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인공광 광질에 따른 곰보배추의 생육, 엽형 및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정식 후 56일째에 측정 된 엽장, 엽폭 및 엽수는 적색 LED(R)와 대조구인 형광등(F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혼합광(RB2:1)과 백색 LED(W) 처리구에서 낮았다. 엽형지수(엽장/엽폭)도 적색 LED(R)와 대조구인 형광등(F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혼합광(RB2:1)과 백색 LED(W) 처리구에서 낮았다. 지상부 생체중, 건물중 및 엽면적 모두 적색 LED(R)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형광등(FL)과 청색 LED(B) 처리구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광 (RB2:1)과 백색 LED(W) 처리구에서 낮았다. 잎의 수하 현상은 정식 21일 이후부터 적색 LED(R)와 혼합광 (RB2:1) 처리구에서만 발생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적색 LED(R)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비엽중은 청색 LED(B)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형광등(FL)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처리 간 유의차가 없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형광등이 곰보배추를 실내에서 인공으로 재배 시 적합한 광원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추 F1품종육성에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는 주요 형질들의 유전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여러 형질들 중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형질인 개화소요일수와 엽형의 F1에서의 발현양식을 조사하기 위해, 특성이 상이한 4개의 유전시험용 재료 친을 이용하여 6개 조합의 이면교잡 F1 set를 만든 후이들을 온실에서 폿트재배하고 발현된 그 특성의 유전양식을 분석하였다. 개화소요일수의 F1에서의 발현양식은 조합에 따라 달랐다. 개화가 빠른 친이 우성유전자를 많이 가지며, 빠른 쪽이 우성이나, 우성의 크기 정도는 조합에 따라 초우성, 완전우성, 부분우성으로 각기 달리 나타났다. 엽형의 유전을 결정짓는 엽장과 엽폭의 유전은 엽장의 경우는 긴쪽으로 초우성, 완전우성, 부분우성으로 여러 형으로 나타났다. 반면 엽폭은 넓은 쪽으로 초우성은 없고 완전우성과 부분우성이 있었다. 엽장을 엽폭으로 나눈 엽형은 대부분 양친의 엽형의 중간인 부분우성, 상대적으로 잎이 좁게 보이는 세장형 쪽으로의 초우성, 완전우성으로 나타났다.
        4,000원
        3.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중생대층과 신생대층에서 기록된 6속 22종의 은행류 화석을 최근까지 확립된 고생물학적 지식에 기초하여 재검토하고, 종의 다양성과 엽형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은행류 화석은 중생대에서 4속 8종, 신생대에서 1속 1종으로 각각 재분류되었다. 중생대형 은행류의 엽신은 대부분 가는 열편으로 갈라져 있지만, 신생대형은 부채꼴 모양의 단엽형으로 나타난다.
        4,000원
        4.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위적인 수분처리에 대한 묘고생장 결과 물푸레나무는 수분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지는 않았으나,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였고, 들메나무는 상대적으로 토양수분이 높은 처리구(78~90%)에서 높은 생장을 보였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근원직경 또한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의 변화는 물푸레나무의 경우 잎, 줄기, 뿌리 등 건중량이 각 처리구별로 토양내 수분이 낮아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토양수분이 78~90%(A)인 처리구에서는 상대적으로 18~30%(D) 처리구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은 물질 생산량을 나타 냈다. 들메나무도 각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면서 A처리구와 D의 처리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토양수분이 묘목의 수세 약화 및 잎을 포함한 조직의 연화 등 생리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엽 특성중 SLA는 토양수분처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진 않았지만 처리구간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LAR과 LWR의 경우에는 각 처리구간 토양내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000원
        7.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입중에 따른 다수성 콩 품종육성의 엽형 모델을 찾고자 기존의 품종들을 대상으로 일의 형태 및 해부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신의 두께는 소립형 품종보다는 대립형 품종이 두꺼웠으며, 단위엽의 엽면적에서도 대립형 품종들이 큰 경향이었다. 2. 엽육조직의 관찰결과 소립 장엽형 품종과 대립 환엽형품종의 책상세포 및 해면세포가 두껍고 치밀하게 배열되어 있었다. 3. 단위엽면적당 CO2 흡수량, 주당 CO2 흡수량, 엽신 및 책상세포의 두께는 종실수량과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단위엽의 엽면적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4. 따라서 품종간의 특성은 및 기능의 차이로서 인정할 수 있었으며 특히 CO2 동화량 및 엽육조직의 두께와 엽육세포의 치밀함 등은 품종간 특성차이를 나타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8.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입중에 따른 이상초형(ideal type)의 개발을 위해 광합성호율이 높은 안전 다수성 콩 품종육성의 엽형 모델을 찾고자 엽형 및 입중에 따른 잎기능에 관련된 몇 가지 주요특성 및 CO2 이용효율과의 관계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두 단엽의 CO2 동화량은 소립품종에서 장엽형 잎을 가진 품종이 19.66 umolm2s1로서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18.29 umolm2s1)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대립품종에서는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이 19.17 umolm2s1로서 장엽형품종(17.45 umolm2s1)보다 높았다. 2. 기공전도도가 0.12-0.13범위에서는 주로 대립, 장엽형 품종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CO2 동화량은 17-18 umolm2s1정도로 낮았고, 0.14-0.15범위에서는 소립, 장엽형 품종들이 분포하였는데 CO2 동화량은 19-20 umolm2s1로서 높았다. 3. CO2 동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생성량은 대립,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들이 0.82-0.83으로 가장 적었으나 CO2 동화량은 18-20 umolm2s1로서 높았다. 4. 주당 CO2 흡수량은 나물콩에서는 장엽형 품종이 68.5ppm으로 환엽형(46.5 ppm)보다 크게 높았으며 장류콩에서는 환엽형이 70.1 ppm으로서 장엽형(63.1 ppm) 보다 약간 높았다.
        9.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山菜) 및 약용(藥用)으로서의 이용개발(利用開發) 가능성(可能性)이 높은 물엉겅퀴에 대(對)한 엽형(葉形)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차광(遮光) 조건(條件), 시비방법(施肥方法) 및 재식밀도(栽植密度)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엽형(葉形)의 차리(差異)에 따라 크게 무결각형(無缺刻形)과 결각형(缺刻形)으로 나눌 수 있었고 무결각(無缺刻) 형(形)에서는 대자침(大刺針)과 소자침(小刺針)으로 세분(細分)되었으며 염색체(染色體) 수(數)는 공(供)히 2n = 68로 동일(同一)하였다. 2. 물엉겅퀴의 지상부(地上部) 초장(草長)은 무차광(無遮光)에서 길었으며 비료(肥料) 시용방법간(施用方法間)에 전반적(全般的)으로 유기물(有機物) 30,000kg/ha 처리(處理)에서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한 경향(傾向)이었다. 3. 차광(遮光) 조건간(條件間)의 엽(葉) 수량(收量)은 연차별(年次別) 차이(差異)는 차광구(遮光區)에서 많았으며 비료시용방법간(肥料施用方法間)에는 유기물(有機物) 처리(處理)에서 증대(增大)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4. 물엉겅퀴의 재식거리(栽植距離)에 따른 생육상황(生育狀況)은 60×45cm에서 초장(草長)과 경수(莖數)가 증대(增大)되었다. 5. 재식거리별(栽植距離別) 엽수량(葉收量)은 밀식(密植)인 30×20cm에서 많아 재식거리(栽植距離)와 수량간(收量間)의 관계(關係)에 대(對)한 구체적(具體的)인 연구(硏究)가 금후(今後) 수행(遂行)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10.
        198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두의 엽형에 관한 유전연구의 일환으로 엽장이 친 품종, 엽폭이 긴 품종, 엽장과 엽폭이 짧은 7품종들을 문배친으로 하여 이들 품종간의 이면문잡에 의한 21개잡종 F2 세대와 교배친을 재료로 엽병장, 주소엽병장, 주소엽장, 주소업폭, 측소엽장, 측소엽폭 등의 엽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포상태를 본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병장은 주소엽병장보다 길고 전체적으로 평균 5배정도였고, 주소엽장은 측소엽장보다 길며, 엽장은 엽폭보다 길었으나, 주소엽폭보다 측소엽폭이 도리어 긴 경향이었다. 2. 조사 측정된 6개형질 모두 부분우성으로 유전되고 회귀계수가 낮은 것으로 보아 비대립 유전자의 관여가 큰 것을 알 수 있였다. 3. 엽병장에는 A품종(선비잡이콩)과 B품종(동산6002)에, 엽장에는 A품종과 C품종(경남002), 엽폭에도 A품종과 B정종에 우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고, G품종(D69-7816)과 F품종(D62-7816)에는 각 형질에 열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