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된 연극중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의 운영과 그에 따른 대학생들의 경험 및 의미를 탐색하는 연구이다. 이에 경기도 소재의 D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된 1박2일 문화 예술교육 캠프 ‘왕방 플릭스’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생들이 활동 과정 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탐색해보았다. 그리고 참여대학생 중 5명 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성의 요소에 있어 자신감, 사교성, 협동성 측면에서의 경험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자신감 - 타인을 통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 형성’ 둘째, ‘사교 성 - 친밀감 형성 경험을 통한 사교적 기회 희망’ 셋째, ‘협동성 - 몸 소 체험을 통해 협동의 중요성 인식’의 경험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극중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으로 하여금 자신감 향상 경 험을 제공함으로써 또 하나의 자기이해의 기회를 갖게 하였으며, 사교 적 경험을 통해 타인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할 수 있는 타인수용의 마음을 갖게 하며, 협동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해줌으로써 사회성 발 달을 유도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6,700원
        2.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연극적 패러다임(theatrical paradigm)과 관련된 개념들 (연설-행동, 대행, 드라마, 공연, 시뮬레이션, 즉흥연주 등)을 사용하여 신학적 교육과 선교적 실천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개념들은 하나님과 인간의 상호관계, 창조-구속 역사, 성육신-선교적 운동, 또는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관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비유를 제공하는 “Theodrama”라는 주제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Theodrama 연극적 패러다임의 기독교 삶과 선교적 함의에 관하여 살펴보 는 것이다. 논문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Theodrama의 이론적 근거 (화행론, 행위주체론, 공연론, 드라마 내러티브 관점); (2) Theodrama의 실제적 방법론 (무대에서의 시뮬레이션, 삶의 즉흥성); (3) Theodrama의 선교적 의미 (해석학적 과정, 선교적 적용).
        8,700원
        3.
        202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d if and to what extent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would benefit from participating in a school English drama contest in terms of English proficiency, affective attitudes, and collaborative competence.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to measure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growth in those areas after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Pre- and post-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85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of the survey respondents. In a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test measures, the study found that the drama contest contributed to reducing students’ anxiety and enhancing their intrinsic motivation. Although pre- and post-test differences in language proficiency and collaborative competence were found to be non-significant, the participants addressed positive aspects of their experience in the contest. For example, they reported that they improved their pronunciation, speaking, and writing skills and that they collaborated and learned from one another by sharing ideas, providing feedback, and exchanging opinions.
        5,700원
        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예이츠 희곡이 내포하고 있는 메타연극적 장치를 논의한다. 혼비가 제시한 메타연극의 다섯 가지 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예이츠 희곡 『삼월의 보 름달』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희곡의 메타 연극성을 입증한다. 그럼으로써 이미 시극, 제의연극, 디에게시스 연극 등의 여러 명칭으로 불리고 있는 예이츠의 희곡이 메타연 극으로 분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6,100원
        5.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1920~30년대 한국의 근대 연극 수용의 특징과 의미를 아일랜드 연극의 영향에 초점을 두고 역사적 배경과 극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한국 근대 연극의 발전 과정에서 아일랜드 연극의 영향력을 검토함으로써 서구 근대 연극을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한국 지식인과 다른 아시아 지식인들의 태도 사이에 매우 중요한 차이가 있음을 이야기 할 것이다. 또한, 당시 대표적인 극작가였던 유치진과 함세덕의 작품에서 아일랜드 극장의 영향을 확인해 볼 것이다. 그들은 아일랜드극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존 밀링턴 싱과 션 오케이시와 같은 아일랜드 작가의 극적 특징과 배경을 적극 활용하여 작품을 창작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은 아일랜드 극작가에 대한 한국 극작가의 수용이 단순하고 고립된 하나의 연극적 현상이기보다는 당시의 정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그들의 반응이었음을 주장하고 있다.
        7,700원
        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글로벌화와 대규모 이주민의 유입 등으로 인해 이전과는 다 른 사회, 문화적 상황에 처해 있는 지금의 아일랜드를 포스트-켈틱 아일랜드로 규정하 고, 동시대 아일랜드 연극을 이해하기 위해서 문화상호주의적 접근방식이 필요함을 확 인해보려는 시도의 글이다. 문화상호주의적 연극에 대한 개념적 이해, 아일랜드에 새 롭게 유입된 이주민 공동체 극단의 공연에 대한 분석 그리고 다큐멘터리 드라마투르 기와 같은 극작법의 변화 양상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포스트-켈틱 시대 아일랜드의 새로운 정체성 모색의 다양한 갈래들을 점검해 보고 있다
        5,800원
        7.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에서는 2009년과 2015년 교육과정개정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 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특히 연극교육은 다른 장르의 예술교육보다 새로운 교육정책이 요구하는 학생들의 창의력향상과 부합하고, 통합교육의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대안적 모델로 평가된 다. 최근 2014년 9월 24일에 발표한 ‘2015 교육과정 개정안’에는 초등학교 국어교과에 연극이 대 단원으로, 중학교 국어교과에는 단원으로, 그리고 고등학교 예술교과에서는 일반선택과목으로 포함될 수 있는 내용이 담겨있다. 서구의 경우에도 연극의 교육적 중요성은 오래전부터 인식되어져왔다. 많은 경우에 공공사회 에서 올바른 시민역할의 확립과 사회적 교류의 가능성을 익히는 주요한 교육적 도구로써 연극을 활용하였으며, 현재 제도권 교육시스템 내에서 연극은 공공사회에서 개인의 역할인식과 올바른 사회적 관계성 유지를 위해 주요한 교육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의 오랜 역사와 변화의 과정을 거친 유럽의 대표적 국가인 독일의 학 교연극교육의 교육적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독일연극사에 공연이론과 제작에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 독일 연극교육 프로그램에 영향을 끼친 베를톨트 브레히트(Bertolt Brecht)의 교육극(또는 학습극)에 대한 생각을 살펴봄으로 현 한국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력 증대와 융합(통합)교육이 독일 연극교육에서 어떻게 실천되는지 직, 간접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배경에는 연극교육이 現 국내 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력 증대와 융합(통합)교 육제시를 위해 적합하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앞으로 연극교육이 한국 문화예술교육 정책적 방향 성을 구축을 위해 큰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는 논지가 담겨있다.
        4,600원
        8.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예이츠의 시극이론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 중 하나 인 독일의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에 초점을 맞춘다. 기존의 예이츠 연구에서 바그너 는 서양지성사의 일반론적 맥락에서 언급된 것 외에 본격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이 논문은 예이츠의 시극 이론과 아일랜드 문예부흥론을 바그너의 악극 이론과 예술론을 통해 새롭게 조명한다. 예이츠 미학의 초기에 발견되는 예술론과 시극이론에 주된 영 향을 미친 인물로 니체보다 바그너에 더 주목함으로써 예이츠 연구에 새로운 지평선 을 여는 데 그 목적을 둔다.
        5,100원
        1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감성이 메말라 가는 요즘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지능 중 하나인 감성지능을 키워 안정된 인간관계를 가지고, 안정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진행하게 되었다. 초등학생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두어 ‘EQ연극놀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였다. ‘EQ연극놀이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간접 체험을 해 볼 수 있는 교육연극에 감성지능을 키울 수 있는 요소를 강화시킨 프로그램으로 교육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연극놀이를 도입하여 수시로 감성지능을 키울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그 결과 ‘EQ연극놀이 프로그램’은 미래 사회의 중요한 인재가 될 아이들에게 자기 인식 및 자기표현,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 조절 및 대인관계능력에 모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mnoin’ is a style of theater that have been made to developed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since 1950. It provides that this theater shall be upheld the traditions of ‘Shuochang(說唱)’ by a theater of minority race in China, even if this is a the exclusive possession of Chinese citizens of Korean ethnicity. The reason we notice this ‘Samnoin’ is that having been upheld traditional play of our people in modern times. Nonetheless, Government of China have placed in a file all of minority race’s traditional art and culture of play, will make to revert to China tradition recently. ‘Samnoin’, also, was designated as The Second National level-nonmaterial cultural heritage in 2008. Thus, we need to examine concretely literary significance showing in ‘Samnoin’. and through this, we need to measure off the map of the dramatic art.
        5,200원
        1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아일랜드 현대극에서 볼 수 있는 여성 재현의 문제를 그레고리 부인, 앤 데브린 그리고 남성 극작가인 스튜어트 파커의 작품 읽기를 통해 살펴보고, 그것의 의미를 다루고 있다. 20세기 아일랜드 연극은 여성과 젠더 문제에 있어 흥미롭고 논쟁적인 문화적 공간이 되어 왔다. 이점에서, 하나의 이상적 수사로서 여성의 재현 문제를 따져보는 것은 아일랜드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논문의 학술적 의의는 아일랜드 연극에 담긴 여성의 목소리, 말 그리고 몸을 해석하고 의미를 드러내 보이는 하나의 방법론을 제공하는데 있다.
        5,500원
        14.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극치료(drama therapy)는 크게 과정지향(process-oriented)의 연극치료와, 연극제작 과 그 생산물에 무게 중심을 둔 공연중심의 연극치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과정지향의 여러 연극치료이론과 그 실제에 대한 소개와 실천에 비해 공연 지향의 ‘치료적 연극(therapeutic theatre)’, 혹은 ‘치료적 공연’에 대한 이론적인 정립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에 본 연구는 ‘치료적 연극’의 양상과 개념적 정의 그리고 그에 따른 영역적 특성에서부터 출발 하여, 공연중심의 연극치료를 대표하는 연극치료사 스테판 스노우와 르네 에무나를 중심으로 공연지향 연극치료가 지닌 치료적 가치의 특이성과, 이를 발현하는 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 다. 무엇보다 스노우와 에무나의 치료적 공연에 대한 공통된 사상과, 그들 각각의 치료적 연극 을 대변하는 ‘수행적 연극치료 모델’과 ‘자기-현시적 연극’을 통해 그들 간 방법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종국에는 치료적 연극이 왜/어떻게 치료적이라 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연극’ 본유의 치유적 속성을 발판삼아 출현한 다수의 특수/장애인 극단들의 연극생 산이 본격화되고 있고, ‘치유’ ‘치료’라는 용어가 공연제목에 유행처럼 덧붙여지는 있는 현 시 점에 있어서 ‘치료적 연극’의 궁극적 목표와 그 특성 및 효과에 관한 본 연구는 치‘ 료적’ 공연 모 색의 지표가 되어줄 것으로 사료된다.
        6,100원
        15.
        201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 세기마다 셰익스피어의 <햄릿>은 인문학적인 깊이와 예술적 독창성을 가진 사람들을 매혹시켰고, 그 매혹은 햄릿의 말처럼 시대를 비추는 거울로서의 <햄릿>을 창조하게 된 가장 중요한 배경이 된다. 러시아 연극사학자 아나톨리 스멜랸스키는 부박한 정치적 우여곡절을 지나온 러시아 연극은 셰익스피어가 말하는 거울로서의 연극의 정의를 확인하는 바로미터의 순간이라고 언급한다. 그는 이러한 맥락에서 지난 세기 위대한 러시아 <햄릿>의 계보를 홅고 있는데, 그는 <햄릿>을 통해 러시아 현대사에 대한 탐독이 가능함을 주장한다. 이러한 러시아 연극과 <햄릿>과의 역사적 친밀도를 염두에 둔다면, 페레스트로이카라고 하는 변혁의 시기와 러시아 연극무대에서의 <햄릿>의 상관관계는 흥미로울 수밖에 없다. 정체에 빠진 소련사회에 대한 총체적 개혁으로서의 페레스트로이카는 그것을 계획한 국가 지도부의 기대와 그에 대한 인민의 요구와는 별개로 불안하고 위태로웠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러시아 무대에서의 <햄릿>에 대한 수용의 선상에서 격동과 격변의 시기인 페레스트로이카를 전후로 한 러시아 무대의 대표적인 <햄릿> 작품에 대한 공연분석을 시도한다. 고르바초프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개혁의 핵심이었던 공간과 지형으로서의 모스크바에서 무대화된 <햄릿>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햄릿>을 통해 수행했던 연극의 의무를 혼란의 시기에 예술가들이 어떤 식으로 받아들였는지에 대한 연구가 될 것이다.
        8,400원
        16.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7.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instruction model in primary schools by exploring the process of science theater in English. To accomplish the objective, the researchers set up a program which includes science experiments, drama games, and performance in English by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collected from diverse sources were analyze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chniques. There were four results found from this study. First, the scholastic achievement both in Korean and English was improved. In addition, the students' interest and learning style influenced the test scores. Second, children in this study achieved real accomplishment through diverse student-centered activities. For example, they experienced accomplishment by getting over their mistakes in experiments, fostered a collaborative attitude through process-based tasks, and realized responsibility in their learning by leading their own learning. Third, students experienced a new type of integrated learning in English and science. In other words, they recognized English as a means of learning a subject and regarded science experiments as activities for exploring knowledge. They also considered science theatre as an opportunity for self-realization. Fourth, a model for integrating English and science in primary schools through science theater is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provide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8,000원
        1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2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at a concept of theatricality in modern art became more controversial is through a review 'art and object-hood' on Michael Fried's minimal art, as having been already known broadly. As he had been concerned, the art following the minimalism is accepting as the very important element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emporality, the stage in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audience's positive participation, enough to be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was involved in almost all the theatricality. Particularly even in the installation art and the environment art, which have substantially positioned since the 1970s, the space is staged, and the audience's participation is greatly highlighted due to the temporal character and the site-specific in works. In such way, the theatricality in art work is today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his context, it is thought to have significance to examine theatricality, which is shown in the works of Arte Povera artists, who had been active energetically between 1967~1971. That is because the name of this group itself is what was borrowed from “Poor Theatre” in Jerzy Grotowski, who is a play director and theorist coming from Poland, and because of having many common points in the aspect of content and form. It reveals that the art called Arte Povera is sharing many critical minds in the face of commanding the field called a play and other media. Grotowski's theatre theory is very close to the theory and substance in Arte Povera in a sense that liberates a play, which was locked in literature, above all, renews the relationship between stage and seat and between actor and audience, and pursues a human being's change in consciousness through this. That is because Arte Povera also emphasizes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rough appealing to a human being's perception and through the direct and living method, not the objective art concept of centering on the work. In addition, the poor play or poor art all has tendency that denies a system, which relies upon economic and cultural system, and seeks for what is anti-cultural, elemental, and fundamental. It is very similar even in a sense that focuses on the exploration process itself rather than the result, excludes the transcendental concept, and attaches importance to empiricism. However, Arte Povera accepts contradictoriness and complexity, and suggests eclecticism and tolerance, thereby being basically the nomadic art and the art difficult to be captured constitutively. On the other hand, there is difference in a sense that the poor play is characterized by purity, asceticism, seriousness, and solemnity. If so, which significance does this theatricality, which was introduced to art, ultimately have? As all the arts desire to be revealed with invisible things beyond the visual thing, theatricality comes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at this time. If all the artists and audiences today came to acquire actual or virtual freedom much more, that can be said to be a point attributable to that art relied upon diverse conditions in a play.
        6,3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