및 초본식물 사이에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4,200원
        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long elevational gradient in the Nodong valley of Gyebangsan, vascular plants of eight sections with 100-meter-high were surveyed from the Auto-camping site (800 m) to the top of a mountain (1,577 m). There were a total of 382 taxa: 89 families, 234 genera, 339 species, 7 subspecies, 34 varieties, and 2 form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tern of species richness, it showed a reversed hump-shaped with minimum richness at mid-high elev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habitat affinity types, the proportion of forest spec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elevation. But, the ruderal spec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elevation, and then increased at the top of a mountain. As for the proportion of life forms, the annual herbs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elevation, but it did not appear between 1,300 m and 1,500 m and then increased at the top of a mountain. The trees gradually increased with elevation and decreased from 1,300~1,400 m. The vascular plants divided into four groups by using DCA. The arrangement of each stands was arranged in order from right to left on the Ⅰ axis according to the elevati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s determined by their own optimal ranges of vegetation. Also, rise in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affects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composition, and diversity.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is necessary to confirm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ranges, changes of habitat. Furthermore, plan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based on these data sh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5,800원
        4.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백화산 지역의 고도별 식물 종풍부도 패턴 및 서식지 인자인 면적, 경사도와 기후 인자인 연평균 기온 및 강수량이 고도별 식물 종풍부도 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생 조사 결과, 목본 식물 66종, 초본 식물 88종, 총 154종의 식물종이 관찰되었다. 고도에 따라 전체 식물 종 및 목본 식물종의 풍부도는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낸 반면, 초본 식물종의 풍부도는 특정 패턴을 나 타내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분포 패턴을 제어하는 인자로서 단순회귀 분석 및 편회귀 분석을 통한 변 이분할 결과, 서식지 인자인 면적과 기후 인자인 연평균 기온 및 강수량이 목본 식물 종풍부도를 예측 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으며, 서식지 인자인 경사도가 초본 식물 종풍부도를 제어하는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식물종의 풍부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서식지 인자인 면적과 경사도가 중 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규모 개별 산림에 자생하는 식물이라고 하는 동일한 분류군 내에서 도 식물 그룹에 따라 고도별 분포 패턴 및 제어인자가 상이하다는 것을 제시하며, 백화산 지역의 식물 다양성을 제어하는 인자가 단순히 하나가 아닌 몇 가지 인자에 의한 복합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임 을 의미한다.
        4,000원
        5.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치악산국립공원 성남지구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 해 성남공원지킴터(450m)에서 남대봉(1,181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8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 록을 작성하였다. 총 4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99과 275속 419종 6아종 39변종 5 품종 1교잡종의 총 47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 600m(WI=78.2℃·month)를 경계로 관속식물의 출 현종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귀화식물은 저지대(해발 600m 이하)에서 높은 비율로 출현하였다. DCA기 법을 이용하여 출현종의 고도별 분포변화를 분석한 결과, 해발 600m와 900m를 경계로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구간별 관속식물 분포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확인함으로써,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가 그 식 물분포의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호적범위는 식물종의 분포를 결정하기 때문 에 기후변화에 의한 기온상승은 현재 생물종의 분포와 그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 서 식물의 생태․환경적 특징과 분포역, 생육지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나아가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자원의 보전 및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6,700원
        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한지역 백두대간 마루금 일대의 고도별 식물 다양성 분포 패턴 및 기후인자, 면적, 기하학적 억제인자, 순일차 생산량이 고도별 식물 다양성 분포 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백두대간 마루금 일대를 따라 위치한 1,100개의 조사구에 대한 식생조사 결과, 총 97과 342속 802종의 식물종이 관찰되었으며, 고도에 따른 식물종의 α 다양성을 나타내는 종풍부도와 Shannon-Wiener 지수는 단봉형 패턴을 나타내는 반면, β 다양성을 나타내는 Jaccard와 Chao-Jaccard 유사도 지수는 고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러한 분포 패턴을 제어하는 인자로서 기하학적 억제인자가 α 다양성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으며, β 다양성은 기후인자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인자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일한 분류군 내에서도 다양성 측정방법에 따라 상이한 고도별 분포 패턴 및 제어인자를 가진다는 것을 제시하며, 백두대간 마루금 일대의 식물 다양성을 제어하는 인자가 단순히 하나가 아닌 몇 가지 인자의 복합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임을 의미한다.
        4,300원
        7.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설악산 오색계곡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오색교(325m)에서 대청봉(1,708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14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4과 279속 397종 5아종 45변종 2품종 총 44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 500m(WI=79.0℃·month)를 경계로 관속식물의 출현종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DCA방법에 의한 구간 간의 식물종 분포의 유사도는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축(Eig.=0.70)에 대하여 해발 500m(WI=79.0), 900m(WI=63.6), 1,400m(WI=44.8), 1,600m(WI=38.2)를 경계로 5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한편, 제2축(Eig.=0.27)에 대하여 해발 1,100m를 경계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른 구간 간의 관속식물 분포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확인함으로써, 관속식물 종들의 고도별 생존분포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식물종의 분포가 변화하는 것은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종은 생육지역의 온도에 따라 생존에 필수적인 호적범위 내에서 분포하므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변화를 변경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7,000원
        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쯔쯔가무시증 매개체인 털진드기 유충의 고도별 분포를 확인하고자 유충의 집 중 발생시기인 가을철(2009년 11월)과 봄철(2010년 3월)에 덕유산 지역에서 설치 류 포획에 의한 털진드기 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북쪽사면인 무주군 설천면부 터 빼제고개를 경유하여 남쪽사면인 거창군 주상면일대까지 고도를 200 m 간격으 로 나누고 총 16개 지점에 Sherman live trap을 설치하여 설치류를 포획하고 이들 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유충들을 채집하여 분석한 결과 2과 4속 14종 4,544개체였 다. Leptotrombidium속은 동양털진드기(L. orientale)가 2,248개체(49.5%), 반도 털진드기(L. zetum)가 712개체(15.7%),대잎털진드기(L. pallidum)가 404개체(8.9%) 로 우점을 점하였고, Neotrombicula속은 둥근혀털진드기(N. tamiyai)가 232개체 (5.1%), 사륙털진드기(N. japonica)가 120개체(2.6%), 광능털진드기(N. kwangneungensis) 가 106개체(2.3%)로 우점을 점하였다. 고도별 분포로는 동양털진드기와 대잎털진 드기가 대부분 지점에서 채집되었으며 반도털진드기는 고도 500 m 지역이상에 높 은 발생밀도를 나타냈다. Neotrombicula속은 500 m 지역이하에서 높은 발생밀도 를 나타냈다. 계절별로는 Leptotrombidium속이 가을철보다 봄철에 높은 발생밀도 를 보였고, 반면에 Neotrombicula속은 봄철에 낮은 발생밀도를 보였다. Leptotrombidium속은 고도와 계절에 따른 분포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Neotrombicula속은 계절적인 영향은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주민 및 관광객들에게 쯔쯔가무시증의 예방을 위한 홍보 및 방제의 기초자료 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 중산리지역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중산교(348m)에서 장터목(1,653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14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2009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4과 287속 385종 7아종 42변종 6품종 총 44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700m(WI=79.5℃·month)를 경계로 관속식물의 출현종 수가 급격히 감소함과 동시에 귀화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DCA방법에 의한 구간 간의 식물종 분포의 유사도는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축 (Eig.=0.76)에 대하여 해발 500m(WI=89), 700m(WI=80), 900m(WI=71), 1,200m(WI=60)를 경계로 5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한편, 해발 1,200m 이상의 고해발 지역에서는 제2축(Eig.=0.25)에 대하여 해발 1,500m, 1,600m를 경계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라 구간 간 관속식물 분포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확인함으로써, 관속식물 종들의 고도별 생존 분포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식물종의 분포가 변화하는 것은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종은 생육지역의 온도에 따라 생존에 필수적인 호적범위 내에서 분포하므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범위를 변경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6,700원
        10.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라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나방의 종 다양성 및 분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 5월부터 10월까지 8개의 조사지점을 고도별로 선정하였다. 조사는 UV Light 트랩을 이용하여 매월 1회씩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3과 321종 4462 개체가 채집되었다. 과별로는 자나방과 120종 2490개체, 밤나방과 123종 1102 개체, 재주나방과 17종 219개체가 채집되었다. 월별로는 6월이 163종 2882개체, 7월이 121종 593개체, 8월이 102종 357개체가 채집되었다. 종별로는 털뿔가지나방 (Alcis angulifera) 1322개체, 넓은띠담흑수염나방(Hydrillodes morosa) 395개체, 아지랑이물결가지나방(Aethalura ignobilis) 160개체 순으로 우점하였다. 고도별로는 636m지점이 116종 1038개체, 499m지점이 104종 753개체, 744m 지점이 111종 672개체로 채집되어 최저고도(264m)와 최고고도(1109m)의 중간 지점에서 종수와 개체수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8개의 조사지점에서 종 다양성을 Fisher's Alpha로 분석한 결과는 264m에서 42.77, 1109m에서 29.47으로 고도가 낮을수록 종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조사지점을 사면별로 보면 남사면(264m, 499m, 636m, 953m)에서 243종 2691개체, 북사면 (701m, 744m 966m, 1109m)에서 215종 1771개체가 채집되었다. 두 사면간 종수(t-test, t=0.364, p=0.728)와 개체수(t-test, t=1.257, p=0.256)는 차이가 없었다. 고도간 나방군집 유사도를 Sørensen 지수로 분석한 결과 고도가 나방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1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weekly from April to October in 2004 and 2005 on the sites along the 5.16 road. Sampling sites were made every 100 m height starting from 250 m altitude of both sides of Mt. Halla along 5.16 Road, which crosses the mountain
        5,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