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수업이 비판적 사고 전략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충청도 소재 4년제 사립대학교의 3학년 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플립드 러닝 (flipp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한 학습자 중심 수업 설계를 16주에 걸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판 적 사고 전략 검사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수업 전과 후의 비판적 사고 전략의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전의 비판적 사고 전략 수준에 따라서 수업 후에 변화의 양상이 어떠한가를 알아 보기 위해 상ㆍ하 집단(25%, 75%)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비판적 사고 전략 검사는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전략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요인구조를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자 중심 수업은 비판적 사고 전략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높은 차원인 비판적 반성 전략의 경우 수업 적용 전에 비해 가장 큰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전의 비판적 사고 수준이 낮은 집단이 수업 후의 비판적 사고향상의 폭이 더 크게 나타나 하위집단일수록 학습자 중심 수업이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하였 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몇 가지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비판적 사고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활동 과 개별학습, 협업, 소통이 중시되는 학습자 중심 수업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고, 학습 수준에 따라 학습자 중심 수업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 가 있었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sucht, die Lehr-und Lernstrategie der deutschen Grammatik vor allem in Bezug auf die Neigung der Lernenden zu untersuchen. Dafür analysieren wir zum Ersten die verschiedenen Lehrwerken wie die Lehrwerke der Grammatik-Übersetzungsmethode, die Lehrwerke der audiolingualen Methode und die Lehrwerke des Kommunikativen Ansatzes. Nach der Analyse zeigen wir, wie grammatische Regeln in drei verschiedenen Methoden bisher bearbeitet werden. Damit kann man auch beobachten, welche Elemente aus verschiedenen Methoden die Lernenden am effektivsten beeinflusst. Zum Zweiten wird die Gehirnfunktion und die Neigung der Lernenden in Bezug auf eine effective Lernstrategie behandelt. Im Gehirn gibt es zwei Teile. Beide Hemisphären haben unterschiedlichen Aufgaben bei der Verarbeitung von Informationen. Linke Hemisphäre ist logisch, denkt linear, analysiert, erklärt, ordnet und speichert Regeln. Diese Charaktere sind für den Erwerb der Grammatiksregeln geeignet. Aber rechte Hemisphäre registriert ganze Bilder und größe Einheiten, denkt in Bildern, speichert visuelle Klangbilder und erinnrt sich an komplexe Bilder. Wenn die beiden Hemisphären bei der Verarbeitung von Informationen zusammenarbeiten, wird eine Information länger behalten und schneller erinnert. Eine visualisierte Reizung reagiert rechte Hemisphäre. Die abstrakte Grammatikstruktur werden besser erinnert, wenn man sie mit konkreten Bildern oder anschaulichen Symbolen kombiniert. Daher brauchen wir die Strategie zur Visualisierung von Grammatik zu überleg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ata generated from the application of Keller's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 Satisfaction) Strategy of Mativational Desig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 area of physical education. In particula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담화양상과 의미형성 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 교사는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있었으며,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연구진은 참여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비디오 녹화하였고 전사하였다. 자료는 두 단계로 분석되었다. 첫 단계에서는 담화 양상을 범주화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미시적 수준에서 의미형성 전략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초임교사의 '빛의 경로와 성질' 단원의 과학 수업담화에서 나타난 담화양상과 의미형성 전략에 관하여 5개의 에피소드가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 후속연구와 교사전문성 발달에 관한 시사점이 탐색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types of professors" discourse strategies that are used by Spanish native professors in the classes given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recorded 15 hours of professors" lectures in Spanish of 6 compulsory subjects on a video tape and transcribed them. After the collection of the data, we identified 17 strategies and their representative examples. On the basis of this, we recorded frequency of each discourse strategy. In this wa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ies, and tried to explain the cause of their use taking the educational situation into consideration. Because we were concerned about the use of strategies for each of the 6 subjects: grammar, conversation, culture, vocabulary, compos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we determined by analysing the frequency the particular discourse strategy that were used in each individual subject.
This treatise`s main point is to investigate the strategies of the developmental teaching and learning which are valid in the Danso-class of elementary school. Danso has been appointed as a musical instrument to be played in the class of elementary school since the fifth process of the educational course. Although 20 years has passed since then, however, this course is still considered very difficult to follow by most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who should be educated at least more than two times. It is my understanding, therefore, that we should try to develop various ways of solutions that can resolve many problems in Danso course of elementary school by providing the ``universal`` orientation for teachers. The point that we pay attention to in this treatise is that I apply the tonic solfa according to the movable-do system of Kodaly partially in order to improve the unsatisfactory circumstances of the Danso class of elementary school. His method provides us with very efficient means in learning syllable names and reading musical note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is study, we will see the strategies of the developmental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Danso-class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six levels.
이 연구는 6학년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지층에 관한 비과학적 개념을 알아보고, 이를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수업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비과학적 개념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조사한 것이다. 학생들의 지층에 관해 비과학적 개념을 조사한 결과, 지층이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편마암이 지층을 형성하는 암석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지층의 습곡은 위에서 누르는 힘 때문에 생긴다고 생각하는 경우 등의 비과학적 개념이 나타났다.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수업을 한 후, 지층에 관한 비과학적 개념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층이 만들어지는 곳, 지층에서 볼 수 있는 암석, 습곡이 생기는 이유에서는 큰 효과가 나타났으나 지층의 알갱이가 다른 이유에는 거의 개념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개념에 따라 인지갈등 전략 수업으로 개념변화가 쉬운 개념이 있는 반면, 어려운 개념도 나타났다. 사후 검사에서 개념변화를 이루지 못한 학생들에게 비과학적 개념 형성 원인을 알아본 결과,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에는 지구 내부의 열과 압력, 화산 활동 등의 큰 힘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학생들의 견고한 사전개념과 교사가 수업 시간에 한 현상을 강조하면 다른 영역의 현상으로 전이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TV 등의 영상 매체의 역할이 견고한 비과학적 개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수업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형성되어 있는 개념을 알아보아 인지갈등을 적용했는데도 개념변화가 어려운 것은 지층에 관한 학생들의 비과학적 개념이 변하기 쉽지 않은 개념임을 말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전략을 적용한 STS(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53명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표집하여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4주 동안 실험반에는 ARCS 전략을 적용한 STS 수업을 처치하였고, 통제반에는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ARCS 전략을 적용한 STS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보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의 교감적 언어사용-반복전략이 나타나는 양상을 보여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교사가 학습자의 말을 다시 말하는 반복전략이 대화 유지를 도우고 유대감 형성에 영향을 주는 교감적 언어사용으로 작용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고는 교사의 교감적 언어사용-반복전략의 개념을 체면이론을 바탕으로 적극적, 소극적 전략으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이를 다시 동의, 경청으로 나누어 분류해 실제 한국어 교실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반복 발화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적극적·소극적 공손 전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한국어수업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발화를 전사한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적극적·소극적 공손 전략은 체면과 공손성 이론에 기반하는데 이론은 Brown & Levinson(1987)에 의해 체면위협행위를 피하는 전략으로 발전하였고 이 연구에서는 적극적·소극적 공손 전략에 초점을 두고 한국어수업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와 C수업에서는 관심 기울이기 전략이, B수업에서는 제안·요구·약속하기 전략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세 수업 모두에서 적극적 공손 전략이 소극적 공손 전략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세 수업에서 교사와 학습자 간 에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가 적었다는 것이고 이로써 수업 분위기가 좋았다는 것도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습자의 발화를 따로 구분하여 비교하지 않았고, 수준에 따른 차이가 어떠 한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는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적극적·소극적 공손 전략의 실현 양상을 통해 어떤 전략을 보다 많이 사용하였는지에 따라 수업의 분위기, 학습자와 교사의 관계를 추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Purpose: Ground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Deci & Ryan, 2000),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effect of the autonomy-supportive intervention program on student amotivat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PE) context. Methods: In the experimentally-based,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one-hundred twelve students from four classes of two PE teacher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n=50) or the control group(n=62).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t beginning (Time 1, T1) of and at middle (T2) of the semester. Repeated measure two-way ANOVA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ed-supportive motivating style on student classroom a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As results, students of the teac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less PE-specific amotivation-low ability, low effort, unappealing task characteristics, low value, and problematic relationship than did students of the teacher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autonomy-supportive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students from being amotivated in PE was effective for the teacher to reduce students’ PE-specific amotivation because the teacher could successfully identify, nurture, and develop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in an autonomy-supportive way.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의 원리가 문화다양성 수업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문화다양성 특질에 맞는 수업전략을 개발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문화다양성 수업을 개선하여 새로운 문화다양성에 관한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전략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과 문화다양성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의 절차와 구성 요소 등을 형성연구를 통하여 개발하였다.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은 스토리텔링의 수업설계 원리와 전략을 문화다양성의 CRP(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교수법에 반영하여 개발하였으며, 스토리텔링의 이야기 구성기법을 매개로 CRP의 3단계 교수전략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12가지 핵심개념 및 가치들을 연결하였다.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의 구체적인 교수전략 및 수업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CRP 1단계 교수전략은 개념분석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핵심개념 및 가치 분석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문제제기-개념정의-사례발견-개념분석-개념적용으로 구성하였다. 다음 CRP 2단계 교수전략은 가치명료화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정서 및 심리 공감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문제파악-선택하기-긍지다지기-행동하기-명료화하기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CRP 3단계 교수전략은 가상체험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표현 및 실행 경험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과제파악-상황제시-활동선택-체험실시-내면화하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수업전략의 특징에 맞춰 이야기 들어가기-이야기 생각하기-이야기 연결하기-이야기 만들기-이야기 공유하기 단계를 스토리텔링 전략에 접목하였다. 본 연구의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은 문헌고찰과 형성연구를 통하여 고안되었으므로 본 수업모형의 현장 가능성 및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와 조사연구가 후속 연구로 뒤따라야 할 것이다.
최근 구성주의 학습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교육현장에서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반을 둔 수업을 진행하는데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에 대한 주된 원인으로 교사들이 구성주의 학습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학습도구를 찾기 힘들다는 점을 언급할 수 있다. 최근 연구를 통해 온라인게임은 학습도구로서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에 온라인게임이 효과적인 학습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6년 온라인게임 '군주'를 활용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9주 동안 진행된 전략경영 수업과정을 구성주의 학습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온라인게임을 활용한 수업에서 구성주의 학습방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구성주의 학습활동의 효과적인 도구로써 온라인게임이 활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사회의 변화는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루어져왔다. 기술의 발달은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로, 공업사회에서 현재와 같은 정보사회로의 변화를 이끌어 왔다. 이에 따라 각국에서는 기술 발달에 많은 노력을 쏟고 있는 것이 사실이고, 이와 함께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지고 있다. 교육의 목적이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 사고력, 태도, 판단력(sic)을 길러 주는 것”이라고 볼 때(이재원, 이정근, 이영휘, 1984, p. 23), 현재 우리가 실시하고 있는 교육의 목적은 분명히 현재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이 살아 가야할 21세기 정보사회에 필요한 지식과 태도와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 두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술교육의 목적은 문제해결능력, 다양성과 창의성, 의사결정능력 등을 기르는 것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사회에 요구되는 기술교육의 다양한 목적은 접근에 따라 크게 사회/문화적 영향 접근과 문제해결 접근으로 볼 수 있다. 기술교육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 접근의 목적은 급변하는 사회에서 기술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을 기술교육의 목적으로 하고, 문제해결 접근은 정보사회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함향하는 것을 기술교육의 목적으로 한다. 기술교육의 수업전략 및 방법은 기술교육의 목적 및 목표, 내용 등에 따라 결정되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그렇게 되어야 한다. 기술교육의 목적이 기술의 사회/문화적 영향 이해와 문제해결능력의 함양이라 한다면 이에 적합한 수업전략 및 방법이 선택, 결정되어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현재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술교과 교육학습 전략 및 방법을 분석하고, 기술교육에서 적합한 수업 전략 및 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