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vestment adequacy of the project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master plan on sewerage rehabilitation at Seoul. The planned and actually implemented ratio of invested money on sewage treatment plants (STPs) to sewers were compared in two temporal periods. Though the planned ratio of investment on STPs to sewers was 50:50 (in 2009-2020) , the actual implemented ratio in 2009-2013 was 34:66. Until 2020, the greater investment ratio on STPs to sewers should be made considering the necessity of coping with stricter legal compliance on advanced treatment, stormwater treatment and so on. The priority of the planned and partially implemented projects among four STPs and at each STP was evaluated. Considering only the performance indicator of reduced load of BOD, T-N, T-P per the capacity of each STP facility, the performance among four STPs was shown as Jung-Rang>Tan-Cheon>Seo-Nam>Nan-Ji. The reverse order of the performance results in the past may be considered for future investment priority, but the efficiency of operation implemented at each STP, deteriorated status of each STP, investment in the past and so forth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for the priority of projects conducted within each STP, projects related to legal compliance (such as advanced tertiary treatment, stormwater treatment, etc.) have highest priority. Odor-related project and inhabitant-friendly facility related projects (such as building park on STPs, etc.) has lower priority than water quality related projects but interactivity with end-users of sewerage should also be important.
진안의 대표적 관광지인 마이산 북부는 여러 개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합적 개발계획이 필 요하고, 특히 기존 주차장부지와 상가지구를 대상으로 새로운 계획을 수립해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마이산 북부지구를 대상으로 개발 관련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현황 분석을 하였고, 개발 잠재력 및 장단점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마이산 북부지구의 전체적인 공간구성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고, 세부적으로 마이산 북부지구 중 이전 계획이 수립된 북부주차장 및 상가지구에 대 한 계획안으로 생태복원공원계획과 생활사전시관 및 명인명품전시관을 제시하였다.
진안의 대표적 관광지인 마이산 북부는 여러 개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합적 개발계획이 필 요하고, 특히 기존 주차장부지와 상가지구를 대상으로 새로운 계획을 수립해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마이산 북부지구를 대상으로 개발 관련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현황 분석을 하였고, 개발 잠재력 및 장단점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마이산 북부지구의 전체적인 공간구성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고, 세부적으로 마이산 북부지구 중 이전 계획이 수립된 북부주차장 및 상가지구에 대 한 계획안으로 생태복원공원계획과 생활사전시관 및 명인명품전시관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manage essential parts that are required for the repairable parts services performed at the military maintenance depots, the United States Air Force developed the Repairability Forecasting Model (RFM). In the RFM, if the requirements of the parts are assumed to follow the normal probability distribution after applying means from the past data to the replacement rate and lead times, the chance of the AWP (Awaiting Parts) occurring is 50%. In this study, to counter the uncertainties of requirements and lead times from the RFM, the safety level concept is considered. To obtain the safety level for requirements, the binomial probability distribution is applied, while the safety level for lead time is obtained by applying the normal probability distribution. After adding this concept, the improved RFM is renamed as the ARFM (Advanced RFM), and by conducting the numerical stimul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ARFM,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the AWP, is shown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maintenance process and the operating rate of the weapon system.
본 계획의 대상지는 강원도 동해시 부곡동 태평북로로 발한동주민센터에서 발한삼거리를 지나 구 버스터미널까지 입지하고 있는 가로구간이다. 계획의 기본 방향은 첫째, 구 도심지의 재정비로 거리활력을 창조하고 둘째,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설계되어야하고, 마지막으로 환경친화적이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가로환경의 디자인 기본방향을 통합디자인 컨셉으로 설정하였고 과도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보다는 보행의 안전성과 연속성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본 계획은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가로를 조성하고 보행자 환경을 개선하여 낙후된 구 도심권의 상권을 회복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촉진하며 경관개선을 통한 주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 이다.
대리만족권역은 2012년 농림축산식품부의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계획 수립의 시범지역이며 즐거운 교육을 품은 건강한 마을 만들기의 목표를 가지고 기능별 공간구상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권역은 대리와 호암리이며 쌀, 고구마, 고추, 율무 등이 산업의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 기본적인 공간개발의 방향은 도농교류, 교육과 문화체험을 위한 시설을 배치하여 교육을 품은 건강한 마을만들기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 기초생활기반은 도농교류센터와 독거노인 공동홈조성, 지역소득증대는 농산물 저장고와 농촌유학센터, 지역경관개선은 진입로 개선, 안내판 설치, 쉼터조성, 둘레길 조성 등이 계획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별 공간구상은 지역주민들에게 삶의 질을 높여줌과 동시에 지역자원을 활용할 경우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계획은 농촌마을에서 마을경관의 공통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경관정비에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촌경관의 질적 향상과 지역고유의 경관을 관리하기 위한 농촌경관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 1리를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계획수립을 위해 장복리의 입지여건, 인문환경, 경관특성 및 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파악하여 경관디자인 구상 및 공간별 경관정비계획에 적용하였다.장복리 경관정비를 위한 계획은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 및 방문자들의 체험루트 조성을 위해 달천 제방 산책로 정비, 마을뒷산 산책로 정비, 마을안길 정비, 담장 및 지붕 정비 등을 계획하였으며 마을 소득증대 및 농촌관광기반조성을 위해 농산물 판매장 조성, 달천 정비, 국화꽃 단지 및 국화체험장 조성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마을의 인지도 제고 및 장소성 형성을 위해 진입도로 및 진입공간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계획대상지는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대천리, 석곡리 일원으로 농업환경과 상업가로지역, 역사문화자원 등이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역이다. 하지만 열악한 교통여건과 부족한 대표이미지로 인해 외부방문객들에게는 통과지역으로만인식되고 내부적으로는 면소재지임에도 불구하고 정비되지 않은 가로 환경과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커뮤니티를 지원할수 있는 공공시설의 부재로 인해 갈수록 쇠퇴하고 있는 대표적인 농촌지역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당진영덕고속도로개통과 고덕IC의 개설, 내포신도시로 충청남도청 이전 등 인근지역의 여건 변화로 인해 그동안 쇠퇴되었던 지역을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고 따라서 본 계획에서는 주변 여건 변화에 발맞춰 지역 환경을 개선하고대상지가 보유하고 있는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통과지역으로서 인식되던 이미지를 개선함으로써 발전적인 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계획에서는 ‘경관정비’, ‘지역자원활성화’, ‘정주기반정비’를 계획전략으로 수립하여쾌적한 정주환경 및 도농복합 거점공간으로 조성하고자 계획내용을 수립하였다. 본 계획을 통해 그동안 낙후되고 노후화된지역의 공공시설 및 경관자원의 개선과 고유한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해서 고덕면소재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계획 대상지가 위치한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 1리는 주변에 수려한 자연경관과 농업환경, 산업단지 등 다양한 자원요소가 복합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북면의 면사무소가 위치하고 있어 지역의 대표이미지를 결정하는 상징적 의미가있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방문객들에게는 통과지역으로만 인식되고 내부적으로는 면소재지임에도 불구하고정비되지 않은 가로경관과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공공간의 부재 등은 애향심과 삶의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계획에서는 대상지의 마을환경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위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마을 만들기, 지역의 정체성 확립 및 주거환경의 쾌적함 창출, 합리적이고 입체적인계획수립이라는 목적을 설정하고 기본계획내용을 수립하였다. 본 계획을 통해 북면소재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계획은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 소재한 대리, 시목리, 가덕리 등 전형적인 농촌마을을 대상지로 하여 수행하였다. 대상지를 중심으로 가치 있는 생태 ․ 문화적 자원이 존재하고, 다양한 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대상지가 보유한 입지의중요성 및 잠재력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계획은 이러한 다양한 기회요인을 토대로 황새와 함께 만드는 농촌생태마을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그에 부합되는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계획내용으로는 황새복원센터의 배후지역에 대한 황새의서식환경조성을 위한 시목천 생태하천정비사업과 친환경농업 기반시설인 관정 및 농수로 정비, 친환경비료 생산시설,농산물 건조 및 저장시설의 설치와 방문객의 농촌체험 유도를 위한 체험센터 및 소규모가공시설 등이 있다. 본 계획을통해 대상지내 친환경이미지 제고, 지역경제활성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된다.
광시면소재지는 예당저수지 연계 생태관광거점지로서 뿐만 아니라 황새마을(복원센터) 개장에 의한 생태관광객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기존 광시한우타운과 황새생태관광 및 광시 농업농촌테마공원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광시한우타운의 이미지 제고,시가지 보행환경 및 가로경관 향상을 위하여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계획의 기본방향은 중심가로 활성화 및 편의시설확충을 통한 녹색농촌관광 거점공간 조성, 광시한우 이미지 고양 및 황새마을 연계강화를 통한 지역이미지 특화공간조성 및 친환경 수변공간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본 계획은 광시면소재지의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 생태관광과의 연계를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황새와 공존하는 쾌적한 하천경관형성, 생태계보전을 위한 정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광시면소재지가예산군 생태관광거점공간으로서의 기능 담당에 기여할 것이다.
The rsearch was an establishment of the important green spaces in Jeonju and to present the basic frame of green network. The relationship which leads to the green spaces and traditional cultual district needs the connetion of green corridor. The ecological view is used as the space for the passeuggest a connection on the base of the important green network between the green spaces and buildings as well as streets. Consequently, a creation plans of green spaces are demanded green corridor for the basic frame of green network in the tradional cultural district in Jeonju.