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2.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리신은 누에고치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많은 건강상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누에고치에서 유래된 세리신 표준품의 항주름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리신의 항산화 효과는 DPPH 및 ABTS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또한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에서 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으며, lipoplyscaccharide를 이용하여 유도된 염증반응을 이용하여 세리신의 항 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세리신은 DPPH, ABTS에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은 1,000 μg/mL의 농도에서 NO를 억제하였다. 종합하여 세리신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항노화 및 항 염증 화장품의 우수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000원
        4.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mprovements caused by silk sericin extract in blood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streptozotocin(STZ, 55㎎/㎏B.W., I.P. injection)-induced diabetic rats fed on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Serum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ratio, triglyceride(TG) and phospholipids(PL) were remarkably higher in the diabetic group(group BSW) and STZ(I.P.)-plus-silk sericin extract group(group ESS) than in the control group(group CG, basal diet-plus-water). However, the serum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ratio, TG and PL were lower in the ESS group than in the BSW group, whereas the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to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ESS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BSW group. The activities of alkaline phosphatase(ALP) and aminotransferase(AST, ALT) in serum were lower in the ESS group than in the diabetic BSW group. The results shown above suggested that silk sericin extract effectively improves blood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STZ-induced diabetic rats.
        4,000원
        5.
        200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리신 잠의 발육, 실샘 성장, 세리신 량, 혈액 아미노산 조성 등 세리신 잠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잠 120 과 같은 조건으로 사육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화율에 있어서 세리신 잠은 85%이며 잠 120 은 95%이었다. 특히 세리신 잠은 부화가 고르지 않았다. 2. 유충 기간에 있어서 세리신은 20 일 23 시간이었고, 잠 120 은 21 일 22시간이었다. 3. 실샘에 있어서 세리신 잠은 중부실샘이 대부분이며 후부 실샘의 길이는 약 2~3cm 이었고 굴곡은 없었다. 4. 세리신 잠에 있어서 상족후 나방까지의 기간은 약 12 일이었으며, 화용후 화아까지는 7 일로 대단히 짧은 특성을 보였다. 5. 고치에 있어서 세리신 잠은 이주 얇고 가벼웠으며 견충중은 2.7cg 이며 견충 비율은 3.65%이였다. 6. 세리신 (sericin protein)양에 있어서, 세리신 잠의 견충이 sericin 만 으로 구성되어 있고 잠 120 은 28%가 sericin 이었다. 세리신 잠의 견충 당 sericin 율은 잠 120 의 34.6%정도였다. 7. 혈액 아미노산의 양에 있어서 세리신 잠은 histidine, lysine, glutamic acid 가 많았으며 5 령 발육에 따른 조성의 변화에 있어서 대부분의 혈액 아미노산들은 증가하였다.
        4,000원
        6.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세리신잠 실샘 가수분해물(Sericinjam Gland Hydrolysate: SJGH)을 이용하여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항산화 및 항노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SJGH는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고농도의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 사멸과 세포 내 산화 증가를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또한 SJGH는 저농도의 과산화수소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SA-β-Gal 발현과 MMP-1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였고, 반대로 프로콜라겐 I의 생합성은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SJGH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SJGH가 항노화 화장품의 우수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7.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hitosan, sericin and collagen extract complexes (1:1:1, w/w/w, CSC-F-005) in blood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streptozotocin (STZ, 55 mg/kg BW, IP injection)-induced diabetic rats (SD strain) fed on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The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to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triglyceride (TG) and phospholipid (PL) in serum were effective on the metabolic regulation in diabetic rats. The activities of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aminotransferase (AST, ALT) in serum were lower in the extract complexes (CSC-F-005) than in the diabetic rats. The results shown above suggested that CSC-F-005 extract complexes supplementation effectively improvement of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nents in the serum of STZ-induced diabetic rats.
        8.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mprovements caused by chitosan, sericin and collagen peptide extract complexes (1:1:1, w/w/w, CSC-F-005) in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dyslipidemic rats (SD strain) fed on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to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triglyceride, phospholipid and blood glucose were effective on the metabolic regulation of dyslipidemic rats. The activities of alkaline phosphat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in serum were remarkably lower in the extract complexes (CSC-F-005) than in the dyslipidemic model. From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CSC-F-005 extract complexes we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lipid metabolism in sera of dyslipidemic rats.
        9.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열수추출법에 의하여 추출한 세리신을 이용하여 단독 또는 2종의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하고 그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살펴본 것이다. 여러 산업용효소 중 세리신에 대한 분해효과가 우수한 alcalase, flavourzyme 및 protamex를 이용하여 분해한 결과 세리신의 분자량은 20 ~ 30 kDa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사용한 효소별로 특이적 가수분해물이 나타났다. 세리신 가수분해물의 항산화능을 살펴본 결과 원래 세리신에 비하여 DPPH 소거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flavourzyme과 protamex를 같이 사용한 경우 약 85 %의 소거율을 나타냈다.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억제 효과를 살펴본 경우에는 세리신 가수분해물이 오히려 더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세리신 가수분해물의 분획을 실시하고 활성억제 효과를 살펴본 결과 F2와 P3의 분획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