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sponse to the global trend of mak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 urgent task, luxury fashion brands actively embrace it in their corporate philosophies and management policies. However, despite the widespread consensus in the related industry and the strong will of compan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uxury brands, there are still few cases of luxury fashion brands successfully implement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types of message framing on the sustainability marketing of luxury fashion brands, focusing on their effects on perceived message effectiveness, sustainable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s.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464 Korean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effectiveness was higher for negatively framed messages (loss) than for their positive counterparts (gain). The types of message fram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ustainable brand message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brand image was found, regardless of message type. Perceived message effectiveness exert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stainable brand image, and such an imag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s. Th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related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sustainability marketing strategies for luxury fashion—an industry still in its infancy.
        4,900원
        3.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ttributes of consumers global luxury fashion brands and to find the impact of consumer value, meaning the social and pleasure values derived from brands on product purchase involvement. The method in this study was analysis of a total of 298 responses to a questionnaire. The results indicate, first of all, that among the attribute evaluations of global luxury brands, traditionality and splurge affect purchasing involvement. However, prestige and originality were found to have no influence on purchasing involvement. Second,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indicate that social and pleasure valu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of luxury brands. Third, the value of cross-group attributes evaluation and consumption value to differences in purchase involvement ha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conclusion, the traditional and Splurge natures of the luxury global fashion industry’s brand, social consumption value and pleasure consumption value affect the level of purchase involvement.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ttribute Evaluation(traditional and splurge) and consumption value(social and pleasure) when planning consumer marketing strategies for global luxury fashion brands in the future.
        4,600원
        4.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선행 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내국 브랜드를 대상으로 브랜드 글로벌성이 품질 인식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 브랜드 글로벌성의 효과가 제품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제품 특성으로 국가 전형성, 구매 위험도 및 상징적 가치를 살펴봤다. 가설 검증을 위해 전국 성인 소비자 356명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검증 결과, 브랜드 글로벌성이 브랜드 현지성과 함께 내국 브랜드에도 중요한 품질 단서로서 소비자들이 인식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현지성 대비 글로벌성의 중요성이 제품의 국가 전형성 즉 한국을 대표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제품의 상징성 즉 사회 신호적 가치와 소비 가시성이 높을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에 구매 위험도에 따라 브랜드 글로벌성의 중요성은 달라지지 않았다.
        5,800원
        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changes depending on one’s lifestyle and personal inclination. Women want to show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ften through their clothing and makeup choices. Brand image includes those elements related to the brand. Advertising is the primary method for introducing br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n emphasis of brand image an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targeting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was s sophisticated image. Preference for a sophisticated ima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hasis of brand image when selecting fashion products. Emphasis of brand image has a notable effect on the brand 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brand’s direct and in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When selecting a fashion product (clothing and cosmetics), brand image import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 brand’s 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Therefore, fashion companies should take advantage of their brand logo. Companies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clothing and product containers used in advertising to show the brand. In addition, every company should create an advertising image that represents their overall brand, by using a combination of detaile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4,300원
        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of, attachment with, and attitude toward a parent brand and perceived risk of, attitude toward, and purchase intension of an extended product in the case of brand extension. A total of 30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0 male and 150 female college students, and 275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or male college students, knowledge of the parent bran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attachment with the parent brand,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attitude toward the parent brand. Knowledge of the parent brand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risk of the extended product, which agai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product. In addition, for male college students, knowledge of the parent bran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product, which also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sion of the extended produc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brand attachment with the parent bran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rand attitude toward the parent brand, which also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product. Brand attachment with the parent brand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risk of the extended product, which also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product.
        4,600원
        7.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비자의 개인주의화에 따라 일본에 대한 적대감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의 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상대적으로 일본에 대한 적대감이 낮으며, 일본 브랜드 평가에 있어서도 적대감에 영향을 받는 정도가 낮을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304명의 성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4개의 일본 브랜드에 관해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검증 결과, 소비자의 개인주의 성향이 일본에 대한 적대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소비자 적대감 효과를 조절한다는 연구 가설이 확인되었다. 동시에 소비자의 브랜드 친숙도도 적대감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특성에 따라 소비자 적대감과 그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동시에 우리나라 소비자가 개인주의화가 진행함에 따라 소비자 적대감과 같은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 정도가 줄어들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6,700원
        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purpose of fishery firms’social contribution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s a mediator or their fishery firms’brand evaluation. We surveyed 300 consumers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the suggested relationship. The purpose of fishery firms’social contributions was divided into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public interest marketing strategies. Fishery firms’brand evaluation was divided into three aspects including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urpose of fishery firms’social contributions significantly affect consumers’purchase intention, brand loyalty as well as brand image except brand awareness. Fishery firms’brand evaluation significantly affect consumers’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public interest marketing strategies are essential for the positive brand evaluation of fishery firms.
        4,500원
        9.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interactive roles of types of primed identity (local versus global identity) and types of ad framing on brand evaluations. The authors designed 2 experiments in which each experiment followed a 2×2 between-subject design.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a gain-framed ad induced more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than a loss-framed ad, and the positive affective responses lead to more favorable brand evalu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interactive effects of primed identity and types of advertisement frame on brand evaluation. In the additio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people with local identity were exposed to the gain-framed ad, they would engage in a higher level of integration processing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ich in turn induced more favorable evaluation to the local brand. That is, the integration processing mode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interaction (local id priming × ad frame) and the local brand evaluation. However, in the case of global brand evaluation, the integration processing mode did not play such a mediating role.
        5,200원
        1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품 디자인은 기업에게 경쟁적 이점을 제공해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의 디자인 평가 요소가 디자인 가치를 통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디자인 평가요소들이 세 가지 유형의 디자인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소비자들의 디자인 평가요소 중 심미성, 여성성, 고귀성, 효율성 등이 이성적 디자인 가치와 사용감각적 디자인 가치, 감성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특성의 경우에는 이성적 디자인 가치와 사용감각적 디자인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감성적 디자인 가치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이 전달하는 가치와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에 대한 검증에서는 이성적 디자인 가치, 사용감각적 디자인 가치, 감성적 디자인 가치가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성적 디자인 가치와 사용감각적 디자인 가치는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적 디자인 가치는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를 통해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는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에 강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13.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판매매장별 구매심리에 따른 디스플레이 항목 에 대한 전문가 평가와 매장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한 반응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제 판매환경에서의 VMD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행하고, 브랜드 감성과의 일치성, 브랜드 감성 형성 요인 등을 조사하여 판매 매장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거리숍이 백화점내 매장보다 고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구매자극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 만족과 매장 방문 만족도는 고객의 구매의지와 비례관계에 있었으며 전문가에 의한 감성평가와 고객의 제품구매의지는 상관이 있었다 구매심리단계별 VMD 요소의 부족한 점과 이행이 잘 되는 점을 상호보완하면 각 판매 환경에서 VMD로 인한 즐거운 쇼핑문화를 이룩하고 또한 구매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고객반응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 조사를 통하여 매장 VMD 효과를 분석하고 상품구매 욕구와의 연관성을 이끌어냄으로써 소비자 조사 결과가 유용한 방법이다. VMD가 이뤄지는 곳은 실제 판매환경인 매장이므로 VMD의 효과와 고객반응에 대한 조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300원
        14.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품의 미적/기능적 속성 수준과 브랜드 파워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였다. 피험자에게 제품사진과 정보를 제공하고 호감도 및 품질평가를 지시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파워가 낮은 제품보다 브랜드를 제시하지 않은 제품이 더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감성적 제품의 경우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4,000원
        18.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의 변화에 대비하여 농특산품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농업인 역량 범위가 생산에서 가공 및 유통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농촌 관련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농업인 역량 범위 확대에 속하는 포장 및 브랜드 등 농산물 가치를 높이는 디자인 관련 교육이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한계성이 있으며 체계적인 교육의 요구도가 높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참고하여 브랜드 디자인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며 기초설문을 통해 브랜드 디자인 교육 필요성 및 요구도가 높음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농업인(10인)과 전문가(10인)로 나누어 심층면담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농업인 의견과 전문가 의견으로 비교 분류하여 종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브랜드 디자인 및 교육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하여 3회차를 통해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단계, 수준, 역량 정의, 교육시간, 방식, 커리큘럼, 세부내용 등을 구성하여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농업인 브랜드 디자인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및 학습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정부기관과 연계하여 시범 적용을 실시하여 실용화하였다.
        19.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웰빙, 로하스 (LOHAS) 시대의 도래로 잡곡이 건강식품으로 인식되면서 그 수요와 이용성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국산 잡곡 브랜드에 대한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산 조, 기장, 수수 유통브랜드를 수집하여 이들의 품질을 살펴보고 차후 잡곡의 품질평가 기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조, 수수, 기장의 국내 유통브랜드의 가격과 품질 특성과는 관련이 없었다. 조 유통브랜드(18개)의 수분은 평균 12.4%로 나타났으며 11.3~15.6%의 변이를 보였다. 평균 현곡천립중은 2.1g으로 1.5~2.3g의 변이를 보였다. 평균 정곡완전립비율은 92.8%로 높은 편이었으나 86.9~96.6%의 변이를 보였다. 단백질은 0.83~1.04%, 지방산도는 2.59~6.58 KOHmg/100g로 변이의 폭이 컸다. 기장 유통브랜드(18개)의 평균 수분함량은 12.3%로 조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현곡천립중의 변이는 3.1~5.4g으로 나타났고 평균 정곡완전립비율은 90.7%로 나타났고 74.5~96.1%의 변이를 보였다. 단백질은 0.99~1.26%, 지방산도는 6.09~9.98 KOHmg/100g로 변이의 폭이 컸다. 수수 유통브랜드(20개)의 평균 수분함량은 16.0%로 조, 기장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현곡천립중의 변이는 17.1~20.9g으로 나타났고 평균 정곡완전립비율은 80.2%, 범위는 60.2~91.8%로 변이의 폭이 가장 컸다. 단백질은 0.76~0.98%, 지방산도는 3.97~8.90 KOHmg/100g로 차이가 컸다. 잡곡의 유통브랜드의 품질 기준설정을 위한 연구와 이를 통한 품질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판매되고 있는 브랜드콩 100개(장류용 콩 32개, 검정콩 45개, 약콩 17개 및 나물용 콩 6개)를 2006년에 전국의 중대형마트에서 수집하고, 대비하기 위하여 재래시장에서 판매되는 콩 10개를 수집하여 표시의 정확성과 외관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브랜드콩의 명칭은 영양성, 친환경 또는 친근감을 느끼는 용어와 함께 장류용 콩은 백태와 황태, 검정콩은 검정콩, 서리태, 늦서리태, 흑태, 청태, 속청, 속태, 그리고 약콩과 나물용 콩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하였다. 2. 시판되는 콩의 판매단위는 1 kg 포장이 30%이고, 500 g 포장이 59%였으며, 최소포장단위는 200 g이었다. 표시중량과 실중량의 편차는 70%가 ±1% 였고, 약 2/3는 실중량이 표시중량 이상으로 비교적 정확하였다. 3. 상품에 무농약 농산물로 표시된 것이 6개였고, 특품 또는 상품으로 표시된 것이 9개였으나 외관 품질과는 관계가 적었다. 4. 상품화되어 판매되는 콩의 100립중 범위는 장류용 콩이 23.7~47.8g , 검정콩은 21.9~44.5g 그리고 약콩과 나물용 콩은 9.5~15.0g 이었다. 장류용 콩과 검정콩은 100 립중 범위가 비슷하였으나 장류용 콩은 29 g 이하가 63%인데 비하여 검정콩은 78%가 30 g이상으로 검정콩이 대체적으로 굵었다. 5. 장류용 콩과 검정콩을 크기 6.70 mm 체로 선별하였을 때 남는 콩의 비율은 평균과 최대치가 각각 87.4%와 86.5% 및 99.9%와 99.5%로 비슷하였으나 최소치는 각각 70.7%와 14.4%로 차이가 컸다. 콩의 100립중과 6.7mm 체로 선별하여 남은 콩의 비율은 유의한 정의 상관(각각 0.7488**과 0.7874**)이 있었다. 6. 종실의 100립중이 30 g 이상인 것들은 선별 비율이 90% 이상으로 차이가 작고 종실의 크기가 균일하였으나, 30 g 이하인 것들은 100립중이 낮을수록 선별되는 비율이 낮아 균일도가 떨어졌다. 7 제색(臍色)과 종실의 형태에 의하여 종실의 혼입여부를 조사한 결과 수집 브랜드콩의 76%는 10% 이상 서로 다른 종실들이 혼합되었는데, 장류용 콩은 90% 이상 혼입되어 검정콩 또는 약콩과 나물용 콩에 비하여 혼입율이 높았다. 8. 상품의 20%에 돌, 포대조각, 나무 조각, 곤충의 유충, 균사, 이종 콩 종자 등과 같은 이물질이 섞여 있어 상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9. 브랜드콩의 용적중은 762 g L1였고, 645~820gL1의 범위로 변이가 컸으며, 장류용 콩이 747gL1로 가장 낮았고, 약콩이 758gL1로 가장 높았다. 10. 재래시장에서 구입한 콩과 브랜드콩은 100립중, 정립율, 이물질 함량, 용적중 등 품질 평가 기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