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 시장의 성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반려동물 식품시장 규모가 가장 큰 국가가 미국임을 고려하여 미국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반려견을 키우는 재한 미국인 16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심층토론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상황에서 진행하였다. 먼저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자유 연상 인식을 관찰하였고, 이후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 관련 언론 정보를 제공한 후 이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실제 제품을 제시하여 구매 맥락에서의 소비자 태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식용곤충 원료에 대해 자유 연상 시 ‘친환경적인’, ‘지속가능한’과 같은 환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고 이와 관련한 구체적 언론 정보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구매 맥락에서는 오히려 환경적 가치보다 ‘저 알레르기’, ‘고단백질’, ‘피부/모질 개선’ 등과 같은 영양 및 건강기능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용곤충 원료에 대한 거부감’은 일반 식품과 마찬가지로 반려동물 식품에서도 여전히 가장 중요한 부정적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세 가지 상황에서 식용곤충 함유 반려동물 식품의 환경적, 영양적, 건강기능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식용곤충 원료 산업에서 시도하고 있는 반려동물 식품 시장 진출 전망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4,000원
        3.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familiarity in cross-cultural product perception and perception changes according to food systems (hot sauce and spicy-chicken) in Korean and US consumers. Free choice profiling was conducted by Korean and US consumers on four spicy-chicken samples made using four hot sauce samples. Half of the hot sauce samples were selected to be more familiar to US consumers and vice versa to Korean consumers. A previous study that investigated cross-cultural perceptions of the same four hot sauce samples in US and Korean consumers was incorporated in this study. For distinct sample differences, US and Korean consumers perceived products similarly. However, for less obvious differences, flavor familiarity seemed to affect consumers’ product perceptions. In addition, product perceptions changed more dramatically according to food systems for familiar samples in each count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consumers’ product perception can be affected by flavor familiarities.
        4,000원
        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이 19세기 말 20세기 초 제국주의 세력으로부터 국가적 정체성을 유지하려고 할 때 다수의 서구인들이 조선을 방문했다. 이들 중의 일부는 모국으로 돌아간 이후 자신들의 경험을 다양한 형태의 글로 재현했다. 특히 미국에서 파송된 선교사들의 경우 편지, 잡지기사, 팸플릿 안내문, 연설문, 일기, 여행기, 및 기독교 소설과 같은 ‘잡다한’ 글들을 기록했다. 미국 선교사들이 남긴 다양한 출판물 중에서 본 논문은 엘라수 캔터 와그너(Ellasue Canter Wagner)의 김수방과 조선에 관한 이야기들 (KIM Su-Bang and Other Stories of Korea)과 애니 배어드(Annie Baird)의 '동트는 조선' (Daybreak in Korea)을 산문이론으로 접근한다. 일부 학자들은 김수방과 조선에 관한 이야기들이나 '동트는 조선'과 같이 기독교로 개종한 조선인들의 삶을 기록한 서사를 ‘선교소설’로 구분한다. 기존의 주장과는 달리, 본 논문은 배어드와 와그너의 글을 ‘여행서사’로 분류한다. 배어드와 와그너의 작품에 등장하는 조선인들의 삶과 당시 두 선교사 작가들이 글을 쓸 때 처해있던 상황을 볼 때 이들의 글을 여행서사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쟁점이다.
        5,700원
        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PSS 17.0 program for a survey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13, on the level of perception and preference factors of Koreans and Americans residing in Virginia, USA(89 male and female adults of 20 years of age or above). For the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obesity, a survey was used and the subjects provided with their heights and weights. The researcher used this data to calculated their BMI and distinguished the degrees of obesity. For the BMI, the obesity diagnosis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was used for Koreans, and the WHO's obesity diagnosis on adults were employed for Americans. First, regarding the Korean participants, the level of obesity appeared in the order of normal (79.6%), overweight (14.3%), and underweight (6.1%). Also, the level of perceptions of their health conditions appeared in the order of average (51.7%) and good (34.7%). No one perceived their health to be in poor condition. Meanwhile, for the American participants, the order was as follows: overweight at about 45%, normal weight at about 35%, obesity at about 12.5%, and underweight at about 7.5%. In terms of the level of perception of health during ordinary times, about 55% of the American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are in good health. Therefore, the Americans were found to perceive their health to be in relatively better condition than the Koreans residing in the USA. Also, concerning the level of interest in health while eating food at ordinary times, the American participants were discovered to be more interested (about 62.5%) than the Korean participants. The research on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was conducted as a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choose an item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feeling. Regarding the preference for salty taste, both Koreans and Americans residing in the USA responded as moderate. However, a higher proportion of Americans than Koreans responded to favor salty taste. Concerning the reason for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Koreans responded with various reasons whereas Americans mostly responded that it is because they eat salty food frequently. For any changes in dietary behavior related to eating salty food, both Korean and American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amount of their daily intake of salt is appropriate and that they consider taste as most important in selecting a snack. Based on the above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a need for actual improvement in the diet with regard to salty food along with diverse policies for promoting life with a low salt diet in future.
        4,000원
        6.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merican'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kimchi. A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126 males (40.4%) and 186 females (59.6%) residing in Illinois and California. Approximately 68% of the respondents had eaten Korean food. The perception of kimchi was the highest with a mean of 3.62. The respondents felt that the "Kimchi is a good side dish with cooked rice", "Kimchi (with garlic) prevents SARS",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M=3.06, p< .001), and "Kimchi prevents adult diseases" (M=3.24, p< .01). When evaluating the different kinds of kimchi, onion juice kimchi had the most preferred taste and also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M=5.50, p< .05) of the second days. In the sensory evaluation by kimchi use, the best taste (p< .001) was in the order of kimchi pizza (M=6.58), kimchi dumplings (M=6.40), and kimchi chicken a'laking (M=6.33). The order for overall acceptability (p< .001) was kimchi dumplings (M=6.30), kimchi pizza (M=6.25), kimchi bacon roll, kimchi fried rice, and kimchi chicken a'laking (M=6.17).
        4,000원
        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Korean dishes acceptable for quick-service Korean food restaurant franchising operations in the U.S. and to test consumer preferences of 6 Korean dishes developed. One hundred American consumers evaluated beef(Bulgogi), pork(Jeyuk-bokkeum), chicken(Dagkalbi), noodles with seasoned vegetables(Japchae), braised tofu(Dubujorim), and stir-fried kimchi (Kimchi-bokkeum). Consumer preferences for color and aroma of the three dishes(Bulgogi, Jeyuk-bokkeum and Dagkalbi) were not different with most indicating they liked these attributes. Bulgogi was preferred over Dagkalbi and Jeyuk-bokkeum was least acceptable. Consumers rated the flavor of the Bulgogi from a little too mild to just right while both the Dagkalbi and Jeyuk-bokkeum were rated from just right to too strong. Overall acceptance was inversely related to spiciness. Bulgogi and Dagkalbi were ranked significantly higher than Jeyuk-bokkeum with Bulgogi receiving a slightly higher score. Overall acceptance was higher for the Japchae than the Kimchi-bokkeum. Dubujorim was intermediate and not preferred or disliked more than either of the others. Consumers rated the flavor of the Japchae and the Dubujorim higher than the Kimchi-bokkeum, indicating that the flavor of the Kimchi-bokkeum was too strong. Almost half indicated both the Dubujorim and Kimchi-bokkeum were slightly or much too hot. The Japchae and the Dubujorim were ranked equally high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Kimchi-bokkeum. We suggest that control of spiciness is a main factor to develop Korean dishes acceptable for quick-service Korean food restaurant franchising operations in the U.S.
        4,000원
        8.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국에서 우리나라 전통과자인 한과의 판매 가능성과 수용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이다. 설문 시에는 적절한 양과 가격, 섭취경험, 구입의사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관능검사 시에는 다식, 산자, 약과, 엿강정에 대해서 색깔-모양- 냄새와 greasiness, sweetness, firmness, adhesiveness, crispiness, dryness, overall acceptance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약과는 greasiness 가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 산자와 엿강정은 crispiness 가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p<0.01) 전체적인 수용도는 다식이 유의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p<0.01). 조사대상자는 한과를 스낵(42.9%)으로 이용하겠다고 가장 많이 응답했다. 그러나 구입의사에 대한 항목에서는 시식 후 90.5% 가 구입의사가 없다고 응답했으므로 한과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각 나라의 식문화를 고려하여 각 나라 사람들에게 친숙한 향과 맛을 첨가하여 제품을 생산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4,000원
        9.
        200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1.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미국인 및 캐나다인의 식품구입 및 한국식당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한국마켓에서의 식재료가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 38%가 아니라고 응답하였고 77%가 음용수의 안전성을 확신한다고 대답하였으나 54%의 응답자는 수입된 물을 구입해서 마신다고 하였으며 한국음식을 상당히 좋아하고 한국음식점을 즐겨 찾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음식의 단맛, 짠맛, spicy한 정도는 강하지 않다고 응답하였고 식당 종업원들의 위생관념에는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응답자가 한국마켓에서의 식재료의 안전도에 관해서는 신뢰하고 있었으나, 일부 응답자들은 본국에서 음용수 및 음식을 가져다 먹는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식재료에 대한 더욱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또한 한국음식점 이용에 대한 질문에서도 전반적으로 좋은 반응을 보였으나 종업원의 위생관념의 부족을 지적한 바, 음식점에서의 위생분야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을 지적하고자 한다.
        4,000원
        12.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아시아계 미국인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문화적 특성만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그들의 영역특수 자아존중감을 살펴보았다. 가족과 교육을 중요시 하는 아시아문화가 아시아계 미국인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면, 가족과 학교가 그들의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영역일 것이라는 가설아래, 134명의 아시아계 미국인 청소년과 134명의 백인 미국인 청소년의 영역특수 자아존중감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아시안계 미국인 청소년과 백인 청소년 모두, 또래와의 관계와 신체이미지가 그들의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나타났다. 아시아계 미국인 청소년은 학교성적과 가족관계를 제일 중요시 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선입견과는 달리, 연구결과는 이들도 미국계 청소년들처럼, 자아존중감을 결정할 때 또래와의 관계와 다른 이들이 자신의 모습을 얼마나 매력적으로 볼 것인가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시아계 미국인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아시아문화의 특성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으며, 그들이 소수인종 학생으로서 문화적 동화과정을 통해 얻는 경험들과 여러 다른 요인들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최근 급속한 다문화 청소년들의 증가를 보이는 한국에서도 다문화 청소년들의 겪는 문화적 사회적 경험들이 그들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여러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아시안계 미국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 문화가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