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 Thyas속을 검토하였다. 이 중, T. coronata (Fabricius, 1775)는 성충 및 생식기 도해사진을 기반으로 최초로 그 분류학 적 기재문을 작성하였다. 모든 한국산 Thyas속 종에 대한 분류학적 진단형질 및 분포 정보를 함께 제공하였다.
        4,000원
        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뉴질랜드산 Faronitae 상족의 형태 및 분자데이터를 이용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상족에 속한 대부분의 속과 종들은 1800년대 후반과 1900초반에 기재되었고 그 당시의 분류기법의 한계로 인해 대부분이 색이나 겉모양에 근거를 하여 기재가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8신속 143신종을 발견하였으며 이미 알려진 3속에 대해서도 종 수준의 재검토를 수행하였다. 84종의 동명이명이 수정되었으며 7개의 후기준표본을 선정하였다. 더 정확한 분류와 이들의 진화적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형태와 분자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통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와 분자 계통도에 분지형태의 차이는 이었지만 가장 큰 속인 Sagola속이 단계통이라는 점과 두 그룹으로 분리되는 Stenosagola속 이 측계통이라는 점, 그리고 호주산 Sagola속이 뉴질랜드산의 종들과 단계통이 아니라는 점은 일치 하였다
        3.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점톨물방개속(Hydrovatus Motschulsky)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종이 발견되었으며, 노랑점톨물방개(H. acuminatus Motschulsky)를 국내에서 처음 보고한다. 본 속의 각 2종에 대한 성충의 외형 사진 및 식별 형질과 검색표를 제시한다.
        3,000원
        4.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점박이물땡땡이속(Berosus Leach)의 분류학적 재검토를 수행한 결과, 1미기록종[Berosus (E.) spinosus (Steven) (가시점박이물땡땡 이: 신칭)] 포함 총 2아속 4종이 발견되었다[Berosus (Berosus) japonicus Sharp (새가슴물땡땡이), Berosus (Berosus) punctipennis Harold (점박이 물땡땡이), Berosus (Enoplurus) lewisius Sharp (뒷가시물땡땡이)]. 또한, 이전의 한국기록 B. (B.) puchellus MacLeay (남쪽점박이물땡땡이)는 B. (E.) lewisius Sharp의 오동정이다. 각 종에 대한 성충 외형사진, 미세형질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및 식별형질과 검색표를 제시한다.
        4,000원
        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깨알물방개속(Laccophilus Leach)의 분류학적 재검토를 수행하였다. 한국에서 기록된 5종 중에서 L. hyalinus (De Geer), L. lewisius Sharp (줄깨알물방개), L. minutus (Linné) (대륙깨알물방개)는 각각 L. vagelineatus Zimmermann (얼룩깨알물방개), L. lewisioides Brancucci (줄무늬깨알물방개)(신칭) and L. difficilis Sharp (깨알물방개)의 오동정이다. 각 종에 대한 외형 사진,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검색표 및 식별형질을 제시한다.
        4,000원
        6.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버섯벌레과에 속해 있는 방아벌레붙이아과(Languriinae Crotch)를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산 방아벌레붙이아과에는 1족, 2속, 9종이 포함되는데, 그 중 Anadastus ruficeps (Crotch)와 Anadastus praetermissus (Janson) 2종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4,000원
        7.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産) Nacoleia속(屬)은 6종으로 정리된다. 이 중 2종(Nacoleia inouei Yamanaka, 1980 및 Nacoleia satsumalis South, 1901)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된다. 본 고에서는 한국산 Nacoleia속의 기록종을 중심으로 분류학적으로 정리함과 동시에 한국미기록 2종에 대하여 외부형태 및 생식기특징을 도해하고, 채집지기록 및 국내외 분포정보 등을 제시하였다.
        3,000원
        8.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무당벌레붙이과(Endomychidae Leach)를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산 무당벌레붙이과에는 3아과, 7속, 10종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Endomychus gorhami (Lewis) Eumorphus quadriguttatus pulchripes Gerstaecker, Lycoperdina castaneipennis Gorham, Mycetina ancoriger Gorham 등 4종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또한 Lycoperdina castaneipennis의 숙주버섯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4,200원
        9.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Zeiraphera屬은 잎말이나방科 Eucomini族에 속하며 전 세계에 약 1,600여 종이 분포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총 5종이 보고(Byun et al, 2009)되어 있 고, Byun(2011)이 북한産인 Zeiraphera lariciana Kawabe, 1980를 기록한 바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에 주요지역을 중심으로 채집조사를 실시함과 동시 에 국내의 주요 표본소장기관을 방문하여 연구표본을 검경하였다. 이외에도 북한 지역 분포 종은 헝가리자연사박물관의 표본을 참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종들의 조사 및 새롭게 기재되는 1신종 (Zeiraphera paravirinea sp. nov.)을 포함하여 총 7종의 분류학적 정리가 이루어졌 으며 이들의 생물학적 정보가 종합되어 관련분야에 활용될 정보로 제공코자 한다. Genus Zeiraphera Treitschke, 1829 1. Zeiraphera demutana (Walsingham, 1900) 2. Zeiraphera fulvomixtana Kawabe, 1974 3. Zeiraphera griseana (Hubner), 1799 4. Zeiraphera rufimitrana (Herrich-Schaffer, 1847) 5. Zeiraphera virinea Falkovitsh, 1965 6. Zeiraphera lariciana Kawabe, 1980 7. Zeiraphera paravirinea sp. nov.
        10.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한국産 Caloptilia屬(가는나방科)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우리 나라에서의 분포를 밝히고, 이들의 계통학적 체계를 수립함과 동시에 생활사 및 생 태 특성 등 관련 응용분야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수립코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 국적인 채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종별 분류학적 특성의 조사와 생태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번 연구 수행과정에서 한국産 Caloptilia屬은 총 15종으로 정리되며 각 종들에 대한 검색표, 기재문 및 도해도 등이 작성되었다.
        11.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DNA바코드를 이용하여 자나방류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주요 산림지역 12개소에 대한 채집조사를 실시하여 자나방류 등 총 293종 1,997개체를 확보하였고 외부형태 및 생식기 검경을 통해 정확한 분류 동정 을 실시하였다. 또한 분류․동정자료의 보완을 위해 한남대학교 자연사박물관 50종, 국립산림과학원 51종, 국립농업과학원 35종 등의 대조표본 검경을 수행하였다. DNA바코드 작성용 연구 재료에서 약 25 mg의 조직 (뒷다리 1개 기준)을 핀셋으 로 각각 적출한 후 universal primer를 이용하여 PCR과정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확보된 mt COI DNA 시료를 증폭시킨 후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확인한 결과 자나방류 mt COI DNA로 예상되는 약 648 bp 크기의 DNA fragment가 다량 확보 되었고 총 190종의 COI DNA바코딩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DNA 바코드 정보, 외부형태, 생태특성 및 출현시기 등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자나방류 산림해충 진단정보 Data Sheet를 작성하였다.
        1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에서 서식하는 한국산 도깨비거저리속(Boletoxenus Motschulsky)을 미기록종 아기도깨비거저리[Boletoxenus incurvatus (Lewis)]를 포함하여 총 2종으로 재검토하였다. 또한, 아기도깨비거저리의 숙주버섯을 처음으로 밝혀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산 도깨비거저리속에 대한 분류학적 정보와 더불어 한국산 종들의 숙주버섯에 대한 생태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4,000원
        13.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서 Theophilea cylindricollis Pic, 1985로 학명을 적용해온 작은초원하늘 소에 대한 분류학적인 문제가 있음이 최근에 확인되었다. Theophilea cylindricollis Pic은 목하늘소아과(Lamiinae) 초원하늘소족 (Agapantini) 작은초원하늘소속 (Theophilea Pic, 1985)의 일원이었으며, 동일 속에는 세계적으로 2종만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알려져 온 작은초원하늘소을 형태분류학적으로 검토한 결 과, 진정한 Theophilea cylindricollis Pic뿐 아니라 초원하늘소족 (Agapantini Mulsant)의 정의와도 명확한 형태적 차이점이 있었다. 오히려 원통하늘소족 (Hippopsini)의 정의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어 해당 족의 근연 4속을 비교 검토해 본 결과, 형태적으로 원통하늘소속 (Pseudcalamobius)에 가깝지만 더듬이의 길이 와 눈의 형태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어 향후 별도의 속으로 구분되어야 할 필요성 이 제기되었다.
        1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mature stages of Mantura rustica (Linnaeus) ar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 key to identifying larvae of Korean Mantura is provided, with their illustrations and larval tubercle pattern.
        3,000원
        1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otal of sixteen Xylotrechus spec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are recognized, including a newly recorded species, Xylotrechus pavlovskii Plavilstshikov, 1954. We present brief descriptions of the Korean Xylotrechus species, except four species which could not be examined in this study. The geographic distribution, host plants, illustrations for each species, and a key to the Korean Xylotrechus species are provided.
        4,600원
        1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Lagria Fabricius is presented. Two species are identified: Lagria nigricollis Hope and a new record, Lagria rufipennis Marseul. A key, description, habitus photographs of adults, and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4,000원
        17.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doxophyes속은 주로 과수류의 잎을 말고 가해하는 전형적인 습성으로 인해 과수의 중요해충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과실을 식입해 들어가는 등 가해양상이 다양해져 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이나 기주식물에 따라 가해종이 다른 것으로 의심되고 있다. 본 속은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Adoxophyes orana 1종만이 기록되어 왔으나 차 재배단지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종 이 발견되고 있으며 최근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한 연구(Park et al., 2008)에 서는 국내분포종에 대한 추가종 가능성 등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의 종별 외부형태가 매우 유사하고 해부학적 특징으로도 구분이 어려워 분류동 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Adoxophyes속 의 종합적인 분류학적 연구를 시도하여 분포종 전반에 걸친 분류동정 지침서 를 작성코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국립수목원 및 농업과학기술원 등 주요 곤충표본 소장기관에 보관되어 있는 표본을 검경하였으며, 특히 국립원 예특작과학원 주도로 주요 과수원에서 종별 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채집조사 한 표본을 중점적으로 검경하였다. 금번 연구를 통해 정리된 한국산 Adoxophyes속은 미기록종인 A. honmai 및 신종 1종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이 3종으로 정리된다. Adoxophyes orana (Fischer von Roslerstamm) 애모무늬잎말이나방 Adoxophyes paraorana sp. nov.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 Adoxophyes honmai Yasuda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
        1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otal, 7 species of two genera under the tribe Trachodini Gistel are recognized from Korea. Among them, four species, Trachodes ovipennis Morimoto et Miyakawa, Acicnemis azumai Morimoto et Miyakawa, A. palliata Pascoe, and A. shibatai Vos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 key to the tribe Trachodini, brief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he adults are provided.
        4,000원
        19.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산 장지뱀속(Takydromus)의 분류학적 문제점을 재고찰하고, 한국산 아무르장지뱀 (T. amurensis)과 줄장지뱀 (T. wolteri)의 검색형질을 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총 114개체의 장지뱀속(Takydromus) 표본을 2003년 4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전국 각지에서 채집한 후 형태적 형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관악장지뱀 (T. kwangakunesis)과 장지뱀 (T. auroralis)은 아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