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ffic accident rates depending on various road conditions and environments. However, the current traffic accident rates on national highways are classified relatively simply, and it is also difficult to accurately calculate the crash modification facto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traffic accident rates on national highways by presenting an algorithm for categorizing the traffic accident rates of national highway into four types (older and modern roads, and urban and rural roads). METHODS : The problems in the current rate of traffic accidents were derived,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TAAS) was used for the traffic accident data, and the road traffic volume statistical yearbook was used for the traffic volume data. After dividing the national highways into older and modern roads and urban and rural roads, the rates of traffic accident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current accident rates. RESULTS : The accident rate of modern road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older roads, and was lower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From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th Korea development institute(KDI) guidelines, older roads and urban roads exceeded the value in the KDI guideline, whereas the rates of modern roads and rural roads were lower than the KDI value. CONCLUSIONS : The accident rate accuracy was improved by subdividing the accident rates into four typ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economic analysis on road projects will be improved.
        4,200원
        2.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rived the unit of industrial water usage reflecting the latest industry trends. Available for establishing plans such as the master plan for water supply system and analyzed changes in the basic unit by a comparison with the current basic unit values. This study analyzed 4,038 samples with a sampling error of less than 1.5 % at the 95 % confidence level after removing outliers according to a log-normal distribution. As a result, the unit of industrial water usage per site area in the whole manufacturing industry was 7.11 m3/1,000m2/d. The ten industrial categories (C10, C13, C20, C21, C22, C25, C27, C30, C32, C33) showed a similar unit value compared to before, and the four industrials categories (C11, C17, C22, C31) showed a more unit value than before. With regard to the nine industrial categories (C14, C15, C16, C18, C19, C24, C26, C28, C29), the unit value decreased. Cases that companies examined before were the same as the compani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e result that the changes in the unit industrial water usage were reasonable was obtained. However, in some industrial categories (C17, C14, C24, C29), the unit value was changed by a small number of companies with large-scale water use or unit value of sampling had a large deviation.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survey them periodically. The unit of industrial water usage derived by the survey in this study reflects the current industrial trends in 2016. Water use in manufacturing companies has continuously changed by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simplific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es. In order to deal with thi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survey the usage of industrial water periodicall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4,200원
        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dictive capacity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in the industrial park was estimated by the traditional method and on-the-spot survey such as certification of wastewater report and the invoices of water supply and ground water supply. The ratios of a converted wastewater to supplied industrial water between traditional method and on-the-spot survey in the estimation methods were different. By using traditional method, the business type of clothes, accessary and fur production had 77.18 % of waste ratio of wastewater and 10.72 m3/day·1000 m2 unit mass of wastewater as the highest among 9 business types. With the respect to the on-the-spot survey, food manufacturing business type had 75 % of waste ratio of wastewater and 8.35 m3/day·1000 m2 unit mass of wastewater as the highest values. The amount of wastewater from on-the-spot survey method was 541 m3/day less than one from traditional method.
        4,000원
        4.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로의 life cycle은 계획 및 설계, 시공, 운영, 유지보수로 구분할 수 있으며, 막대한 사회간접자본이 투입되는 사회기반시설인 도로는 건설 시 많은 건설 자재와 건설 장비를 사용함에 따라 시공단계에서의 탄소배출이 매우 높고, 지속적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도로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유지보수 활동에 의해 탄소배출이 동반된다. 국토교통부의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도로에서의 탄소배출량은 탄소배출원의 양과 탄소배출 DB의 곱으로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실제로 활용해 탄소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한 DB 및 탄소배출원단위의 구축에 관한 연구를 탄소중립형 연구단에서 진행중이다. 또한 도로는 계획 및 설계 주체, 시공 주체, 운영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각 주체마다 필요로 하는 탄소배출원단위가 다르며, 활용하고자 하는 용도 역시 다르기 때문에 탄소배출원단위 구축 시 이를 고려한 구축 방법과 구축원단위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탄소 배출량 산정 방법을 이용해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탄소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한 후 도로의 life cycle 별로 탄소배출원단위를 구축하였고, 탄소배출원단위의 활용 주체에 따라 유동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탄소배출원단위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로의 계획부터 시공 및 운영까지 전과정에 걸쳐 탄소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DB와 탄소배출원단위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도로 신규 건설 및 확장을 계획할 때 노선 대안별 평가단계에서 탄소배출량을 하나의 선택인자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설계자는 각 단계마다 구축된 원단위를 통해 탄소배출 최소화를 위한 공종의 선택 및 조합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발주부처에서는 탄소배출원단위를 활용해 도로의 기준 탄소배출량을 제시할 수 있으며, 관리부처에서는 기준 탄소배출량 대비 탄소배출량 저감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을 위하여 전체적인 지형을 쉽게 이해하고, 전반적인 위치를 암기하기 쉽게 하는 3차원 지도 개발이다. 이를 위하여 파노라마 전경의 블록 유닛 형태 그리고 파노라마 블록 유닛 전경의 색채계획에 관하여 논하였다. 우선 도로 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28 종류를 정의하였고, 이를 기초로 12종류의 주요 그룹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파노라마 블록 유닛을 제작하기 위하여 지도에 표현된 지형 42 종류를 정의하였다. 후, 조합되어지는 방식의 유사도 따라서 5종류의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그리고 표현되어지는 면적의 크기에 따라서 5종류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기초로 파노라마 블록 유닛을 3차원 그래픽 구조물의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파노라마 블록 유닛 각각을 5가지의 다른 색깔 클래스로 구분하여 색채를 계획하였다. 색채 계획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문 스팬스의 미적 측정값을 조사하였다. 결과 값은 0.5보다 크므로 제작된 칼라의 조합은 잘 조화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8.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의 발생원단위 산정방법은 처리구역 내 인구 대비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말한다. 생활폐기물은 실제 제주특별자치도민의 생활폐기물과 관광객의 관광폐기물이 모두 집계되고 있으며, 실제 도민의 발생원단위는 보고된 발생원단위에 비해 낮을 것으로 사료된다. 관광객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에 관한 기존 반영사례의 경우 관광객수, 관광객 체류기간을 반영하여 도민 1일 발생량과 관광객 1일 발생량을 구분한다. 산정식의 인자는 제주도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 제주도 인구, 제주도 방문 관광객수, 관광객 체류기간이며,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통해 2014년 기준 도민 1.26kg/인・일, 관광객 0.01kg/인・일로 발생원단위 산정이 가능하다. 기존연구는 도민이 관광객에 비하여 과도하게 많은 폐기물을 배출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확한 관광폐기물 발생원단위의 산정을 위하여 관광객의 여행 실태를 고려한 주요 관광폐기물 배출 발생원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관광폐기물량을 활용하여 처리체계 구축 및 감량대책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폐기물 관리 정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부인구 배출 폐기물 발생원을 각 업종별로 검토를 통해 선정하고, 이 중 운수업,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관광업으로 표본업체를 설정하였다. 각 표본별 폐기물량을 서면 및 방문조사하여 외부인구 배출 폐기물 발생량을 파악하고, 폐기물의 발생량 및 발생원단위 보정을 통해 제주특별자치도 도민 실제 발생원단위를 산정하였다. 클린하우스 배출 업체의 경우 폐기물 발생량 추정 불가로 인해 발생원 표본에서는 제외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펜션 등 소규모 숙박시설, 렌트카, 관광버스 등에서 분리되지 않는 재활용품 및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광지역 소재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주변 클린하우스에 다량 배출하여 클린하우스 넘침 현상 유발 등의 문제가 있다. 다량배출사업장 기준 관리 강화 및 실명제 관리, 클린하우스 배출 사업장 제한을 하고, 렌트카 이용자 및 관광버스 승객 대상 재활용품 분리배출 협조요청 교육실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그린텍스(Green tax) 도입으로 개별 배출자에 대한 오염자 부담원칙 제도를 시행하기 위한 기초 분석자료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9.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has proposed new methodology for estimating unit loa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st unit load based on short-term and local area based data. In the case of agricultural land, however, the results presented by NIER are still limited because of various agricultural activities and farmland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liquid manure treated paddy field and organic farming upland were selected for considering agricultural diversity. Four different methods for evaluating unit load were used for comparing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of different methods presented various trends compared with those of existing studies. Paddy field treated liquid manure was 1.3 times higher for T-N load and 3.1 times for T-P load than conventional paddy field. Conventional upland was 4.4 times higher for T-N load and 1.8 times higher for T-P load than organic farming upland. In the case of non-conventional farmland, this study showed different values with the unit loads presented by NIER.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apply the unit loads considering various agricultural conditions when establishing environmental policy and rural planning.
        10.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경우 건설폐기물이 100톤 이상 발생하는 공공 건설공사의 발주기관은 의무적으로 건설공사와 폐기물 처리용역을 분리 발주해야 한다. 발주자는 발생원단위 자료를 이용, 위탁처리용역의 발주물량을 산출 후 이에 따라 폐기물 처리용역을 계약한다. 그러나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건설표준품셈은 다양한 유형의 공사와 건설폐기물 종류를 포함하지 못하고 일부 공사 및 폐기물에 대한 원단위만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현실에 맞는 건설폐기물 발생량 산정 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건설폐기물은 업종의 특성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의 종류와 발생량에 차이가 있어, 업종별 특성이 반영되고 건축 구조・종류별로 구분된 발생원단위가 산정되어야 한다. 발생원단위는 건설 폐기물 배출자가 자체적으로 건설공사의 성상별 건설폐기물 배출량을 예측하고 그에 적합한 처리 방법 및 예산을 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고. 건설폐기물 관리 규제기관에서 배출자 신고 자료에 대한 검증에 있어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현 건설폐기물 통계조사는 올바로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사업장 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현황을 조사하며, 별도로 추가・수집된 경제데이터를 반영한 항목별 원단위 발생량을 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올바로 시스템 건설폐기물 경제데이터에 발생원단위 산정에 필요한 항목을 반영, 설정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기존통계자료들과 건설공사 표준품셈 자료, 선행연구보고서 및 학술 논문 등을 조사, 검토하는 현황분석을 거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 발생원단위 산정방안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완공된 공사를 대상으로 총 발생량과 경제데이터를 조사하며, 공사유형을 분류하여 공사 종목별 건설폐기물 발생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또 공사 전 해체여부를 파악하여 재건축 및 신규공사 등 해체폐기물의 여부에 따른 건설폐기물 발생량 오차를 줄이도록 하였다. 위의 내용을 반영된 데이터를 이용, 발생원단위를 산정한다면, 기존의 산정방법보다 더 정확한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이 가능하고, 실제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
        1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치수경제성분석 시 예상되는 홍수피해액 추정기법으로서 2004년에 개발된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법(Multi-Dimensional Flood Damage Analysis; MD-FDA)을 활용하고 있다. MD-FDA는 지형공간정보체계를 활용하여 토지이용상태, 침수심 및 침수경계, 행정구역과 관련한 GIS 주제도와 각종 통계자료, 그리고 홍수피해액 산출을 위한 기본 원단위 등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구역에 대한 기초 입력자료 외 MD-FDA 방법론 상의 원단위를 바탕으로 홍수피해액 산출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파악하고자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기서의 원단위에는 자산분석 단계에서 일반자산, 농업자산, 산업자산의 가치를 결정하는 기본 원단위와 일반자산피해과 인적피해, 공공시설물피해 결정에서 사용되는 기초요소이다.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임진강 하류 구간을 대상구간으로 사업 전 200년 홍수빈도에서의 원단위 변화에 따른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로부터 홍수피해액 추정에 미치는 중요인자를 파악하고, 향후 MD-FDA의 개선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MD-FDA 개선 연구의 기초연구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12.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an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carried out on the whole process of industrial business activities to establish a basic plan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energy independency. The whole process was divided into each discharge process in terms of water, air, solid waste, green house gases and refractory organic compounds. The flowcharts and basic unit of process were analysed for three years (2008-2010), being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life cycle assessment. It was found that the unit loading for the whole process significantly depends on changes in the operation rate change and highly concentrated wastewater inflow. About 35% of solid waste production was reduced by improving the incineration method with co-combustion in coal boiler, generating about 57% of electricity used for the whole process, and consequently reducing the energy costs. As the eco-efficiency index was found to be more than 1,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it can be said that improvement in general has taken place.
        1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asic unit of irrigation water on golf courses in Jeju Island. The amounts of rainwater and groundwater used on 20 golf courses have been monitored for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rainwater and groundwater from the selected 20 golf cour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existing data that had been collected for three consecutive years from 2006 to 2009. The range of monthly irrigation water (groundwater + rainwater) used was about 13,200~55,600 ㎥/month, with average of 36,600 ㎥/month. In the respects of the amount of annual water used, groundwater was recorded as 163,500 ㎥/year, and rainwater was recorded as 275,400 ㎥/year. Thus, the total annual irrigation water used was approximately 439,000 ㎥/year. The correlation (R2) between golf course lot size and average amount of monthly irrigation water used was 0.65, and the monthly basic unit per golf course area (1,000 ㎡) was calculated as 60 ㎥.
        16.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시적 관점에서 해상부분에 대한 부산항 컨테이너화물 처리에 따른 부산지역 경제기여도를 분석할 수 있는 업종별 원단위(TEU당 발생비용)를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12개 업종의 매출액 및 거래실적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업체 인터넷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컨테이너화물과 관련되는 해상부분 업종들에 대한 전체 TEU당 원단위는 238,230원/TEU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컨테이너 처리 관련 해상부분의 업종별 TEU당 원단위는 새로운 지표로서 부산항의 컨테이너 화물 처리에 따른 부산 지역경제 기여도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19.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obtain the relative formula with the unit treatment cos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a sewage plant in the service area under highwa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correlative formula connected to amount of sewage(Q)generation was as follows ; between an annual amount of sale(C) showed Q=19.113·C0.9294, and between the number of users(P) showed Q=2×10-8·P2 - 0.0298·P + 75,666. The correlative formula connected to the treatment cost was as follows ; according to the amount of sewage generation showed S= 3×10-6·Q - 0.2266·Q + 29,895, according to the elimination of BOD(E) showed S= 6×10-5·E2 - 0.6717·E + 27,744, accoding to the annual amount of sale showed S=0.0005·C2 - 4.8013·C + 35,118, with the number of persons(P) using the service area showed S= 2×10-8·P2 - 0.046·P + 48,803.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